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263 vote 0 2014.10.23 (12:06:54)

981e77ddc14f9fc66f113f3900827362.jpg 

45678.jpg



   

  중요한 것은 어떤 의사결정은 반드시 일대일 대칭을 이루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어떤 것의 진화는 다른 것의 진화를 방해한다. 기린의 목이 길어지면 신체균형이 무너지고 생존에 불리하게 된다. 


    복잡해질수록 통제할 수 어렵게 된다. 여럿과 한 명이 싸우면 한 명에게 각개격파 당한다. 스탠퍼드 감옥실험에서처럼 혼자서는 잘 판단하는데 여럿이면 판단을 못한다. 그 게 집단사고가 아니다. 


    집단의 의사결정 난맥상이다. 왜? 평소에 연습을 안했으니까. 대승의 팀플레이는 고도의 훈련을 통해서만 획득된다. 미리 손발을 맞춰둔 베테랑만 가능하다. 때로는 흩어져야 살고 뭉치면 죽는다. 


    뭉친 다음에는 지도자를 뽑고 충분한 연습을 해야 팀이 작동하는 것이다. 그게 쉽게 잘 안 된다. 생물의 진화 뿐 아니라 모든 것에서 일대일의 대칭이 되어야 인간은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다. 


    신과의 일대일에 이르지 못한 군중은 인지부조화에 빠진다. 행동에 맞추어 인식을 조작한다. 행동을 연습하여 손발을 맞춰둘 의도 때문이다. 판단이 틀려도 손발이 맞으면 살 수 있다고 믿는 거.


    사실 그렇다. 2차대전 침략자들은 틀린 판단을 했지만 한 번이라도 손발을 맞춰봤기 때문에 지금도 잘 나가고 있다. 인간은 상황 속의 존재이다. 그 상황에 대하여 인간이 우위에 서야 한다. 


    인간은 언제나 상황에 지배당하며 그 상황은 매우 혼란스럽다. 그러므로 집단은 먼저 혼란을 제거하는 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그 방향은 언제나 그렇듯이 틀린 방향이다. 한 번 패를 바꿔야 한다. 


    결론을 내리자. 다윈은 처음부터 다양한 기린이 있었다고 한다. 다양하면 죽는다. 통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신과의 일대일이어야 의사결정은 가능하다. 그것은 모듈화다. 모듈화가 곧 대승이다.  


    먼저 대승의 팀을 이루고 다음 일대일이 될때까지 훈련을 해야 한다. 그 과정은 첫번째 패를 바꾸는 것이다. 인간은 개인으로 한 번 태어나고 팀원으로 다시 태어난다. 진보하는 진리의 팀이다.


    

199.JPG


    짝짓기 원리 하나만 알면 됩니다. 어떤 둘이 만나서 새로 짝을 짓는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바이얼린과 활은 동시에 태어났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 됩니다. 현실에서 만나지 않아도 실존에서 이미 만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 됩니다. 무엇을 만났는가? 그 무엇에다 이름을 붙이면 됩니다. 보통은 신이라고 하지만 성의가 없는 것입니다. 의사결정의 현장에서 필요한 일대일의 파트너는 그대만의 이름을 필요로 합니다. 그것이 깨달음을 불러오는 화두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43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234
6890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41
6889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59
6888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62
6887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47
6886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09
6885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17
6884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73
6883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13
6882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83
6881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10
6880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51
6879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11
6878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68
6877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52
6876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796
6875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396
6874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31
6873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15
6872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38
6871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