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년대 미국 팝을 카피떠서 중국에 파는 느낌.시스타 뮤직 비데오를 보다가.
http://www.youtube.com/watch?v=9txzvu6eQuw
2014.09.23 (04:25:26)
80년대 초에는 중국 대륙의 대중문화와
홍콩, 대만의 대중문화의 격차는 매우 컸습니다.
그 당시 중국에서는 홍콩, 대만의 대중문화가
중국의 대중 문화를 선도하였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급속한 경제발전을 하게 되고
홍콩, 대만이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에 눌리게 되자
대륙, 홍콩, 대만의 대중문화는 큰 차이가
없어지고 사실 상 단일한 한 덩어리로 뭉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국제적 경쟁력을 같이 상실하였습니다.
(이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홍콩, 대만이 차지하고 있던
해외 대중문화, 문물에 대한 수요가
한국으로 대체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런데 이것은 결코 한국이 의도한 것은 아니었고
단지 내수용의 대중문화 상품을 열심히 생산했을 따름 인데도
얻어진 결과라는 것이 아이러니할 뿐입니다.
2014.09.23 (08:55:34)
80년대 한국의 대중문화도 홍콩 대만의 덕을 보고 있었지요.
미국 프랑스의 문화에서 홍콩 대만으로, 다시 일본문화로 이어진 한국문화의 유전적 고리가 있어요.
현재 한류는 그 고리가 낳은 것이고, 이것이 다시 일본 서구 중국으로 역수출되는거라고 봅니다.
지정학적 위치, 정치적 상황이 세계문화의 이합집산을 일으키게 만들었죠.
사실, 한류안에 일본, 홍콩, 미국, 프랑스, 한국 문화가 다 들어있거든요. 진정한 비빔밥..
80년대 초에는 중국 대륙의 대중문화와
홍콩, 대만의 대중문화의 격차는 매우 컸습니다.
그 당시 중국에서는 홍콩, 대만의 대중문화가
중국의 대중 문화를 선도하였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급속한 경제발전을 하게 되고
홍콩, 대만이 중국의 정치적 영향력에 눌리게 되자
대륙, 홍콩, 대만의 대중문화는 큰 차이가
없어지고 사실 상 단일한 한 덩어리로 뭉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국제적 경쟁력을 같이 상실하였습니다.
(이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홍콩, 대만이 차지하고 있던
해외 대중문화, 문물에 대한 수요가
한국으로 대체된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런데 이것은 결코 한국이 의도한 것은 아니었고
단지 내수용의 대중문화 상품을 열심히 생산했을 따름 인데도
얻어진 결과라는 것이 아이러니할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