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마이너스다'를 읽다가
문득 세종시와 혁신도시는 플러스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구조론적으로 세종시와 혁신도시는 잘못된 건설된 것인가요?

![포인트:75790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서울의 것을 지방으로 빼는게 마이너스지 어찌 플러스겠소? 지방은 플러스 되지만 결정권은 지방에 없죠. 결정권을 논하는게 구조론입니다. 지방에 결정권이 있다면 서울을 통째로 목포가 가져갔겠죠.
![포인트:522point (36%),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결정권! 그렇군요. 이렇게 하나를 깨닫는군요.
그런데
세종시, 혁신도시 건설은
구조론 5단계에서 어디에 속할까요.
구조론적으로 다음단계로 나아가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포인트:757905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구조는 지방화전략이라는 사건 전체를 조망해야 합니다.
그냥 도시건설만 보는건 답이 아니지요.
서울의 인구포화, 부동산폭등이 질이고
거기서 지장으로 에너지를 빼는 것입니다.

![포인트:23340point (10%), 레벨:16/30 [레벨:16]](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6.gif)
얼마 전에 교통안전공단과 할 이야기가 있어서 가 볼까 했는데, 홈페이지를 보니까, 오잉? 잠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던 교통안전공단이 경상북도 김천에? 그래서, 그냥 전화로 대체. 하기야 직접 가려고 해도 KTX 타면 두시간이면 되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