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024 vote 0 2014.07.07 (16:18:05)

 


    세상이 컴퓨터라면 구조는 소프트웨어다. 의사결정은 그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이다. 왜 의사결정학인가? 대상이 통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학은 계산한다. 그것을 통제한다는 말이다.


    그냥 그런게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데서 그치지 않고, 그것으로 문제를 해결해 보인다. 의학은 사람의 몸 속에 오장육부가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데서 그치지 않고 병을 고쳐 문제를 해결한다.


    문학은 시를 쓰고, 건축학은 집을 짓는다. 액션을 해보여야 한다. 거기서 고수와 하수가 가려지기 때문이다. 진짜와 가짜가 분별된다. 구조론은 세상을 설명하고 의사결정학은 시범을 보인다.


    대상을 통제해 보일 때 학문은 완성된다. 통제한다는게 중요하다. 통제하려면 만나야 하고, 그 만남의 지점에서 일점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모든 만남은 한 점을 이루고 그 한점은 통제된다.


   55.jpg


    스위치 역할를 하는 그 한 점이 있으므로 저울은 물체를 계량할 수 있다. 자는 눈금을 잴 수 있다. 콤파스는 동심원을 그릴 수 있다. 그 한 점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학문은 미완성이다.


    경제학이라면 수요와 공급이 마주치는 한 점을 제시해야 한다. 그 점을 움직이는 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반면 사주관상이나 음양오행과 같은 사이비 과학은 그 똑부러지는 한 점이 없다.


    장기를 두는 것과 같다. 장군을 부르면 멍군으로 대응해야 한다. 딱 걸리는 지점이 있다. 거기서 완전히 승부가 난다. 바둑이라도 마찬가지다. 단수를 치면 대마가 죽게 되는 지점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701
2946 하드보일드식 글쓰기 7 김동렬 2014-09-18 8930
2945 자기 생각을 쓰지 마라 6 김동렬 2014-09-17 8401
2944 글을 잘 쓰는 방법 8 김동렬 2014-09-16 10401
2943 자연법칙의 이해 2 김동렬 2014-09-15 6048
2942 열역학과 구조론 2 김동렬 2014-09-13 5995
2941 몇 가지 이야기 5 김동렬 2014-09-12 7194
2940 구조론의 법칙 김동렬 2014-09-11 6333
2939 구조론과 디자인 1 김동렬 2014-09-10 6155
2938 구조론적 사유 1 김동렬 2014-09-08 6081
2937 중간자를 제거하라 1 김동렬 2014-09-05 6432
2936 모든 문제의 정답 2 김동렬 2014-09-05 6053
2935 의사결정학 간단요약 김동렬 2014-09-04 5857
2934 자유의지와 집단의지 김동렬 2014-09-03 5922
2933 의사결정학의 개요 김동렬 2014-09-02 5737
2932 의사결정 방법 2 김동렬 2014-09-01 6646
2931 의사결정학으로의 초대 2 김동렬 2014-08-31 5938
2930 약한고리를 보호하라 4 김동렬 2014-08-28 6907
2929 구조론은 한 방이다. 7 김동렬 2014-08-26 6921
2928 진화론에서 구조론으로 김동렬 2014-08-25 6004
2927 답은 상부구조에 있다. 1 김동렬 2014-08-24 6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