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아다리님의 글을 읽고 느낀점 입니다.)

공포의 반복, 연장상영, 혹은 시리즈화를 고통이라고 부를 수 있지않을까?
그런 점에서 에이리언 시리즈는 정말 고통스럽다.
이 공포는 결코 대항할 수 없는 절대우위적 파워를 지닌 자(에이리언)의 침략에서 상정되며,
절망과 희망의 극단을 오르내리면서 우리의 생존력을 시험한다.

그냥 이대로 뛰어내릴까..
요란한 겉포장과는 달리 유달리 생존력이 약한 우리의 미해병대들은 공포에 질린 나머지 자진해서 절망의 신에게 자신을 헌납해버린다.
물론 이 대목은 공포의 가공할 파워를 홍보하기 위한 장치일테이지만..

에이리언은 우리에게 마지막, 궁극의 한가지 질문을 던진다.
너, 이래도 계속 까불거니?
봉쇄된 절망과 지칠줄 모르는 고통의 변주를 듣고서도, 나름의 희망을 동원한 정돈된 삶을 동경하니? 하고 되뇌인다.
영화는 우리의 삶에 대한 조잡스러움과 죽음앞에서의 비겁함을 마음껏, 끊임없이 조롱한다.
값비싼 댓가를 치르며 2시간동안 스크린의 볼모로 앉아있을 수 밖에 없는 우리가 마침내 더없이 초라해질때, 영화는 본래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한다.

너희의 그 고상한 권리 따위는, 기껏 죽음하나 어쩌지 못하는 비루한 생명알갱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무자비한 공포채널로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고통은 결코 소통되지 않는다.
고통은 우리의 모든 감각과 사고를 기능정지시키며 무의미의 세계로 내팽개쳐버리기 때문이다.
이 절망적인 순간에 우리의 취할바가 무엇인가?의 질문을, 한편의 영화도 부족해서 시리즈로 던지고 있다.

결국 이 영화에서 내가 찾은 소통의 방법은, 고통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고통 자체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거다.
고통을 옹호하고 고통을 자기속에 함유하며, 마지막 안전지대마저 내놓는 것..
이것만이 고통으로부터 나를 지킬수 있다는 메시지다.
그래서 마침내 그녀는 마지막 작품에서 고통의 신으로 부활했다.

고통을 적대하건 광신하건,
그것과 대립하여 안전을 구하는 순간 절망의 골짜기로 굴러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점에서 에이리언은 고통(또는 미지)를 끌어안기 위해 모색하는 영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71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723
5544 추미애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03-11-12 14543
5543 인생은 운명인가 자유의지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05 14541
5542 Re.. 의미없는 이야기입니다. 김동렬 2002-12-11 14541
5541 왜 공부해야 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5-19 14540
5540 유시민과 장영달을 지지함 김동렬 2005-03-22 14538
5539 박근혜보다는 전여옥이 낫다 image 김동렬 2004-02-24 14537
5538 자연과 인공이 조화할수 있을까요? 꿈꾸는 자유인 2002-10-07 14536
5537 닭들의 습격 김동렬 2003-06-20 14526
5536 Re..너희가 있어야 할 곳은 어디인가? 황태연-강준만 논쟁에 관하여 진중권 제인(펌) 2002-10-19 14526
5535 나는 누구? 여긴 어디? image 3 김동렬 2017-05-18 14525
5534 그래서 어쩌라구? 4 김동렬 2009-11-12 14522
5533 김근태 갈짓자 행보 김동렬 2007-01-08 14521
5532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image 김동렬 2004-09-11 14521
5531 하품을 하는 이유? 김동렬 2007-07-10 14519
5530 김기덕이야기 김동렬 2004-02-16 14519
5529 Re..선거철이 되니 정신이상자도 대목을 보겠다고 김동렬 2002-11-07 14517
5528 니 귀신 아이가? 이영호 2002-11-03 14517
5527 질을 이해하기 image 김동렬 2009-01-12 14514
5526 Re..키쿠님~ 안녕하세요 김동렬^^ 2002-09-23 14511
5525 막가는 헌재 김동렬 2004-10-21 14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