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read 2615 vote 1 2015.03.21 (22:19:26)

https://mirror.enha.kr/wiki/%EB%9D%BC%EC%9D%B8(%EB%A9%94%EC%8B%A0%EC%A0%80)#rfn2


라인은 왜 성공했나?

- 대개 현지화 성공이라고 하는데, 이를 조직 체계의 관점에서 봤다.

정리하자면 고안해서 개발지시를 내린 것은 한국이고[3] 개발한 것은 한국기업의 자회사인 일본지부이며, 개발책임자는 일본인, 개발 인력은 한국, 일본, 중국인으로 다국적이다. (엔하위키미러 발췌)

이 순서와 배합은 외국계 기업이 특정국에서 사업을 성공시키는 원리가 되며, 이는 국내에서도 응용할 수 있다.


어떤 사업을 할 때, 
1) 사업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내외부 관점을 동시에 가진 사람이 하고,
2) 사업체와 책임자는 현지에서 조달하며,
3) 실제로 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은 다양함을 살린다는 개념이다.

그 이유는,
1) 내외부 관점을 동시에 지닌 사람에 비해 내부인은 관점에 한계가 있다. 자신의 문화에만 젖어 있어 새로운 성공한 사업가들은 대개 외국 또는 외부 경험을 했는데, 자신의 국가 혹은 지방, 사업영역을 다른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큰 그림은 주관과 객관이 혼합된 관점이 있는 사람이 보지만, 구체적인 것은 내부 사람이 더 세밀하게 이해할 수가 있다. 사업에 앞서 의사결정의 관점에서 봤을 때 외국인이 회사를 운영해 버리면 조직이 깨지기 때문에 내국 회사가 해야 한다. 

3) 업무 추진에 있어서는 다양성이 중요시된다.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모이면 그것 자체로 창의성의 풀이 형성이 된다. 서로 생각하지 못했던 점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이는 국내에서 회사를 만들더라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보는데,
1) 혼합1인
2) 본토인
3) 혼합다인
으로 세력을 만들었을 때 조직의 의사결정이 깨지지 않으면서도 가장 큰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본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5052 좋은 컬럼에 감사드립니다 소운 2005-12-10 6393
5051 김동렬님 강도 2005-12-16 6382
5050 한국 선수들 좀 뻔뻔했으면 좋겠습니다. image 파라독스 2005-12-23 8186
5049 어떻게 판단하고 계신지요? 1 열수 2006-01-04 6471
5048 고맙습니다. 황박 중간 평간 글 잘읽었습니다(내용무) 열수 2006-01-05 6337
5047 [산복도로] 1 달빛산행 2006-01-12 5763
5046 동렬님 구경하고 갑니다. 토탈싸커 2006-03-04 6393
5045 동렬님께. 토탈싸커 2006-03-04 6021
5044 황우석박사논문논란에 대하여 토탈싸커 2006-03-05 7206
5043 양식론... 1 소나무 2006-03-07 5936
5042 구조론을 읽다가. 1 오세 2006-03-08 6400
5041 동렬님 감사합니다. 오세 2006-03-11 6364
5040 아...예 1 프로메테우스 2006-03-20 6693
5039 메일 하나 드렸습니다 2 쏘랙스 2006-05-02 5681
5038 구조론 카페에 안들어가져요 2 고마버 2006-05-06 5927
5037 좇아 왔습니다. 1 갈대꽃 2006-05-24 5876
5036 정말 미쵸.... 자갈치아재 2006-05-24 6777
5035 반갑습니다. 패칸 2006-05-26 5822
5034 동열님 따라서.... joon 2006-05-27 6598
5033 좋은 생각입니다 어울림 2006-05-30 8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