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read 3393 vote 0 2003.08.01 (16:55:36)

점(占)의 어원은 원래 무엇을 떼낸다는 뜻에서 뗌term과 연관이 있습니다. 여기서 뗌은 원래 하늘의 구름이 갈라지는 틈으로 서광이 비치는 것에서 처음 아이디어가 제시되어, 원래는 구름이 갈라진 모양을 보고 점을 치던데서 발전하여, 거북의 등껍질을 굽거나 혹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무언가 떨어져 나간(분리된) 모양을 보고 점을 치게 된 것입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점을 치는 원리는 동일한 출발점을 가집니다. 여기서 떨어진 것은 특별하다는 의미가 생겨나서 멀리 떨어진 곳>신성한 곳>멀리 떨어진 장소(절temple)이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입니다.

즉 절(덜)은 본래 점(덤)에서 나왔고 덤의 의미는 떼다(덜어내다)이며 여기서 발전하여 멀리 떨어진 장소(특별한 장소)>신성한 장소>점치는 장소>종교적인 성소로 발전한 것입니다.

모레는 그냥 여인의 이름이며 절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니면 그 이전부터 절(切, 덜)이라는 개념이 있었는데 덜(절)의 여자>덜네(털네)로 발전하여 모례로 표기되었을 수도 있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1 라후족이 고구려의 후손? 김동렬 2004-07-09 6629
90 우연히 발견한 글 김동렬 2005-07-17 6516
89 논다니, 여인네, 여편네 김동렬 2003-08-04 6444
88 한가위의 어원은? 김동렬 2003-09-12 6433
87 오늘의 어원 가물다, 거미, 곰, 가물가물하다. 검다. 김동렬 2002-09-08 6428
86 정선의 백인 인골 김동렬 2006-12-05 6367
85 고인돌과 돌맨 돌맹이 김동렬 2002-09-08 6279
84 웃도리, 아랫도리 하는 [도리]의 기원 김동렬 2002-09-08 6096
83 팔라우어 김동렬 2010-02-08 6039
82 A의 어원은 A가 아니다. 김동렬 2002-09-08 6035
81 건길지 아비지 김알지 김동렬 2011-03-29 6004
80 언어와 어원 김동렬 2002-09-08 5744
79 기라성? 김동렬 2002-09-08 5652
78 우리말 어원찾기 만큼 재미있는 모험은 없습니다. 김동렬 2002-09-08 5631
77 경상도말의 특징에 관하여 김동렬 2002-09-08 5579
76 백제의 담로에 관한 어원학적 접근 김동렬 2002-09-08 5550
75 찰 한 김동렬 2009-09-16 5477
74 [코리안네트워크] 일본어는 왜? 한국어와 닮았을까? 한겨레 2003-08-26 5441
73 서울과 대구의 비밀을 찾아서 김동렬 2002-09-08 5372
72 타밀어 image 김동렬 2009-09-16 5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