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681 vote 1 2015.02.17 (14:27:46)

        68.jpg


    와인드업은 '밧줄을 감아올린다'는 뜻이다. 전신에 펼쳐져 있는 신체의 힘을 축이 되는 엉덩이로 감아올린다. 힘은 엉덩이에 모였다가 다시 방향을 틀어 발바닥으로 간다. 이는 상부구조에서의 방향전환이다. 여기서 신체와 축의 대칭이 성립한다. 그 대칭을 비대칭으로 만들어 발바닥으로 힘을 쏘아보낸다. 


    피칭은 말뚝을 박듯이 '박는다'는 뜻이다. 발바닥으로 보내진 힘의 방향을 틀어 손끝으로 보낸다. 발에서 허리와 손을 거쳐 공으로 힘을 쏘아보내는 것이 하부구조에서의 방향전환이다. 여기에는 하체와 상체의 대칭이 있다. 그 대칭을 깨뜨려 공을 쏘아보낸다. 모든 사건에는 2회의 방향전환이 숨어 있다.  


69.jpg


    하나의 사건에는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 의사결정이 있다.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양은 침투한다. 


    질의 결합은 흩어진 신체의 힘을 소실점에 모아 축을 이룬다. 입자의 독립은 축이 전체를 대표한다. 입자는 대표권을 행사하여 축을 이동시킴으로써 비대칭을 연출한다. 힘의 교섭은 발로 땅을 굴러 힘의 방향을 바꾼다. 운동의 변화는 발에서 손으로 힘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상부구조가 주로 공간의 결정인데 반해, 이 지점에서는 시간이 중요하다. 운동의 속도가 투수의 구속을 결정한다. 양의 침투는 힘이 공으로 침투한다. 이로써 사건의 1 사이클은 종결되며 다시 힘을 쓰려면 원점으로 되돌아가 와인드업부터 새로 시작해야 한다. 


    어떤 일이든 거기서 두 번의 방향전환, 곧 이중의 역설을 찾아내지 못하면 아직 사건을 이해한 것이 아니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아베가 사안을 너무 단순하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복잡한 사건은 복잡하게 이해해야 한다는 말이다. 


    구조는 복잡하다. 방향이 한 번 바뀌면 표시가 나는데 두 번 바뀌면 원래대로 돌아오므로 방향이 바뀐 사실을 눈치채지 못한다. 그러므로 제어에 실패하는 것이다. 


    첫 번째 방향전환은 팔과 다리와 온 몸이 팀플레이를 하고, 두 번째 방향전환은 팔이 주도하는 개인플레이가 된다. 두 번째만 본 사람은 독재자나 재벌에게 맡겨두면 된다고 착각한다. 


    공은 팔이 혼자 던지지만 실제로는 온 몸이 가담하여 완벽한 밸런스를 만들어줌으로써 그 팔을 감독하는 것이다. 신체의 한 부분이라도 딴짓하면 밸런스가 붕괴되어 공은 엉뚱한 곳으로 날아간다. 집행은 대통령이 하지만 국민은 그 대통령을 감독해야 한다. 그 과정에 완벽한 밸런스를 유지해야 한다. 


111.JPG


    어떤 판단을 할때 두 번의 방향전환, 이중의 역설, 팀플레이와 개인플레이를 항상 염두에 두고 이 구조를 시뮬레이션한 다음에 의사결정하는 것이 깨달음입니다. 그냥 판단하면 그냥 틀립니다. 눈치로 판단하는 대중의 균형감각보다 논리로 무장한 지식인의 판단이 더 틀릴 때가 많은데, 그 이유는 내막을 모르는 대중이 방향전환이 없는 것처럼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두 번 방향이 바뀌므로 원래대로가 되어서 바른 판단처럼 보입니다. 지식은 사건 내부에 개입하므로 반드시 오판합니다. 소인배가 벼슬 한 자리를 차지하면 지식인이라도 된 양 머리를 쓰는데 그럴수록 오판합니다. 대중이 일제히 오판하는 경우가 이 경우입니다. 눈 감고 찍어도 50퍼센트는 맞는데 대중이 머리를 쓰면 백퍼센트 틀리게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5.02.17 (22:44:37)

yhy님이 수학으로 표현하는 것은 좋은데 도대체 이해를 못 하겠으니 설명은 좀 하셔요.^^


m이 뭔지 dt는 뭔지 대강은 얘기해야 여기 오는 회원들 중 수학 공부하는 사람들은 

더 공부할 것 아닙니까?


여기는 연구소이니 자기가 아는 걸 좀 풉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5.02.17 (22:50:41)

동렬님은 수백번을 회원들께 구조론 설명 하고 있는데...


저는 자유게시판에서 좋은 음악이나 영화 소개하면서 나름 풀고.

[레벨:6]sus4

2015.02.17 (23:07:10)

x(t)는 시간에 따른 위치.


이것을 한번 미분하면--- 시간에 대한 위치의 순간 변화량. 즉 속도.

이것을 한번 더 미분하면--- 시간에 대한 속도의 순간 변화량. 즉 가속도.

즉 위치를 두번 미분하면 가속도가 됩니다.


그러므로 위의 식을 잘 알려진 방식으로 다시쓰면


ma= F


질량 곱하기 가속도는 힘이라는 유명한 방정식이 됩니다.


그런데 이것이 동렬님이 말한 두번의 방향전환과 관련이 있나요?

요즘 동렬님 칼럼을 안 읽었더니... 진도를 놓쳤네요.


더 자세한 설명은 다른 분에게 패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5.02.17 (23:19:03)

이런 걸 좀 더 쉽게 설명헤 달라는 부탁.


전 고딩 때 미분,적분 나오는 순간 무슨 말인 지 몰라서 수학 포기.


근데 대학에서 논리학은 좋은 점수.


이건 뭐냐면 용어에 대해서 또는 설명을 제대로 못한 선생의 잘못이죠.

[레벨:6]sus4

2015.02.17 (23:26:54)

허허.

시간 나실때 정석 한 번 펴보세요.

저도 고등수학 수준이지만

미분이 뭔지도 모르고 죽는 건 좀 아쉬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2.17 (23:31:45)

기호나 숫자는 잘 모르겠고

그냥 공을 쥐고 한 번 던져보면 됩니다.

아니면 그냥 손가락으로 물체를 쥐어보세요.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로봇팔을 움직여 보세요.

반드시 두 번의 방향전환이 필요합니다.


어떤 짓을 하려면 그것을 하는 주체를 정해야 하는데

심부름을 시켜도 반장이나 주번을 정해야 하듯이

그 주체를 정하려면 한 번 방향전환이 필요하고

그 주체가 심부름을 하려면 한번 방향전환이 필요합니다.


손목이 손가락에게 심부름을 시켜도 그렇고

발목이 발가락에게 일을 시켜도 그렇습니다.

무조건 두 번 대칭>비대칭을 해야 합니다.

옆사람에게 귓속말로 전달전달해도 

전달받을 때 한번, 다시 전달할 때 한번으로 

두번 고개를 돌려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2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5
3700 러닝 피라미드 image 4 김동렬 2018-08-06 9535
3699 해리의 거짓말 image 7 김동렬 2014-01-23 9532
3698 고대사에 대한 생각 image 3 김동렬 2015-07-08 9529
3697 인간은 왜 사는가? image 김동렬 2016-05-09 9520
3696 모든 이야기의 시작 6 김동렬 2018-06-14 9519
3695 구조가 싫은 분들께 19 김동렬 2012-06-30 9518
3694 마르크스와 케인즈 극복하기 9 김동렬 2014-01-05 9515
3693 절대어사전 김동렬 2013-07-16 9502
3692 생각의 집을 짓자 7 김동렬 2013-07-07 9498
3691 작더라도 전체를 먼저 완성해야 한다. 2 김동렬 2018-05-30 9476
3690 진보는 웃음이다. image 6 김동렬 2013-04-26 9475
3689 깨달음 A에서 김동렬* 2012-10-21 9467
3688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466
3687 제논의 궤변 image 1 김동렬 2016-10-11 9465
3686 나쁜 사람은 있다 김동렬 2018-05-31 9457
3685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3 김동렬 2018-07-11 9454
3684 섬진강 김용택 다목리 이외수 김동렬 2006-11-14 9445
3683 구조론 독자 여러분께 image 3 김동렬 2013-12-13 9439
3682 선이 굵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3-12-21 9438
3681 구조론의 관점 image 4 김동렬 2013-12-09 9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