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846 vote 0 2015.03.31 (23:45:30)

     

    대칭이란 무엇인가?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대칭이다. 세상은 온통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각기 짝지어져 있다. 각자 파트너가 있다. 대칭이라고 하면 점대칭, 선대칭, 면대칭 정도가 검색된다. 대칭을 단순히 수학적 개념으로만 이해한다면 콘텐츠 빈곤이다. 건반이 많아야 음악이 되고 색깔이 많아야 그림이 된다.


    대칭은 동양의 음양론에서 발달한 개념이며, 서양인들에게는 익숙지 않은 개념이다. 동양철학이 상대성의 철학이라면 서양철학은 절대성의 철학이다. 기독교라면 창세에서 말세까지 일직선이다. 반면 동양사상은 공자의 중용, 석가의 중도, 노자의 도道 할 것없이 중간에서 눈치를 보는 상대주의다.


    구조론은 절대성 아래에 상대성을 둔다. 절대성이나 단단한 입자의 절대성이 아니라 부드러운 양자의 절대성이다. 내부에 상대성을 갖춘 절대성이다. 상대성은 역설을 낳는다. 구조론은 이중의 역설이다. 상대성 위에 또다른 상대성이 있으므로 다시 절대성으로 돌아오지만 애초의 절대성과 다르다. 딱딱한 알갱이의 절대성이 아니라 바둑의 정석과 같이 부드러운 법칙의 절대성이다.


    문제는 숫자가 너무 많다는 거다. 빈부, 흥망, 승패, 출입, 명암 등으로 찍지어져 대칭을 나타내는 한자어를 모으면 1천 단어를 넘을 것이다. 체계화 해서 대칭개념의 수를 줄여야 한다. 바둑의 정석이 너무 많아도 피곤하다. 축구는 포메이션이 너무 많으면 안 되고 야구라도 작전이 너무 많으면 안 된다.


    혼돈을 질서로 바꾸어야 한다. 서유기처럼 에피소드가 너무 많아도 번잡해서 걸작이 못 된다. 삼국지만 해도 인물이 너무 많아서 골치가 아프다. 추릴 것을 추려야 한다. 분류의 방법을 도입할 수 있다. 대칭은 사건, 사물, 공간, 시간, 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사건대칭 – 인과, 문답, 개폐, 매매, 생사, 모순, 동정
    ◎ 사물대칭 – 산수, 남녀, 일월, 명암, 농담, 초목, 수미
    ◎ 공간대칭 – 좌우, 상하, 원근, 고저, 장단, 경중, 심천
    ◎ 시간대칭 – 주야, 춘추, 전후, 신구, 고금, 선후, 완급
    ◎ 속성대칭 – 애증, 미추, 선악, 화복, 곡직, 강유, 희비


    사건대칭이 중요하다. 인과율이 대표적이다. 구조론은 원인과 결과의 인과대칭을 존재론과 인식론, 연역과 귀납,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엔트로피와 질량보존, 양자와 입자의 대칭으로 확장한 것이다. 사건의 대칭을 모르고는 세상을 이해할 수 없다. 이들은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도 실상 하나다.


    열거한 대칭개념들은 중국어로 된 두 단어를 합쳐서 하나의 단어로 부르는 것이다. 한국인에게는 두 글자씩 짝지어진 것이 익숙하지만 기미독립선언서만 읽어봐도 한 글자로 된 한자어가 무수히 등장한다.


   111.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5.04.01 (10:16:16)

서양인들이 대칭 개념의 동양 사상을 이해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 듯,

elevator - 올라가기만 하죠.  exit - 나가기만 하죠.

특히 한국인에게는 다른 나라에 없는 뭔가 있는듯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4.01 (10:19:26)

좋은 표현이네요. 써먹어야겠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75
3161 인과작용에서 상호작용으로 image 3 김동렬 2016-10-18 9600
3160 이 시대에 스승은 누구인가? 4 김동렬 2013-12-02 9606
3159 연역하는 방법 추가 image 1 김동렬 2012-07-02 9614
3158 12살 소녀 민희(가명)의 경우 김동렬 2006-10-27 9627
3157 완전성의 노래 image 8 김동렬 2013-05-28 9628
3156 약자를 위한 철학은 없다 1 김동렬 2018-06-12 9648
3155 무질서가 질서를 낳는다 1 김동렬 2013-07-11 9649
3154 에너지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8-05-15 9663
3153 정의란 무엇인가? 6 김동렬 2014-02-04 9669
3152 YES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3-09-04 9671
3151 깨달음과 무명 8 김동렬 2013-07-17 9679
3150 왜 독일은 강한가? 1 김동렬 2018-06-08 9684
3149 파충류가 된 지식 김동렬 2006-04-22 9688
3148 구조를 복제하라. image 1 김동렬 2016-10-20 9697
3147 영화 미스트의 부족민들 image 2 김동렬 2013-12-29 9700
3146 마르크스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3-05-31 9709
3145 대승과 소승 10 김동렬 2014-01-28 9720
3144 구조론은 쉽다 image 3 김동렬 2013-04-30 9722
3143 상호작용으로 보라 image 4 김동렬 2014-12-31 9738
3142 확실한 이야기 image 1 김동렬 2018-05-21 9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