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read 2541 vote 0 2014.11.15 (00:30:55)




언제부터인가 나는 글을 쓸때 그 누구도 의식하지 않게 됐다.
보여주는 글을 쓸때, 특히 더 그렇다.
또한, 의식된다면...아예 쓰지 않는다.
내가 의식의 자유로움을 누리기 위해서는 나만의 부끄러움을 넘어서는 훈련이 필요했다. 내가 글을 써놓고 정작 내가 나를 의식하는 글이란...
사실 이것이야말로 부끄럽기 짝이 없기 때문이다.
김수영 시인의 시 한 편도 제대로 외우지 못하고, 다 읽어보지도 않았지만, 나의 직관은 김수영 시인의 그런 태도만은 내가 흡수해야 한다고 나에게 알려줬다.

글에서는 그 누구도 의식하지 않지만, 글을 쓸때는 오직 나 혼자 생각을 옮길 뿐이지만, 사람을 실제로 만나면 사실은 너무나 조심 스럽다. 사람은 도자기와 같기 때문이다. 도자기는 조금만 부주의 하면 깨뜨려 진다. 그러나 또, 생각보다 도자기는 강하다. 그런데도 어느 순간 맥없이 깨져 버릴 수 있는게 도자기이다. 그렇다고 도자기를 신주단지 모시듯만 할수는 없다. 사용 되어야 가치가 빛을 발하기 때문이다. 깨질 것을 늘 염두에 두고 자연스럽게 잘사용해야 하는 것이 도자기이다. 도자기가 깨지면 조침문처럼 추모의 글이라도 남기고 싶을 정도로 안따깝기도 하다. 그러나, 깨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일상에서 사용해야 하는 것이 도자기이다. 사람도 그렇다. 서로가 깨질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면서도 서로를 사용하고 관계를 맺는 것이 인간이다.

글은 나의 의식의 자유를 반영하지만, 의식의 자유가 반영될수 있도록 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 하지만, 사람에게서 서로의 자유는 포지션을 정확히 할 때이다. 그것에 대하여 자신이 받아 들여져야 한다. 스스로가 스스로를 받아 들일때 그때가 서로가 혹은 관계가 자유로워지는 때이다. 포지션 이동만 한다고 관계가 자유로워지는 것은 아니다.

글과 도자기와 사람.... 다를 것이 있겠는가...
이 안에 깃들 자신의 태도가 혹은 태도의 변화가 많은 것을 결정한다. 포지션은 고정되어 있지도 않고, 또한 그 포지션을 자기것화
하는 것에는 분명 자기의 동의가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그냥 되는 것은 없다.

[레벨:2]집돈행

2014.11.15 (00:39:24)

도자기는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하다는 글을 본적이 있어요. ^^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4.11.15 (14:39:40)

도자기 자체는 단단해요.
근데 떨어뜨려 몇 토막 나거나 부딪혀서 이가 나가거나.. 한 순간이죠....ㅋㅋ
그 외에는 정말 단단해요.
분청은 좀 약한데... 흙에 따라 달라지므로...약한 분청이 있어요. 조심조심하면 아마 천년 가겠죠...
백자는 아마 안깨지기만 하면...지구 종말때까지라도 살아 있을듯...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992 안녕하세요. 메탈돼지 2014-10-02 1875
2991 3일 우구치 모임 일정입니다. 7 김동렬 2014-10-02 2367
2990 드디어 10월, 구조론 역삼 모임 image 1 ahmoo 2014-10-02 1816
2989 보통사람의 보통 판단은 보통 틀린다. image 5 風骨 2014-10-01 2405
2988 아시안게임 메달 순위 4위가 카자흐스탄 4 까뮈 2014-09-30 2387
2987 동피랑을 담다 - 김재신 화가 초대전 image 1 아란도 2014-09-29 3475
2986 용암협곡 고석정 탐방기 image 4 ahmoo 2014-09-29 2614
2985 홍콩 시위 관련 주요 사건들 정리. 風骨 2014-09-29 3262
2984 내가 살기 적합한 곳 테스트 6 아란도 2014-09-29 4224
2983 파도 타기 2 오리 2014-09-27 1953
2982 짐승의 시간 image 2 아란도 2014-09-27 2985
2981 오늘의 계획 3 불그스레(旦) 2014-09-26 2057
2980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9-26 1845
2979 역삼동 구조론 모임 image 1 ahmoo 2014-09-25 1816
2978 볼만한 영화 image 5 차우 2014-09-24 2603
2977 이율배반 투표를 하는 정신나간 유권자의 숫자 추산 6 風骨 2014-09-23 2858
2976 토요일에 시간 어때요? 11 불그스레(旦) 2014-09-23 2323
2975 지금의 한류는 중국용인듯 2 까뮈 2014-09-23 2047
2974 차우차우 편 - 생각의 정석 2 아란도 2014-09-22 2036
2973 현대영화의 구조 image 9 부둘 2014-09-21 3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