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아기들 실험 통해 밝혀
[조선일보 이영완 기자] ‘사람은 말보다 생각하는 것을 먼저 배울까, 아니면 말을 먼저 배운 후 생각하는 틀(사고체계)을 갖출까?’ 닭과 달걀의 논쟁 같은 이 문제의 해답이 아기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간단히 말해 사람은 말 이전에 사물에 대한 사고체계를 먼저 형성시킨다는 것.

미국 반더빌트대의 수 헤스포스 교수와 하버드대의 엘리자베스 스펠크 교수 연구팀은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에 주목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한국어는 펜 뚜껑과 펜은 ‘꽉 끼는 관계(tight fit)’이며 책상 위에 놓인 펜은 ‘느슨한 관계(loose fit)’라고 구분한다.

그러나 영어는 이보다는 커피가 머그잔에 들어있는지(in), 아니면 머그잔이 탁자 위에 있는지(on)와 같은 ‘보유’와 ‘지지’ 관계만 구분한다는 것.

연구팀은 영어를 쓰는 가정에서 태어난 생후 5개월 된 아기들을 대상으로 원통을 꼭 맞는 통에 끼우거나 아주 넓은 통에 넣는 등 한국어에서 구분 가능한 사물관계를 보여줬다.<사진>

아기들은 보통 새 사물을 보면 지루해질 때까지, 즉 익숙해질 때까지 바라본다. 실험 결과 아기들은 꽉 끼는 관계를 보다가 지루해질 때쯤 느슨한 관계를 보여주거나, 아니면 느슨한 관계에 익숙해질 때 꽉 끼는 장면을 보여주자 다시 쳐다보는 시간이 길어지는 등 관심을 보였다.

이는 한국어를 쓰는 성인들에게서도 마찬가지였다. 반대로 영어를 쓰는 성인들의 반응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스펠크 교수는 “성인은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사물을 다르게 구분한다”며 “아기 때는 다양한 언어의 개념체계를 갖고 있다가 일단 한 언어를 배우면서 그에 맞는 개념만 선호하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22일자에 발표됐다.

(이영완기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91 A의 어원은 A가 아니다. 김동렬 2002-09-08 6015
90 친구의 어원이 뭔가요? (Q&A) 김동렬 2002-09-08 7415
89 접사에 대하여 (Q&A) 김동렬 2002-09-08 3232
88 빌다와 빌리다의 차이에 관해서 김동렬 2002-09-08 3939
87 서울과 대구의 비밀을 찾아서 김동렬 2002-09-08 5345
86 신라에는 과연 6부만이 있었을까요? 김동렬 2002-09-08 4626
85 '겨울'의 어원은? (Q&A) &#58; 고드름은 얼음+얼음 김동렬 2002-09-08 6973
84 계집의 어원은 '보내온 사람' 김동렬 2002-09-14 13318
83 딸꾹질과 깔딱질 김동렬 2003-01-20 4218
82 倉凜實則 知禮節(창름실즉 지예절) ) 2003-01-24 4068
81 맛 미 김동렬 2003-04-02 3969
80 달다/쓰다 김동렬 2003-05-09 3022
79 됫박으로 되다. 김동렬 2003-05-09 3242
78 핏발, 눈발, 서릿발, 말발 김동렬 2003-05-12 3254
77 로직(logic) 론(論) 론(logy) 김동렬 2003-05-24 3130
76 이지 맨 김동렬 2003-06-02 3404
75 뇌급만방 김동렬 2003-06-29 3571
74 버들 김동렬 2003-07-01 6741
73 높새바람 김동렬 2003-07-10 3001
72 고려와 몽골 김동렬 2003-07-12 3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