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857 vote 0 2015.03.31 (23:45:30)

     

    대칭이란 무엇인가?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대칭이다. 세상은 온통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각기 짝지어져 있다. 각자 파트너가 있다. 대칭이라고 하면 점대칭, 선대칭, 면대칭 정도가 검색된다. 대칭을 단순히 수학적 개념으로만 이해한다면 콘텐츠 빈곤이다. 건반이 많아야 음악이 되고 색깔이 많아야 그림이 된다.


    대칭은 동양의 음양론에서 발달한 개념이며, 서양인들에게는 익숙지 않은 개념이다. 동양철학이 상대성의 철학이라면 서양철학은 절대성의 철학이다. 기독교라면 창세에서 말세까지 일직선이다. 반면 동양사상은 공자의 중용, 석가의 중도, 노자의 도道 할 것없이 중간에서 눈치를 보는 상대주의다.


    구조론은 절대성 아래에 상대성을 둔다. 절대성이나 단단한 입자의 절대성이 아니라 부드러운 양자의 절대성이다. 내부에 상대성을 갖춘 절대성이다. 상대성은 역설을 낳는다. 구조론은 이중의 역설이다. 상대성 위에 또다른 상대성이 있으므로 다시 절대성으로 돌아오지만 애초의 절대성과 다르다. 딱딱한 알갱이의 절대성이 아니라 바둑의 정석과 같이 부드러운 법칙의 절대성이다.


    문제는 숫자가 너무 많다는 거다. 빈부, 흥망, 승패, 출입, 명암 등으로 찍지어져 대칭을 나타내는 한자어를 모으면 1천 단어를 넘을 것이다. 체계화 해서 대칭개념의 수를 줄여야 한다. 바둑의 정석이 너무 많아도 피곤하다. 축구는 포메이션이 너무 많으면 안 되고 야구라도 작전이 너무 많으면 안 된다.


    혼돈을 질서로 바꾸어야 한다. 서유기처럼 에피소드가 너무 많아도 번잡해서 걸작이 못 된다. 삼국지만 해도 인물이 너무 많아서 골치가 아프다. 추릴 것을 추려야 한다. 분류의 방법을 도입할 수 있다. 대칭은 사건, 사물, 공간, 시간, 속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사건대칭 – 인과, 문답, 개폐, 매매, 생사, 모순, 동정
    ◎ 사물대칭 – 산수, 남녀, 일월, 명암, 농담, 초목, 수미
    ◎ 공간대칭 – 좌우, 상하, 원근, 고저, 장단, 경중, 심천
    ◎ 시간대칭 – 주야, 춘추, 전후, 신구, 고금, 선후, 완급
    ◎ 속성대칭 – 애증, 미추, 선악, 화복, 곡직, 강유, 희비


    사건대칭이 중요하다. 인과율이 대표적이다. 구조론은 원인과 결과의 인과대칭을 존재론과 인식론, 연역과 귀납,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엔트로피와 질량보존, 양자와 입자의 대칭으로 확장한 것이다. 사건의 대칭을 모르고는 세상을 이해할 수 없다. 이들은 여러 가지로 표현되어도 실상 하나다.


    열거한 대칭개념들은 중국어로 된 두 단어를 합쳐서 하나의 단어로 부르는 것이다. 한국인에게는 두 글자씩 짝지어진 것이 익숙하지만 기미독립선언서만 읽어봐도 한 글자로 된 한자어가 무수히 등장한다.


   111.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5.04.01 (10:16:16)

서양인들이 대칭 개념의 동양 사상을 이해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 듯,

elevator - 올라가기만 하죠.  exit - 나가기만 하죠.

특히 한국인에게는 다른 나라에 없는 뭔가 있는듯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4.01 (10:19:26)

좋은 표현이네요. 써먹어야겠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906
3726 집과 길 그리고 자궁 image 1 김동렬 2014-11-20 6303
3725 동적균형의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3 6309
3724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318
3723 태초에 무엇이 있었는가? image 5 김동렬 2016-08-07 6321
3722 의사결정학의 관점 2 김동렬 2014-07-06 6322
3721 희망을 버릴 수 있다는 희망 image 3 김동렬 2015-06-20 6324
3720 구조론의 법칙 김동렬 2014-09-11 6333
3719 신영복 선생의 완전성 image 김동렬 2016-01-18 6347
3718 행복은 세상에 대한 보고서다 image 11 김동렬 2015-02-21 6349
3717 인지혁명이 시작되다 image 1 김동렬 2016-06-13 6355
3716 불확정성의 원리 image 1 김동렬 2015-03-17 6356
3715 답은 상부구조에 있다. 1 김동렬 2014-08-24 6361
3714 구조론의 정수 image 2 김동렬 2014-12-19 6361
3713 질 입자 힘 운동 량 image 3 김동렬 2015-02-25 6362
3712 괴짜가 창의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5-15 6367
3711 구조의 시뮬레이션 image 8 김동렬 2015-02-23 6368
3710 남자가 실패하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5-04-27 6368
3709 구조론으로 본 의학 image 20 김동렬 2015-01-12 6383
3708 세, 법, 술로 이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5-06 6386
3707 권력과 의리 4 김동렬 2018-08-11 6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