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920 vote 0 2015.03.29 (18:58:43)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9.jpg


10.jpg


11.jpg



12.jpg




 

      
    구조는 대칭이다


    구조는 얽힘이다. 얽힘은 대칭이다. 자연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패턴이 대칭이다. 자연의 본성은 대칭이다. 대칭이 아닌 것을 찾기가 더 어렵다. 겉으로는 대칭이 아닌 것처럼 보여도 쪼개보면 내부는 대칭을 이루고 있다.


    자연 뿐 아니라 인공물도 역시 대칭을 따른다. 모든 아름다운 것 역시 대칭을 따른다. 투박한 아름다움은 대칭을 겉으로 강조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은 절묘하게 대칭을 숨겨놓는다. 둘이 하나를 공유하는 것이 대칭이다.


    자연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한다. 공간으로도 대칭되고 시간으로도 대칭된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존재하게 하는 것은 대칭이다. 대칭은 의사결정의 축이 내부에 있기 때문이다. 축이 어떤 것을 결정하면 곧 대칭된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존재하도록 결정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칭에서 벗어난 존재는 없다. 문제는 대칭을 어떻게 보느냐다. 대칭된 둘을 보면 실패고 대칭축을 중심으로 하나를 보면 깨달음이다. 2가 아닌 1로 보여야 한다.


111.JPG


    깨달음은 2를 1로 보는 능력입니다. 공간으로도 시간으로도 1로 보여야 합니다. 공간으로는 부분을 쥐고 전체가 보여야 하고 시간으로는 과거를 쥐고 미래가 보여야 합니다. 그럴 때 통제할 수 있습니다. 사건을 지배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5.03.29 (23:39:28)

얼마전에  "CERN 세상을 바꾼 60년" 이라는 다큐를 봤는데 . 

이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과학자들이 자신들이 하는 일에 대한 인터뷰 형태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그 인터뷰 중에 이론 물리학자 한 사람이 나와서 자기 연구분야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데. 

"왜 자연의 모든 부분에는 대칭이 있는가 ?" 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을 합니다. 


그 부분만 캡쳐를 해서 올려 봅니다. 





녹화를 잘못해서 소리는 안나옵니다. 



[레벨:30]이산

2015.03.30 (00:38:29)

발견은 했는데 의문만 가지고 있네요
심심한데 이사람 찾아가서 정보좀 줄까요?ㅋ
[레벨:30]이산

2015.03.30 (00:39:16)

좋은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5.03.30 (07:22:08)

장사, 비즈니스, 사업, 공부, 삶의 영위에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하는 글. 공간과 시간, 부분과 과거 : 전체와 미래, '대칭안의 의사결정축'을 간단히 이해하게 한 모형과 해석!

프로필 이미지 [레벨:9]무득

2015.03.30 (11:29:35)

동양은 큰 틀에서

음과 양으로 대칭

인과 과로 대칭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8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101
3350 열역학 법칙이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4-09-26 7305
3349 구조론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4-06-12 7304
3348 인간은 비합리적인 존재이다 3 김동렬 2014-08-20 7290
3347 이중의 역설의 예 image 3 김동렬 2014-12-28 7281
3346 착한 거짓말은 없다 image 3 김동렬 2015-06-09 7280
3345 홍상수와 스캔들 김동렬 2018-07-26 7274
3344 인류 최후의 지식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4-12-25 7272
3343 삶은 있고 죽음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4-11-11 7267
3342 몇 가지 이야기 5 김동렬 2014-09-12 7267
3341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0-30 7262
3340 질은 분자간 결합력이다 image 김동렬 2014-06-04 7259
3339 이중의 역설을 훈련하라 image 4 김동렬 2014-12-20 7255
3338 후진국이 가난한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6-01-26 7249
3337 근대인의 사유 image 1 김동렬 2015-10-06 7241
3336 일관, 주관, 객관 1 김동렬 2014-06-15 7227
3335 의사결정이론과 구조론 1 김동렬 2014-06-29 7214
3334 천지창조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4-10-19 7200
3333 자유 평등 박애 그리고 정의 image 2 김동렬 2014-12-17 7187
3332 고쳐쓴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1 7179
3331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7 김동렬 2015-07-16 7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