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아기들 실험 통해 밝혀
[조선일보 이영완 기자] ‘사람은 말보다 생각하는 것을 먼저 배울까, 아니면 말을 먼저 배운 후 생각하는 틀(사고체계)을 갖출까?’ 닭과 달걀의 논쟁 같은 이 문제의 해답이 아기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간단히 말해 사람은 말 이전에 사물에 대한 사고체계를 먼저 형성시킨다는 것.

미국 반더빌트대의 수 헤스포스 교수와 하버드대의 엘리자베스 스펠크 교수 연구팀은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에 주목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어는 펜 뚜껑과 펜은 ‘꽉 끼는 관계(tight fit)’이며 책상 위에 놓인 펜은 ‘느슨한 관계(loose fit)’라고 구분한다.

그러나 영어는 이보다는 커피가 머그잔에 들어있는지(in), 아니면 머그잔이 탁자 위에 있는지(on)와 같은 ‘보유’와 ‘지지’ 관계만 구분한다는 것.

연구팀은 영어를 쓰는 가정에서 태어난 생후 5개월 된 아기들을 대상으로 원통을 꼭 맞는 통에 끼우거나 아주 넓은 통에 넣는 등 한국어에서 구분 가능한 사물관계를 보여줬다.<사진>

아기들은 보통 새 사물을 보면 지루해질 때까지, 즉 익숙해질 때까지 바라본다. 실험 결과 아기들은 꽉 끼는 관계를 보다가 지루해질 때쯤 느슨한 관계를 보여주거나, 아니면 느슨한 관계에 익숙해질 때 꽉 끼는 장면을 보여주자 다시 쳐다보는 시간이 길어지는 등 관심을 보였다.

이는 한국어를 쓰는 성인들에게서도 마찬가지였다. 반대로 영어를 쓰는 성인들의 반응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스펠크 교수는 “성인은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사물을 다르게 구분한다”며 “아기 때는 다양한 언어의 개념체계를 갖고 있다가 일단 한 언어를 배우면서 그에 맞는 개념만 선호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22일자에 발표됐다.

(이영완기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1 라후족이 고구려의 후손? 김동렬 2004-07-09 6626
90 우연히 발견한 글 김동렬 2005-07-17 6513
89 논다니, 여인네, 여편네 김동렬 2003-08-04 6435
88 한가위의 어원은? 김동렬 2003-09-12 6427
87 오늘의 어원 가물다, 거미, 곰, 가물가물하다. 검다. 김동렬 2002-09-08 6422
86 정선의 백인 인골 김동렬 2006-12-05 6363
85 고인돌과 돌맨 돌맹이 김동렬 2002-09-08 6274
84 웃도리, 아랫도리 하는 [도리]의 기원 김동렬 2002-09-08 6088
83 팔라우어 김동렬 2010-02-08 6032
82 A의 어원은 A가 아니다. 김동렬 2002-09-08 6030
81 건길지 아비지 김알지 김동렬 2011-03-29 6002
80 언어와 어원 김동렬 2002-09-08 5739
79 기라성? 김동렬 2002-09-08 5647
78 우리말 어원찾기 만큼 재미있는 모험은 없습니다. 김동렬 2002-09-08 5625
77 경상도말의 특징에 관하여 김동렬 2002-09-08 5566
76 백제의 담로에 관한 어원학적 접근 김동렬 2002-09-08 5543
75 찰 한 김동렬 2009-09-16 5477
74 [코리안네트워크] 일본어는 왜? 한국어와 닮았을까? 한겨레 2003-08-26 5439
73 서울과 대구의 비밀을 찾아서 김동렬 2002-09-08 5366
72 타밀어 image 김동렬 2009-09-16 5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