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read 3695 vote 0 2004.06.30 (15:09:44)

K>H로 변하는 현상은 특히 일본어에서 두드러진다. 일본어 한자발음의 경우 거의 모든 H가 K로 발음되고 있다.(여기서 예외는 없는듯 하다.)

K>H현상이 북쪽으로 갈수록 분명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일본의 한자음은 중국 남쪽에서 전해졌다고 볼 수 있다. 또는 일본어의 조상이 남방계임을 확증한다 하겠다.

또 B의 경우 F를 거쳐 H로 변하는 현상이 일본어에서 유독 두드러진다. 패션>훼션의 P, F>H 현상이 일본어에서 더욱 극명하게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말의 경우
개(갯벌, 갯마을, 갯물)>해(바다)



(아래는 펌)
--------------------------------------------------------------------------
urn 단지, 항아리 → use 쓰다 → utility 유용 = 용(用 나무통의 상형) → 용(用 쓰다) → 유용(有用)

영어에서 urn 항아리와 use 쓰다, 사용하다의 단어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한문에서도 나무통을 ‘쓰다 용(用)’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일(唯一) → uni 단일

위의 영어 utility, uni 와 한문 ‘유용(有用), 유일(唯一)‘을 비교해보면
유용(有用)과 유일(唯一)의 앞의 ‘유’는 영어의 발음을 음역한 것이고 뒤의 ‘용과 일‘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단음(單音)이던 중국어가 어느 시기부터 복음(複音)이 되었다고 합니다.
복음이 되는 이유가 이렇게 인도 유럽어를 음역하여 받아들이면서 일어난 일이 아닌지
의심스럽습니다.

한국어 한자 발음과 비슷한 단어 몇 개 올립니다. 고어 발음도 따져야 하지만 한국어 한자 발음과 비슷하다면
나름대로 가치가 있는듯해서 그대로 올립니다. (경우에 따라 중국어 고어 발음보다 한국어 한자 발음이 더 인도
유럽어와 유사합니다.)

우아(優雅) → urbanity 도회풍, 우아
우주(宇宙) → university 우주
우월(優越) → ultra 극단
우(雨) → L uvor 습기, urna 물동이, urnifer 물병자리, urinor 물속에 잠기다
우(偶 짝) → L utroque 양쪽으로
유(類 무리, 닮다) → F unisson 동음(同音)
유(油 기름) → L ungo 기름 바르다
우(優 넉넉하다) → L uber 풍부한
유(乳 젖) → L uber 젖

웅(熊) → L unco 곰이 울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71 dune 김동렬 2003-07-14 2843
70 위+구르(위구르) 김동렬 2003-07-16 3610
69 소금 solt 김동렬 2003-07-26 3372
68 묵호자와 모례 김동렬 2003-08-01 3393
67 여성형 어미 『니, 네, 녀, 년,』 김동렬 2003-08-02 4546
66 타박 타박 타박네야~ 김동렬 2003-08-03 7350
65 논다니, 여인네, 여편네 김동렬 2003-08-04 6444
64 훔치다와 감추다 김동렬 2003-08-13 3820
63 우리 민족의 뿌리 김동렬 2003-08-14 3771
62 [코리안네트워크] 일본어는 왜? 한국어와 닮았을까? 한겨레 2003-08-26 5441
61 내일과 모레 김동렬 2003-09-12 2897
60 한가위의 어원은? 김동렬 2003-09-12 6432
59 so와 서, 소 김동렬 2003-09-18 3277
58 빈대떡의 어원은 빙져? 김동렬 2003-09-23 4720
57 언어가 만들어진 이유 김동렬 2003-09-23 3178
56 닭>달>달구 김동렬 2003-09-30 4006
55 아빠와 파파, 피플과 퍼플 김동렬 2003-10-23 3304
54 내일은 모레 김동렬 2003-11-11 4504
53 벌bee+벼룩flea 김동렬 2003-12-04 3790
52 구릉과 구렁 김동렬 2003-12-26 3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