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794 vote 0 2015.03.29 (18:58:43)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9.jpg


10.jpg


11.jpg



12.jpg




 

      
    구조는 대칭이다


    구조는 얽힘이다. 얽힘은 대칭이다. 자연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패턴이 대칭이다. 자연의 본성은 대칭이다. 대칭이 아닌 것을 찾기가 더 어렵다. 겉으로는 대칭이 아닌 것처럼 보여도 쪼개보면 내부는 대칭을 이루고 있다.


    자연 뿐 아니라 인공물도 역시 대칭을 따른다. 모든 아름다운 것 역시 대칭을 따른다. 투박한 아름다움은 대칭을 겉으로 강조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은 절묘하게 대칭을 숨겨놓는다.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 것이 대칭이다.


    자연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한다. 공간으로도 대칭되고 시간으로도 대칭된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존재하게 하는 것은 대칭이다. 대칭은 의사결정의 축이 내부에 있기 때문이다. 축이 어떤 것을 결정하면 곧 대칭된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존재하도록 결정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칭에서 벗어난 존재는 없다. 문제는 대칭을 어떻게 보느냐다. 대칭된 둘을 보면 실패고 대칭축을 중심으로 하나를 보면 깨달음이다. 2가 아닌 1로 보여야 한다.


111.JPG


    깨달음은 2를 1로 보는 능력입니다. 공간으로도 시간으로도 1로 보여야 합니다. 공간으로는 부분을 쥐고 전체가 보여야 하고 시간으로는 과거를 쥐고 미래가 보여야 합니다. 그럴 때 통제할 수 있습니다. 사건을 지배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5.03.29 (23:39:28)

얼마전에  "CERN 세상을 바꾼 60년" 이라는 다큐를 봤는데 . 

이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과학자들이 자신들이 하는 일에 대한 인터뷰 형태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 인터뷰 중에 이론 물리학자 한 사람이 나와서 자기 연구분야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데. 

"왜 자연의 모든 부분에는 대칭이 있는가 ?" 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을 합니다. 


그 부분만 캡쳐를 해서 올려 봅니다. 





녹화를 잘못해서 소리는 안나옵니다. 



[레벨:30]이산

2015.03.30 (00:38:29)

발견은 했는데 의문만 가지고 있네요
심심한데 이사람 찾아가서 정보좀 줄까요?ㅋ
[레벨:30]이산

2015.03.30 (00:39:16)

좋은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5.03.30 (07:22:08)

장사, 비즈니스, 사업, 공부, 삶의 영위에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하는 글. 공간과 시간, 부분과 과거 : 전체와 미래, '대칭안의 의사결정축'을 간단히 이해하게 한 모형과 해석!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5.03.30 (11:29:35)

동양은 큰 틀에서

음과 양으로 대칭

인과 과로 대칭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1691
3126 진화론 창조론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5-05-27 5350
3125 석가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image 6 김동렬 2015-05-26 7780
3124 부처님 오시기 전에 image 김동렬 2015-05-24 6427
3123 구조론을 만만히 보지 말라 image 김동렬 2015-05-23 6770
3122 구조론의 출발점 image 1 김동렬 2015-05-22 6572
3121 자연선택설의 허구 image 10 김동렬 2015-05-22 7236
3120 총균쇠의 관점 image 1 김동렬 2015-05-20 6754
3119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5-05-18 7061
3118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05-18 5622
3117 즐겁게 창조하자 image 김동렬 2015-05-16 5356
3116 창조론의 즐거움 image 5 김동렬 2015-05-14 6246
3115 척 보고 아는 구조론적 센스 image 6 김동렬 2015-05-13 6644
3114 엉뚱이가 창의를 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5-11 6286
3113 창의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5-05-10 9300
3112 다양성과 획일성 image 2 김동렬 2015-05-09 7003
3111 구조값을 판단하라 image 2 김동렬 2015-05-07 5990
3110 생각을 잘 하는 방법 image 5 김동렬 2015-05-06 9237
3109 세, 법, 술로 이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5-06 6384
3108 시스템으로 이해하기 image 김동렬 2015-05-05 5995
3107 세상은 짜고 치는 고스톱 image 김동렬 2015-05-05 6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