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연구
read 8068 vote 0 2002.09.10 (13:48:23)

영어는 이제 끝났습니다!

영어단어 3만개만 외우면 됩니다. 물론 3만 단어가 적은 숫자는 아니죠. 그러나 대부분의 단어는 기본형에 접미어만 약간씩 차이가 나는 파생어들입니다. 파생어가 만들어지는 원리만 파악하면 10분의 1로 줄어듭니다.

물론 3000단어 외우기도 쉽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그 3000어가 우리말과 발음이 같다면 어떨까요? 더욱 그 3천 단어도 실은 겨우 600개 밖에 안되는 어근에 접사가 붙어 만들어진다는 조어원리를 알고보면? 거저먹기지요.

이른 것은 일러early ↔ 늦은 것은 늦다later

오셨다host면 주인 ↔ 가셨다guest면 손님

젓가락 짝은 한 벌pair ↔ 양복은 한 짝suit

앞에 서면 앞섰다first ↔ 뒤에서는 쫓아간다second

뿌려대broad는 면적은 폭 ↔ 팔을 벌려닿breadth는 너비

영어와 우리말의 발음이 같으므로 이제부터는 영어도 우리말처럼 반대말 찾기, 끝말잇기 방식으로도 암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영어가 너무 재밌어요. 또한 끝맛잇기로 한 번 놀아볼까요?

♣ 늘인line 것은 줄, 줄을 늘기long면 길다, 길면 느슨loose해, 느슨하면 늦다late, 늦으면 놓쳐lost, 놓치면 잃어err, 잃은 것은 길에 놓아둔load 짐, 짐을 땅에 놓다lot, 놓으면 낮아low, 낮으면 누워lie, 누워있는 땅바닥은 넓지large.

보세요! 신통방통하죠? 우리말과 똑같아요. 똑같애! 우연히 발음이 비슷한 것을 골라놓은 것이 아니냐고요? 천만에요. 다음을 보세요.

피우려flower (꽃을 피우려) 더한than (보다 더한)
마땅must (마땅히 해야한다) 쪼아서choose (새가 부리로 쪼아서 선택)
짓다just (결말을 짓다) 질shall (책임을 질)

flower가 '꽃'이 아니라 '피우려'인지 어떻게 아느냐고요? 외국의 언어학자들이 다 연구해서 어원을 일일이 찾아놓았기 때문에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어원이 같은 단어를 더 찾아보면.

피운다, 연애를 한다, 바람을 피운다flirt
피우다, 가루로 된 분(粉)이 먼지를 피우다powder
피어났어, 장사가 번영하여 살림이 피어났어flourish

우리말로 '애인과 바람을 피운다'거나, '가루가 먼지를 피운다'거나 '장사가 잘되어 팔자가 피었다'고 합니다. 영어도 역시 그렇습니다. 영어도 우리말처럼 '바람을 피운다flirt', '꽃이 피어나flower', '장사가 피어났어flourish'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 단어들은 어원이 같습니다. 외국 학자들이 다 밝혀놓고 있는 겁니다.

더욱 치명적인 사실은 웹스터 영영사전에 나오는 40여만 단어 가운데 어근과 어원이 밝혀진 경우 우리말과 발음이 다른 단어는 아직 단 한 단어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지금까지 이 사실을 몰랐을까요?

■ 첫째는 영어가 어근과 접사의 결합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몰라서 어근을 분석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둘째는 외국학자들이 어원을 낱낱이 밝혀놓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비교해 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셋째는 단어를 비교해서는 알 수 없고 언어의 진화계통을 따라가야 하는데 이 새로운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알아볼까요?

안기울었음inclination (안으로 점점 기울어지는 경향)
안in + 기울clin + 했음ation
(접두어) + (어근) + (접미어)

'inclination'은 '안으로 점점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리키는 말로 (안+기울+했음)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낱말입니다. 여기서 어근은 걸리다, 굽다, 기울다는 뜻의 '기울clin'입니다.

기울인다client - 고객이 귀를 기울인다.
기울였지clinch - 몸을 기울여 끌어안는다.
기울이기clinic - 몸을 기울이는 병원 침대.
기울+마루climax - 점차 기울어지는 고갯마루max, 정점.

하나의 어근 '기울clin'에서 이렇게 다양한 파생어들이 나오는 것입니다. 여기에 접두어가 붙으면 보세요.

안+기울임incline - 마음이 안in으로 기울어지는.
떼+기울임decline - 마음이 바닥de으로 기울어진.

이렇게 어근을 분해해놓고 조어원리를 적용하면 영어가 우리말과 같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약간 비슷한 것이 아니라 완전 똑같은 거예요. 학자들은 그냥 단어만 비교하였기 때문에 이런 사실을 알아낼 수 없었던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8 ▣ 일요특별판 기본동사 50어 완전정리 ▣ 2002-09-10 13893
57 꿈, 깡, 끼, 끈, 꾀, 꼴 김동렬 2005-10-24 10190
56 라쿤raccoon 김동렬 2008-12-11 9162
55 일요특별판 전치사 완전 정리 김동렬 2002-09-08 8754
54 한국인에게 영어가 들리지 않는 이유 김동렬 2006-08-06 8153
» 영어는 이제 끝났습니다! 2002-09-10 8068
52 아즈텍어와 타밀어와 우리말과 영어의 일치 김동렬 2007-12-21 7559
51 모른다=못 안다 김동렬 2009-10-11 7076
50 움home - 사람이 사는 구멍이 움집 2003-07-20 6848
49 깨달음 김동렬 2009-07-13 6794
48 되다 매우 받침 ㅂ 김동렬 2011-01-17 6743
47 쿠마리 김동렬 2009-03-25 6504
46 영어가 안되는 이유 image 2005-03-28 6504
45 굴cave - 카메라는 작은 구멍camera 2003-07-20 6364
44 잡아serve온 슬라브slave인 노예 김동렬 2002-09-08 6356
43 절거리와 탈하이 그리고 석탈해 김동렬 2009-09-21 6340
42 이(齒)를 왜 '이'라고 할까? 2002-09-10 6314
41 이스탄불 카불 김동렬 2009-09-21 6227
40 영한사전은 쓰레기통에 던져버리세요 2002-09-10 6184
39 한국인에게 영어가 들리지 않는 이유 2 2005-04-04 6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