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723 vote 0 2015.02.04 (11:21:07)

 


   

60.jpg

    자연의 어떤 상태는 정, 정의 변화는 동, 동의 대칭은 동의 정, 그 대칭의 소실점을 움직이면 동의 동이다. 이때 소실점을 움직이면 자연히 균형이 맞아버리는 원리가 있다. 즉 어떤 두 집단이 대립하고 있는데 대개 한쪽으로 기울기 마련이다.


    신랑측 집안과 신부측 집안 사이에 균형이 맞지 않다. 그게 저절로 맞을 확률은 시계 바늘 둘이 우연히 일치할 확률만큼 작다. 그러므로 조직은 깨진다. 그러나 그 접점을 살짝 이동시키면 균형이 맞아버린다.


    중국과 미국 사이에 균형이 맞지 않다면 그 접점인 한국이 슬쩍 움직여줘서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이때 약간만 움직여줘도 큰 효과가 일어난다. 적벽대전에서 조조의 위나라 군대와 손권의 오나라 군대는 병력수에서 압도적인 차이가 났다. 그때 유비가 끼어들어 2만의 적은 군세로 손권편을 들었을 뿐인데 균형이 맞아버렸다. 손가락 하나 까닥 했을 뿐인데 천하가 요동친다.


    이 방법으로 힘들이지 않고 조직을 컨트롤할 수 있다. 그것이 동적균형이다. 동적균형은 소실점을 움직여서 끌어낸다. 소실점은 움직이는 유체의 기세, 치고나가는 방향성이다. 그 방향을 슬쩍 틀어주기만 해도 대군이 격파되고 천하가 안정된다. 유시민의 개혁당이 불과 2만의 급조된 당원으로 정몽준의 꿈을 박살낸 것과 같다. 정몽준으로 향하던 기세를 딴죽걸기로 슬쩍 틀어준 것이다.


    동적균형을 이해하는 핵심은 위 순서가 반대로 작동한다는 데 있다. 정≫동≫동의 정≫동의 동이 아니라 그 반대 순서다. 가만있는 정을 움직여서 동으로 만들 수 없다. 마이너스 원리에 따라 에너지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답은 밖에서 찾아야 한다. 개인이 아니라 팀이 답이다.


    국가 안에는 답이 없고 외교에 답이 있다. 진보가 오류에 빠진 것이 이 때문이다. 풀뿌리로 당원을 모아 어떻게 해보려는건 미친 짓이다. 그리스의 시리자는 순식간에 정권을 잡았다. 바깥에서의 충격을 이용한 것이다. 통진당이나 정의당이 어떻게 해보려고 발버둥을 쳤지만 물 밖으로 나온 물고기 신세라서 실패다. 물고기가 원하는 물은 바깥에 있기 때문이다. 


    외부로 뻗어나갈 생각이 없는 진보는 실패한다. 드물게 외부에서의 결정적인 타격이 올때까지 준비하고 기다리는 수도 있는데 이는 나무에서 감홍시가 떨어지길 기다리는 것과 같다. 러시아 혁명도 일본군의 침략이라는 외부타격을 이용한 것이다. 중국의 공산화도 마찬가지다. 행운은 자주 오지 않는다. 


    IMF라는 외부에서의 타격, 인터넷이라는 타격이 김대중, 노무현의 집권을 도운 것은 맞다. 그러나 이 역시 외부에 알려진 김대중의 명성, 외부에 나가본 적이 있는 김어준의 자신감으로 가능했다. 고립된 내부에서는 절대 답이 없다. 물론 이 초기세팅 단계를 지났다면 내부에서도 답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꿰어야 할 첫 번째 단추는 무조건 외부에서 온다. 두 번째 단추부터는 내부에서의 준비가 쓰인다.


111.JPG


    대개 일이 이루어지는 절차는 외부타격과 내부호응이 맞아떨어졌을 때입니다. 그런데 외부타격은 일단 나쁜 소식이라는 전제가 깔립니다. IMF는 나쁜 소식이고 인터넷은 좋은 소식인데 무조건 나쁘다고 전제하는 겁니다. 실제 역사의 많은 혁명들은 외부에서의 나쁜 소식에 의지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외부는 나쁘다고 선언하고 반미, 반일, 반북, 반중, 반러를 외치다가 정작 외부에서의 결정적인 소식이 왔을 때는 그 외부와의 라인이 끊어져서 레닌 없는 스탈린으로 몰락하는 것입니다. 오히려 레닌처럼 외부로 나갔다가 들어와야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02.04 (13:42:56)

그동안 이해가 안됐었는데 이번 그림은 쉽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2.04 (15:18:37)

구조론은 다 연결되어 있으므로 언제나 그게 그거죠.

같은 내용을 계속 반복하고 있다는 말입니다. 똑같은 이야기를 반복했는데


어떤건 이해가 안 되고 어떤건 쉽다면 낭패. 정말 이해하고 이해했다고 하는지.

이해를 하지 말고 통찰을 하시는게 어떻소?


구조론은 눈에 보이는 값이 아니라 에너지의 결을 논하는 겁니다.

이 말도 수백번 했는뎅. 그런데 여전히 눈으로 보면서 찾으려고 하고 있다는 느낌.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음 사과가 떨어지는구나' 하면 황당한 거.

사과가 떨어질 리가 없잖아요. 


에너지로 보면 변화는 없음.

우주가 망하고 지구가 파멸하기 전까지 사과는 절대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images (1).jpg


그럼 한 팔만 오므리면? 그런 경우는 절대로 없습니다. 

보이지 않지만 반드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게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벌린 팔을 오므릴 수가 없는 거죠.

이런 그림을 머리 속에 담고 있어야 합니다. 


어떤걸 이해했다거나 못했다거나 간에 

뭔가 느낀걸 말할 때 과연


머리 속에서 이런 시뮬레이션을 돌려보고 하는 말인지 

그냥 어벙벙하게 하는 말인지가 궁금하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5.02.04 (22:36:01)

저는 기억력이 나쁜편이라 기본적으로 머리에 몇가지 모형을 담아두고

새로운 지식이 들어오면 모형과 비교해보고 시뮬레이션을 합니다만,

대개 동렬님의 말씀이나 글이 이해가 되지 않을 때는

1. 언어의 이해가 부족할 때

2. 내 모형이 맞았다고 생각했는데 오류가 있을 때(물론 이 때도 언어의 문제)

입니다.


아래는 전에 쓰셨던 내용입니다.


    1) ◎ 존재가 관측되면 정靜이다.
    2) ◎ 존재가 움직이므로 관측에 실패하면 동動이다. 
    3) ◎ 움직임을 막아서는 대칭에서 관계를 관측하면 정靜이다. 
    4) ◎ 그 관계의 변화에서 하나의 방향성을 읽으면 동動의 동動이다.
    5) ◎ 동動의 동動을 읽었을 때 뜻을 실어 펼 수 있다.


3)과 4)를 보고 오늘 그려주신 그림을 떠올려야 하는데,

동렬님은 쉽겠지만 저처럼 추상능력이 떨어지면 그림을 봐야 쉽게 이해를 합니다.

변명을 하자면 화자의 의도가 1일 때 청자는 5를 생각하고 

화자의 이야기가 전개될 때 각 관절마다 지속적으로 수정을 하는 과정이 머리속에서 일어나야 하니깐요.


아무튼 위의 순서는 귀납적 순서고 결국 실제 '사건'은 4)>1)로 벌어지니(벌어진다는 표현이 좋네요)

사건의 최초 단계 즉 중첩(질, 축)을 움직여 전체를 통제한다고 이해했습니다.(움직일리는 없고 방향을 맞춰서)


가급적이면 '구조' 책을 다시 보고 

기존에 머릿속에 만들어 놓은 모형에 오류가 있나 없나를 살펴보려 하고 있으나, 

게으른건지, 진짜로 머리가 나쁜건지 아직은 분명하지 못한 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과 얘기는 무슨 말씀이신지.. 정말 이해가 안됩니다..

무중력과 진공의 우주에서 전진이 불가능한 것을 가지고 이해해보려 했으나 역부족입니다.

로켓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은 우주 공간으로 가스를 집어 던지기 때문인데

이것을 말씀하시는 것인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2.04 (23:22:28)

이해는 필요없소.

김동렬의 수법은 항상 같다.

패턴이 똑같다.

그것은 사실을 틀어 언어에 맞추는게 아니라 언어를 틀어 사실에 맞춘다.

그러므로 이해할 필요도 없이 김동렬의 뻔한 수법을 쓰면 되잖습니까?


자연의 어떤 상태는 정인데 

사과가 떨어지면 정에서 동으로 바뀌니까 당연히 지구가 폭발해야 하지 않습니까?

그런데도 지구가 멀쩡하다?

그렇다면 사과는 떨어지지 않은 거죠.

사과가 떨어지지 않았다면 공간이 흐른 거죠. 

과연 사과가 움직였을까요?

사과 안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요? 

천만에.

사과 입장에서는 매우 억울한 일입니다.

자기는 가만있는데 지구가 달려와서 박았으니까요.

지구가 사과에 박았는데 왜 가만있는 사과에 죄를 뒤집어 씌웁니까?

분명한 것은 그 순간에 사과 자신은 꼼짝도 안하고 가만있었다는 거.

우리는 지구와 사과 사이가 허공이고 

그 사이에 암것도 없다고 가정하지만 과연 거기에 암것도 없을까요? 

만약 있는데 인간들의 눈이 장님이라 못봤다면?

우리는 당구공이 당구대로 떨어진다고 말합니다.

떨어지긴 미쳤어?

니가 큐대로 쳤잖아.

공간의 흐름이 사과를 때리는거 못 봤어요?

난 봤는데?


에너지로 논한다는 관점 자체가 없으면 낭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42 손가락을 가리키면 달을 본다 image 2 김동렬 2015-02-04 7445
» 동적균형으로 해결하라 image 4 김동렬 2015-02-04 6723
3040 깨진 유리창 이론[추가됨] image 1 김동렬 2015-02-02 7970
3039 대수에서 기하로 image 2 김동렬 2015-01-31 6631
3038 지식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1-28 8009
3037 이기는 자가 강한 자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1-26 7187
3036 바른 의사결정은 어렵다 image 9 김동렬 2015-01-25 7868
3035 깨달을지어다 image 5 김동렬 2015-01-23 7284
3034 맨 처음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5-01-22 7115
3033 모형으로 사유하라 image 4 김동렬 2015-01-21 6578
3032 한恨이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5-01-21 7100
3031 미련한 곰도 깨달을 수 있다. image 3 김동렬 2015-01-20 7367
3030 소크라테스의 해명 image 3 김동렬 2015-01-19 6701
3029 천지불인 image 3 김동렬 2015-01-18 7314
3028 구조론적 사유 훈련하기 image 50 김동렬 2015-01-16 8106
3027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 image 8 김동렬 2015-01-14 8116
3026 인식론의 문제 image 9 김동렬 2015-01-14 7057
3025 노력지상주의를 극복하라 image 3 김동렬 2015-01-14 7091
3024 유체를 통제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1-13 6550
3023 에너지가 사건을 일으킨다 image 5 김동렬 2015-01-12 6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