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0]동동
read 4237 vote 0 2009.08.27 (05:52:20)

얼마전 우연히 구조론 모임에 갔다가

 

김동렬씨의 구조론 강의가 있었고

깨달음을 그리다' 란 책을 샀고

술로 자리가 무르익다가

어느 분이  구조론적으로 수학을 가르치는 방법을 발표했다.

상시 요리조리 생각하는 타입의 사람인듯 한데

 

여튼 그의 구조론적 수학 습득법은

완전히 이해되진 않아도 뭔가 명쾌하였는데

 

그후 한방공부를 하다보니

뭔가 거기에 나도모르게 영향 받은게 느껴졌다

내 머릿속에 습득구조가 조금 바뀌려는 기색이 보였다.

그냥 무질서하게 머릿속에 쓸어넣기만 했던 것들이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는 방향성을 보였다.

 

이런 느낌 좋다

나도모르게, 어떤 접촉에 의해 서서히 달라진다.

그것이 학문의 부분이든 인간성의 부분이든

이런 신선한 느낌은

언제든 환영이다

 

더 중요한건

이걸 잊기전에 적용시켜야 한다는 거다

가능한한 여기저기 양념처럼 뿌려보는것도 괜찮은 방법이고

그리고, 더욱 중요한건

깨달은걸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09.08.27 (08:45:39)

ㅎ^^ㅎ 누구신지 알것 같구려~
공감~
가까운데 계시는데 가끔 놀러오시구려~~

사상이나 팔상이나~ 내가 임상실험(?)  많이 당했던지라 ㅋㅋ
(거 쫌 구조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09.08.27 (13:24:26)


한방과
구조론은 닮은 것이 있소.

한방은 목에서 시작되는데
구조론은 토에서 시작되오.

토(질)
금(입자)
수(힘)
목 (운동)
화(량)

한방과 달리 구조론에서는
토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고
맨 위에 올라서오.

토는 낳음, 번식, 씨앗
금은 스위치, 엔진, 센터, 주도권행사, 주류, 새싹
수는 방향전환, 짝짓기, 파트너, 선택,
목은 성장, 진보, 발전, 진행
화는 침투, 소멸, 피드백, 흔적, 표현

대략 이렇게 볼 수 있소.
그리고 전체적인 방향성이 있는데

위쪽은 밸런스(음)
아래쪽은 파격(양)인데 여기서 혼선이 있는 것은

인간사회의 남녀관계는 구조론과 안맞다는 점이오.
남자는 양 여자는 음 이건 거꾸로요.

구조론은 모계사회이기 때문에 여자가 양, 남자가 음이오.
위에 밸런스가 음이라고 써놨는데 그건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남녀기준의 음을 말하는 것이고
구조론은 밸런스가 양이고 파격이 음이요.
중국의 음양론도 밸런스가 양이오.
근데 이걸 따지면 너무 헛갈려서
이야기가 복잡해지니 대충 이 정도로 합세다.

즉 찬 기운이 밸런스(음, 실제로는 양)고
뜨거운 기운이 파격(양, 실제로는 음)이오.
전기는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가는데 이건 과학자들이 플러스 마이너스를 헛갈려서 그런 거고.
어쨌든 밸런스가 차고 파격이 뜨거우며
빛은 밸런스 즉 차가운 곳에서 나오요.
빛이 뜨겁다는 우리의 관념은
반딧불의 찬 빛을 모르고 하는 소리고
우리가 빛이라고 믿는 것은 빛이 깨져서 파동이 된 것이오.
빛 자체는 입자이고 차갑소.
건드리면 빛이 깨지면서 파동으로 변하여 뜨거운 기운을 내뿜소.
즉 뜨거운 기운 차가운 기운으로 나눠지는게 아니라
차가운걸 건드리면 무너져서 뜨거운 것으로 변하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32 제주 강정마을 평화활동가 탄원서 서명 부탁드립니다 수피아 2020-03-29 1620
5031 노인들이 미통당계열을 지지하는이유가 궁금합니다. 3 승민이 2020-03-28 2015
5030 앨런 그린스펀과 냉전이후의 경제 dksnow 2020-03-28 1751
5029 세월호가 넘어진 방법 이금재. 2020-03-27 1786
5028 양적완화에 대하여(수정) 이금재. 2020-03-26 1709
5027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26 1686
5026 문화일보가 만든 나와 딱 맞는 정당 찾기? 2 슈에 2020-03-25 1681
5025 코로나는 사스나 메르스와 다르다 3 이금재. 2020-03-24 1911
5024 sbs의 만행 9 이상우 2020-03-24 2164
5023 오늘 처음 해본 온라인 강의 4 수원나그네 2020-03-23 1689
5022 '사회적 거리두기' 라는 문구가 철학적으로 다가오는 시간 (3) image 아란도 2020-03-22 2254
5021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19 1597
5020 민주당이 pk운동권당? 승민이 2020-03-18 1424
5019 코로나 폭증배후에 일본우익들도 개입되어있을가능성에 대해 3 승민이 2020-03-15 2134
5018 뉴욕타임즈 기사 "How Coronavirus Hijacks Your Cells" 요약 1 오세 2020-03-13 2260
5017 사회적 거리두기(2) - 문명과 문화 단상 image 2 아란도 2020-03-13 1804
5016 구조론 목요모임(장안동, 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12 1514
5015 콜센터 에어로졸 펄잼 2020-03-10 1846
5014 동렬님께 구조칼럼 '사회주의를 빙자한 정신병 행동' 질문 4 종달새 2020-03-10 2265
5013 사회적 거리두기에 관하여 2 아란도 2020-03-10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