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135 vote 1 2015.01.26 (11:50:34)

  

   

http://www.huffingtonpost.kr/2015/01/23/story_n_6529310.html?1421993168



 여성단체연합에 따르면, '페미니즘'이란 '계급, 인종, 종족, 능력, 성적 지향, 지리적 위치, 국적 혹은 다른 형태의 사회적 배제와 더불어,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별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차별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정치적 의제들'이다.


    ###


    차별을 없앤다고 말하는게 바로 차별입니다. 하여간 말은 대중이 쉽게 알아먹을 수 있도록 단순명쾌해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말을 복잡하게 하면 대중들에게 스트레스를 줘서 페미니즘에 대해 거부감이 들게 하죠. 


    페미니즘은 '여성의 권력' 주장입니다. 이게 본질이고 나머지는 걍 폼 나라고 갖다붙인 거. 권력은 집단 내부에서의 의사결정권입니다. 그리고 권력은 차별을 반대하는 동등과 모순입니다. 서로 동등하면 권력은 사라지는 거죠. 

 

    검색해보면 페미니즘의 종류를 굉장히 복잡하게 분류를 해놓았어요. 이런 식으로 구분을 하면 할수록 손해입니다. 이것이 바로 진짜진짜 정통 바른 페미니스트라는 식의 말이 나오면 안 됩니다. 그런 식의 구분이야말로 자중지란인 거죠. 


    좋은 페미니즘과 나쁜 페미니즘이 있다는 식은 최악입니다. 우리가 국어공부를 해야 합니다. 모든 것을 의사결정원리로 파악해야 합니다. 권리에서 권력이 얻어지며 그것은 정당한 것입니다. 권력이라는 말에 거부감을 가지면 안 됩니다. 


    구조론은 권리-권력이론입니다. 발명가에게 특허권을 주듯이, 작가의 저작권을 인정하듯이, 개인의 사적 소유권을 인정하듯이, 출산, 육아 등의 모든 지점에 여성의 적극적인 권력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며 이를 인정하는 것이 페미니즘입니다. 


    페미니즘은 발명가나 작가의 특별한 권한을 인정하듯이, 여성의 특별권한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손해보지 않겠다는 의미의 소극적 페미니즘이 아니라, 정당한 내몫을 챙기겠다는 적극적 페미니즘이 필요한 거죠.


    집단의 의사결정구조 안에서 여성의 입지를 높이는 쪽으로 의사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결정권을 양보하는 대신 반대급부로 무언가를 얻어낸다는 식이면 최악입니다. 의사결정권을 지키는게 가장 중요하죠.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15.01.27 (10:05:40)

자유에 대한 본능적 불안감. 권력이라는 '깨달음'이 절실.

실은, 차별당하면, 마치 깍두기가 된듯한 착각에 빠지게 되서, 게임에서제외되는 착각을 하게 되죠. 

그래서 깍두기를 자처하는 오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73
834 오른쪽은 어디인가? 김동렬 2014-02-27 4100
833 구조론에 대한 질문 4 자유 2008-11-26 4103
832 제품의 가치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1-02-15 4103
831 이외수 죽이거나 지우거나 담^ 2013-01-30 4103
830 이윤성 교수 발언의 문제는 무엇인가? (구조론 식구들 함께 찾아보아요) image 24 오세 2014-05-28 4103
829 조선일보의 비밀 image 2 김동렬 2016-12-15 4104
828 생각의 정석 12회 -미쿡특집- 4 오세 2013-09-12 4105
827 구조를 알아야 관계는 도약된다. 5 조율 2011-05-29 4108
826 비트코인 단상 6 오리 2022-07-12 4109
825 인간은 폭력적인가? 6 김동렬 2014-03-24 4112
824 그네파 일당이 봐야할 영화 6 김동렬 2014-05-20 4113
823 구조론 데이터를 통한 ChatGPT 테스트 1 오리 2023-03-11 4122
822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24
821 이말년은 알고 있었다. image 김동렬 2016-11-18 4133
820 전기산업의 독특한 특성 2 mowl 2022-08-22 4133
819 장자의 관점에 대해 논하시오. image 5 김동렬 2014-07-30 4135
» 한국사람은 국어공부를 해야 함다. 1 김동렬 2015-01-26 4135
817 구조론과 정신분석 (논문에서 발췌) 오세 2010-11-12 4137
816 권구조담- 부바키키 효과 발견, 어학 수학 한 줄에 꿰기. 2 ░담 2010-12-21 4137
815 다윈, 라마르크 둘 다 틀렸소. image 2 김동렬 2015-02-08 4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