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6]sus4
read 2548 vote 0 2014.11.19 (21:36:06)

0. 그냥 할리우드 영화. 재밌긴한데 너무 기대하고 가면 안 됩니다. 안 보기에는 아쉬워요.

1. 어려운 물리학 없습니다. 아빠어디가의 민국이도 충분히 이해할 수준이구요. 뽀로로 이해할 정도의 아이큐면 느긋하게 관람할 수 있는 영화입니다. 사실은 물리학 이론 자체가 등장하지를 않습니다. 왜냐면 과학영화도 SF영화도 아닌 판타지 영화이기 때문입니다.

2.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중 최고로 재밌다고는 할 수 없지만, 뭐랄까 이 감독의 색깔과 기질이 가감없이 드러난 영화라고 생각됩니다. 놀란감독의 작품은 하나같이 냉정한 연출의 방정식을 지키면서도 지고지순한 인간애를 지향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 작품도 충실히 그 공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즉 드라마의 완급조절을 굉장히 잘 하는 연출의 장인이라고 생각됩니다.  

3. 메멘토, 다크나이트 시리즈, 인셉션, 인터스텔라 등을 보면서 느낀건데, 그의 영화에는 몇가지 연출 기법들이 반복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이것이 그의 영화를 세련되게 만들어줍니다. 이걸 그대로 베껴먹기만 해도 충분히 고급스러운 연출을 할 수 있을텐데, 우리나라 영화 중 그런 시도를 한 경우는 보지 못했네요.

4. 그의 연출기법은

작은 것과 큰 것을 대비시키기, 부분으로 전체를 말하기, 중요하지 않은 것부터 설명하기, 침묵으로 격렬한 감정 묘사하기, 배우들 감정과잉 되지않게 관리하기, 건조하게 대사 쓰기 등등입니다. 실로 간단한 테크닉들.

5. 주인공이 인류의 대표자로서 출항했기 때문에, 관객들도 인류를 대표하여 고민하게 만듭니다. 어떻게 보면 소재 자체가 대박인 셈입니다.

6. 배경음악 과잉.

7. 멧 데이먼 나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슈에

2014.11.19 (21:41:34)

근데 왜 이게 어려워서 지루하다느니 지적 허영이라니 하는 평도 나오는 걸까요... 바빠서 못 보고 있는데, 부디 그때까지 상영하길 ㅠㅠ

[레벨:6]sus4

2014.11.19 (21:44:20)

놀란 빠가 워낙에 많아서 놀란 까도 많습니다. 기대치가 높은 탓도 있구요.

[레벨:6]sus4

2014.11.19 (22:20:37)

http://dvdprime.donga.com/g5/bbs/board.php?bo_table=movie&wr_id=1038203&sfl=wr_subject&stx=%EC%9D%B8%ED%84%B0%EC%8A%A4%ED%85%94%EB%9D%BC&sop=and&page=2


여기 링크의 리뷰를 보시면 하나마나한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고 있는데요. 보통 매니아들이 자신의 취향에 꼭 맞는 영화를 발견했을때 오바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보시면 됩니다. 이런 애정이 일반 대중에게는 장벽으로 여겨져 거부감을 불러오는 경우가 많죠.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공각기동대의 경우 20년은 된 애니메이션이지만 아직도 물고빨고 하는 오덕이 존재하구요. 작품 해석은 감독의 의도와 상관없이, 차후에, 극렬한 팬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11.19 (21:53:01)

영화든 음악이든 문학이든 한 가지 장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장점이 없으면 까는 거고. 정치적으로 공정하지 않거나 적군이면 까는 거고.


어려워서 지루하다거나(길어서 지루한건 맞음)

지적 허영이라거나(무식적 허영은 맞음) 하는건 그냥 깔려고 까는 거죠.


문제가 있는 사람들입니다.

삐딱한 태도로 보면 뭐든 재미가 없는 거죠. 


영화를 혹은 문화를 하나의 생명체라고 보고

문화라는 혹은 영화라는 혹은 예술이라는 커다란 나무를 


조금이라도 생장시켰는가 하는 기준으로 봐야 합니다.

'내가 재미를 못느꼈으니까' 하는 자는 일단 발언권이 없죠.

[레벨:6]sus4

2014.11.19 (22:07:23)

제가 순발력이 좋은 편은 아닌데 영화를 보면서 애매모호하게 느껴지는 부분이 하나도 없었습니다. 이 영화를 비판할 수는 있겠으나 지적허영으로 모는 것은 이해가 안 가네요. 이전 작품과 다르게 플롯도 단순하고 아주 정직한 영화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11.19 (22:10:59)

재난영화는 은근하게 극우사상을 깔고 있는게 많습니다.

이 영화도 지구가 다 망해먹은 판에 성조기가 등장하는게 황당한데


인류기를 만들든가 해야 외계인이 알아서 대접하는 거 아닌가요?

아바타도 오리엔탈리즘+식민주의를 깔고 있는 거죠. 사실은. 


그래서 제가 아바타를 안 좋아하는 거고.

과거 미국 대통령이 전투기 몰고 외계인을 퇴치한다는 똥같은 영화도 있었고.. 안봤지만


람보류 헛짓거리 하는 재난영화에 비하면 (람보도 첫편은 괜찮음)

정치적으로 인류를 진보시켰는지가 가장 중요한 관점입니다.


뭐 이 부분을 지적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듯. 

여긴 구조론사이트니까 구조론적 관점에서 봐야 합니다.


뒤뚱대는 영화인가 하는거. 

놀란 영화는 메멘토시절부터 시간으로 뒤뚱대는 공통점이 있는데


전작에 등장하는 내용이 재탕스러운게 상당히 실망이지만

그래도 구조론적인 요소가 상당합니다. 


전체가 부분에 연동된다는 거죠.

그런 설정은 많은데 대개 떡밥회수가 안 되죠. 이건 그나마 성공.


스포라서 말 안하겠지만 결말부분에 그런게 있어요.

억지라서 과학적인 설득력은 없지만 관객의 심금을 움직이는데는 성공. 

[레벨:6]sus4

2014.11.19 (22:28:21)

전체가 부분에 연동되고, 시간을 멈춰세우고, 짧은 시간으로 긴 시간을 설명하고, 짧은 시간을 길게 만들고... 놀란감독이 시간을 좋아하죠... 결말은... 저도 말 하지 않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4.11.19 (22:26:12)

"메멘토, 다크나이트 시리즈, 인셉션, 인터스텔라" 그리고 추가로 프레스티지라는 마술을 소재로 하는 영화도 있죠.

놀란 감독 영화의 공통점은 절대 남우주연상이니 뭐니 하는 연기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작품을 만든다는 게 제 생각.



[레벨:6]sus4

2014.11.19 (22:30:32)

맞아요. 우리나라는 배우에 너무 의존하죠. 배우 얼굴 잔뜩 클로즈업 하는 습관좀 버려야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4.11.19 (22:48:17)

맷 데이먼이 나온다는게 스포일러로 가는 입구입니다. 

놀란 감독 영화는 지금까지 재미없게 본 적이 한 번도 없었느데

역시 뒤뚱되는 영화라서 그랬던 거였군요.

구조론에서 좋은 거 배워갑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형비

2014.11.20 (09:46:11)

1번 6번 완전 공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92 뮤지컬 "바람이 불어 오는 곳 " image 1 아란도 2014-11-25 2245
3091 ' 감 ' 이야기 image 5 아란도 2014-11-24 2169
3090 연구소에 스카프 두고 가신 분, 서피스 펜 보신 분을 찾습니다. image 2 차우 2014-11-23 2281
3089 <감당하기 힘든 1학년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이상우 2014-11-22 2312
3088 재밌는 리플놀이 image 8 차우 2014-11-22 2455
3087 남자들이 보는 잘 생긴 남자는 누구? 11 까뮈 2014-11-21 4223
3086 구조강론 1 거침없이 2014-11-21 1837
3085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11-21 1841
3084 목요 구조강론 image ahmoo 2014-11-20 1831
3083 4대강사업과 토건마피아 - 신간안내 4 수원나그네 2014-11-20 2009
» 인터스텔라를 보고(스포 없음) 11 sus4 2014-11-19 2548
3081 찻상차림 image 1 아란도 2014-11-18 3400
3080 내일 할 일은 인터스텔라 보기 21 까뮈 2014-11-17 3384
3079 외인구단 영웅이 되다 락에이지 2014-11-17 2069
3078 진짜 궁금함. 21 까뮈 2014-11-15 4426
3077 자기 부끄러움을 넘어서기 image 2 아란도 2014-11-15 2528
3076 조선일보는 어떻게 해서 옥천에서 쫓겨났나? image 수원나그네 2014-11-14 3091
3075 지속가능한 학교모델 만들기 3 이상우 2014-11-13 2059
3074 목요 구조강론 image ahmoo 2014-11-13 1980
3073 혜성이 내는 소리 - 우주의 소리 3 아란도 2014-11-13 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