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01 vote 0 2014.11.08 (22:48:50)

     

    에너지와 관측자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한 줄에 꿰어낼 수 있다는 것이 구조론에서 말하는 ‘진리’의 개념이다. 세상과 나의 일대일이다.


    그러므로 모든 존재는 하나다. 1은 있고 2는 없다. 1은 에너지고 2는 동動이다. 1은 연결이고 2는 동에 의한 그 에너지의 단절이다.


    에너지는 동적 존재다. 관측자가 동이면 에너지는 정으로 보인다. 존재는 1이며 2는 존재와 관측자의 불일치다. 불일치는 사건이다.


    의사결정은 동에 의해 일어난다. 의사결정은 1에서 시작하여 2를 거치고 다시 1로 되돌아간다. 사건을 연출하는 존재의 본모습이다.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빛 입자를 발견할 수 있지만 어둠 입자는 발견할 수 없다. 1은 1이고 어둠은 2다. 빛은 존재, 어둠은 사건이다.


    여성은 있고 남성은 없다. 종의 근본은 여성이며 호르몬의 작용으로 신체의 어떤 기능이 특화된 것이 남자다. 남자의 젖꼭지와 같다.


    마이너스는 있고 플러스는 없다. 자연의 본래는 동動이므로 끌 수 있을 뿐 켤 수는 없다. 스마트폰처럼 내부는 24시간 켜져 있다.


    죽일 수 있을 뿐 살릴 수 없다. 줄 수 있을 뿐 받을 수 없다. 갈 수 있을 뿐 올 수는 없다. 무너뜨릴 수 있을 뿐 일으킬 수 없다.


    산 사람을 죽일 수 있으나 죽은 사람을 살릴 수 없다는 것은 자연계의 절대적인 법칙이다. 죽은 것이 살 수 없는데 왜 자연은 살아있을까?


    자연은 한 번도 죽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추운 겨울에 나무가 잎을 버리고 껍질 속으로 숨지만 죽지 않고 살아있다. 은밀히 호흡하고 있다.


    전기는 한 번 꺼지면 다시 켤 수 없다. 그것이 블랙아웃이다. 왜냐하면 전국의 모든 전기계통은 하나로 연결되어 통짜덩어리로 있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모든 전기계통이 연결되어 하나의 커다란 생명체를 이루었다. 1KW라도 부족하면 대정전이 일어나서 복구에 일주일 걸린다.


    우주는 한 번도 호흡을 멈춘 적이 없다. 생명은 한 번도 멈춘 적이 없다. 그러므로 삶은 있어도 죽음은 없다. 한 번 죽으면 우주는 종결된다.


   199.JPG


    죽음은 허황된 관념입니다. 낙엽이 하나 떨어졌다고 해서 나무가 죽은 것은 아닙니다. 세포가 하나 죽었다고 사람이 죽은 것은 아닙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10년 안에 전부 내 몸에서 빠져나가지만 그것이 죽음은 아닙니다. 죽음의 극복이야말로 인생이라는 게임에서 승리자가 되는 비결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2014.11.09 (13:08:51)

우주가 일순간 전면 파업을 하면 죽음이 가능. 물론 그렇다고 해도 존재는 파업 이후에 개입할 수 없으므로 죽음은 여전히 '없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766
3906 이기심인가 상호작용인가? image 김동렬 2016-11-07 10734
3905 방향성과 관점 image 김동렬 2013-08-10 10734
3904 창조론은 없다. image 6 김동렬 2012-06-08 10729
3903 깊은 슬픔 장 탄식 김동렬 2006-05-12 10729
3902 에너지를 유도하라 image 2 김동렬 2018-05-08 10726
3901 인생의 정답 김동렬 2013-12-15 10724
3900 문제 - 종소리는 어디서 나왔나? 44 김동렬 2012-12-26 10712
3899 한나라당은 거국내각 주장하라 김동렬 2006-10-20 10710
3898 이문열은 될 수 있거든 봉쇄하여 버리오. 김동렬 2007-01-10 10709
3897 러셀의 찻주전자 4 김동렬 2014-01-10 10706
3896 구조론 개념도 김동렬 2008-07-05 10703
3895 바른 명상법 image 6 김동렬 2013-03-24 10698
3894 인과율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2-05-15 10683
3893 누가 광주의 진정한 주인공인가? 1 김동렬 2007-07-31 10676
3892 침팬지 보노보 오랑우탄 image 1 김동렬 2016-10-30 10671
3891 인간의 이성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6-09-21 10668
3890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6-11-07 10667
3889 이상주의자가 되라 김동렬 2006-11-28 10667
3888 진화 구조 창조 1 김동렬 2012-07-06 10664
3887 매듭에서 착수하라 image 4 김동렬 2013-05-12 10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