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85 vote 0 2015.01.29 (07:50:12)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44180&no=30&weekday=thu



11.jpg



우리말 이해理解는 자연의 엮인 것을 풀어낸다는 뜻.

영어의 understand는 자신의 뇌 안에 진리의 복제본을 엮어 세운다는 뜻.


정확히 반대방향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바라보는 방향이 다르면 소통은 불통이 되고 마는 거지요.


먼저 눈이 보는 방향을 바꾸어야 합니다.

여기서 구조론 문제의 백퍼센트는 해결됩니다. 

 

57.jpg


이해理解는 꼬인 밧줄을 풀어버리려는 태도입니다.

이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관점이죠. 여전히 자신은 밖에 서 있다는 거.


그러나 understand는 건물 안으로 들어와서 천장이 어떻게 생겼는지 보고 골조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즉 진리 안으로 들어와서 서 있다는 거죠.


그런데 under라는 단어 자체를 한국인은 반대로 이해합니다.

거북이 앞에 서서 저 거북을 뒤집으면 어떻게 될까 그것이 한국인의 under입니다.


영어의 (un안der들)은  안으로 들어가다는 뜻인데 이미 건물 안으로 들어가서 천정의 구조를 본 겁니다.

건물 밖에서 이해했다고 우기는 넘은 아직 이해를 못한 거에요.


한국인 중에 under를 받아들인 넘이 없는데 understand된 한국인이 있을 리 없죠.

알고 모르고의 문제가 아니라 받아들이느냐입니다.


진리 안으로 들어오지 않고 문 입구에서 얼쩡거리면 영원히 깨닫지 못합니다.

그냥 쑥 들어오면 됩니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15.01.29 (10:57:12)

자전거를 타면서 균형을 잡는게 '이해'입니다. 자전거 자전거 하면서 에헴하는건, 그냥 자전거를 '구경'한는거죠.


남 따라할적에는 '구경'으로 됩니다. 무언가 창의할때는, '복제'할 '기본구조'를 가춰야하는데, 그게 '완전성'입니다. 단순하게 시작하는게 '정석'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1.29 (11:03:13)

좋은 표현이오. 써먹어야겠소.

[레벨:3]Outfielder66

2015.01.29 (17:07:32)

Understand는 우리말로 "안다" "알겠다" "알았다"가 더 가깝지 않을까요?

이해는 See, Get...이정도가 비슷할 거 같고요.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15.01.29 (11:38:41)

이해해주시니 감사할 뿐입니다... 어색한 자찬은 그만하고.

제가, 공대에 있으면서, 인도 프로그래머들에게 처음 느낀게,  '곤조'였습니다. 유닉스에서 컴파일하고 버그 찾고, 어색한 포트란에서, 문법고치는건데, 왠 주문 외우듯이 하더란 말입니다. 그때 샨티란 친구말이 도움이 되더군요. 그냥 간단한모델 컴파일하고, 실행해봐라. 제일 간단한걸로 여기서 물론,  'Hello World' 이건 제외입니다...그건 사기꾼들 전략입니다. 미국 사기꾼거를 한국 범생들이 그냥 따라한거죠...ㅋㅋ

문과가 싫어서 이공계로 왔는데, '창의'의 지점에서는 다시 만나지만, 그것 또한 '조소'의 과정임을 알게 됩니다. '접착'이 아니라, 깎아내고 제거해내서 결을 발견하는거죠. 때를 만드는건 사람의 일이 아니니, 기다릴 밖에요. 

와인한잔하기에 좋은 미국 동부 저녁시간에 몇자 적어봅니다!  눈이 꽤나 왔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5.01.29 (11:42:15)

눈폭탄 뉴스가 나왔는데.. 90센티..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164
1078 답에서 문제 찾기 image 김동렬 2015-07-06 3482
1077 마음의 방향. 2 아제 2012-11-03 3482
1076 데바닷타의 경우 김동렬 2016-08-28 3480
1075 의사결정 회피의 결과 김동렬 2014-02-27 3479
1074 과학에 대한 재미있는 통찰 7 김동렬 2014-08-12 3478
1073 아는 사람의 딜레마 2 김동렬 2014-07-22 3475
1072 멍청한 소리 image 2 김동렬 2017-12-19 3473
1071 생각의 정석 134 김일성 훈장 1 김동렬 2016-07-04 3473
1070 착한 사람 되려다가 만만한 사람되고 2 이상우 2021-10-08 3472
1069 미국의 노무현 앤드루 잭슨 4 김동렬 2017-04-26 3471
1068 바루거나 즐기거나 5 이성광 2012-11-28 3470
1067 리처드 도킨스의 권력놀이 1 김동렬 2016-11-01 3469
1066 자율주행은 매우 쉽다 1 이금재. 2021-07-28 3466
1065 생각의 정석 94회 -추석특집- 1 오세 2015-09-22 3466
1064 불佛은 붓이었다. 2 김동렬 2017-08-28 3462
1063 공자의 수수께끼 1 김동렬 2016-01-19 3462
1062 존엄 즐기기 ░담 2012-12-03 3457
1061 생존전략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6-09-20 3456
1060 존재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5-05-18 3456
1059 생각의 정석 116회 오세 2016-03-05 3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