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이야기
read 3589 vote 0 2003.06.29 (13:24:11)

[뇌급만방賴及萬方]
뇌급만방(賴及萬方)은 천자문의 한 구절이다. 『믿고 의지함(賴)이 만방에 미친다(及)』는 뜻이다. 여기서 이르다, 미치다, ~와, ~또의 뜻을 가진 급(及)의 원래 의미는 『사람을 뒤에서 따라가 잡는다』는 뜻이다. 어원은 영어의 capture와 같음을 알 수 있다.

급(及)은 『사람 인(人)+오른손 우(又)』이다. 사람의 등 뒤에서 다가가 오른손으로 붙잡는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뇌급만방의 원래 의미는 『천하(萬方)가 다 왕에게 휘어잡혀(及) 의지한다(賴)』는 뜻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천자문의 온유한 해석과는 반대로 살벌한 정치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급(及)은 급(給)과 같은데 영어로는 capture, get, give, have와 같다. have CH로 변한 경우이다. 손으로 쥔다, 잡는다는 뜻에서 갖다(get), 가진다(have), 손에 쥐어 준다(give)는 등으로 다양하게 변했다.   

[미시기장靡恃己長]
미시기장(靡恃己長)은 『자신의 장점에 의지하지 말라』는 뜻이다. 여기서 미(靡)는 『전혀 없다』로 해석되어 왔는데 실은 『매우 적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바른 해석은 『자신(己)의 장점(長)을 너무 믿지(恃)는 말라(靡)』는 뜻이다. 전통적 해석과 큰 차이는 없지만 전통적 해석은 지나친 자기부정으로 권력과 국가에 대한 의타심을 조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여기서 미(靡)는 영어의 minor, minute, mince, minimum, miner들과 연결되는데 원래의 의미는 『맷돌로 갈아낸 작은 가루』를 의미한다. 즉 『아주 조금』의 의미다. 곧 미미(微微)하다는 뜻이다.

[명사가 아닌 동사에 주목해야]
이상에서 보듯이 언어는 진화과정에서 본래의 뜻에서부터 두어단계 건너뛰며 의미가 달라지는데 모든 언어는 본래 동사에서 출발하므로, 특정 어휘가 동사였을 때의 본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면 잘못 알게 된다. 우리말과 영어와 한자어의 차이도 언어가 동사에서 명사 혹은 형용사로 변하는 과정에서 의미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잘못 알게 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1 라후족이 고구려의 후손? 김동렬 2004-07-09 6626
90 우연히 발견한 글 김동렬 2005-07-17 6513
89 논다니, 여인네, 여편네 김동렬 2003-08-04 6435
88 한가위의 어원은? 김동렬 2003-09-12 6428
87 오늘의 어원 가물다, 거미, 곰, 가물가물하다. 검다. 김동렬 2002-09-08 6423
86 정선의 백인 인골 김동렬 2006-12-05 6363
85 고인돌과 돌맨 돌맹이 김동렬 2002-09-08 6275
84 웃도리, 아랫도리 하는 [도리]의 기원 김동렬 2002-09-08 6089
83 팔라우어 김동렬 2010-02-08 6032
82 A의 어원은 A가 아니다. 김동렬 2002-09-08 6030
81 건길지 아비지 김알지 김동렬 2011-03-29 6002
80 언어와 어원 김동렬 2002-09-08 5739
79 기라성? 김동렬 2002-09-08 5647
78 우리말 어원찾기 만큼 재미있는 모험은 없습니다. 김동렬 2002-09-08 5626
77 경상도말의 특징에 관하여 김동렬 2002-09-08 5566
76 백제의 담로에 관한 어원학적 접근 김동렬 2002-09-08 5543
75 찰 한 김동렬 2009-09-16 5477
74 [코리안네트워크] 일본어는 왜? 한국어와 닮았을까? 한겨레 2003-08-26 5439
73 서울과 대구의 비밀을 찾아서 김동렬 2002-09-08 5366
72 타밀어 image 김동렬 2009-09-16 5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