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0426 vote 0 2014.06.30 (22:12:24)

00383464601_20110210.jpg


뒤로 보이는 저 넓은 도시를 보라. 현대식 도시에 몇 만명은 살텐데 이걸로 뭘 어쩌겠다고? 장난하나?


1_PA010282_Page.jpg 


이것도 말만 요란했던 프로젝트. 한국 초등학교에 필요할지도. 


49df19f92da2f.jpg


날 더운 아프리카에서 누가 이 펌프를 돌리겠는가? 학교에만 기능.


c0021633_4b5f851e266ec.gif 


간이정수기. 효과없음. 이거 쓰란다고 쓸 정도로 개화되어 있으면 끓여먹을거.


적정기술_화로.jpg


이건 지금 당장 내한테 필요한 거. 화력좋고.


캄보디아_솔라쿠커_적정기술.jpg 

왜 냄비 바닥을 검게 칠하지 않았지? 성의가 없네. 이런건 인도에서 잘 팔린다고. 아프리카는 안됨.


htm_2009032416320170007300-001.JPG

이 정도 되면 이미 문제가 해결된 상태. 도움은 불필요.


아프리카에 필요한 것은 족장입니다. 

1. 선교사들은 기독교로 아프리카를 해결해 보려고 나섰지만 실패. 회교가 더 먹히는 판.

2. 마르크스는 혁명으로 어찌 해보려고 했지만 실패. 전쟁으로 인한 대량학살만 늘어났습니다.

3. 구조주의, 탈근대 철학은 문화적 다양성 어쩌구 하면서 포기.

4. 교육은 일정한 성과를 얻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함. 

5. 중국의 돈질은 일정한 효과와 동시에 부작용.


아프리카에 진짜로 필요한 것은 샤카 줄루. 

부족을 깨고 가족으로 전진해야 하는 거. 




프로필 이미지 [레벨:7]風骨

2014.07.01 (01:09:26)

여기 하나 추가요.


큰 일교차를 이용해서 공기 중의 수증기를 생활용수로 변환시키는 장치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167945&s_no=167945&page=4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7.01 (01:17:40)

이건 아프리카 아니라도 써먹을 데가 많을듯.

물이 있는데 3시간 걸리는건 물 문제가 아닙니다. 


물이 아예 없는 경우라면 이건 진짜 필요한 거죠. 

북아프리카의 알제리나 튀니지, 리비아.. 미국도 사막지역 여행자를 위해 설치해야 할 판.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412
2017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50
2016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440
2015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434
2014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24
2013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412
2012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77
2011 척력. 2 아제 2010-07-14 7359
2010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59
2009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47
2008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31
2007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326
2006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319
2005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316
2004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315
2003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286
2002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271
2001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69
2000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245
1999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43
1998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