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6921 vote 0 2014.06.30 (21:50:05)

 

    애매한 공간에서의 동적균형


    백화점에서 간부가 직원을 함부로 대하면 어떻게 될까? 직원이 문만 나서면 고객으로 신분이 바뀐다. 블랙컨슈머로 돌변할지 모른다. 오뎅공장이나 엿공장은 옛날부터 지저분하다고 알려져 있다.


    요즘이라면 햄버거집이나 편의점이 위험하다. 점장이 알바를 함부로 다루면? 알바가 스마트폰으로 찍어서 제보하는 수 있다. 유통기간을 조작했다거나 위생문제가 있다고 페북에 터뜨리는 거다.


    회사의 면접시험이라도 그렇다. 면접관이 갑이고 지원자는 을이다. 갑이 오만한 자세로 나오면? 지원자는 자신이 이미 짤렸음을 직감하고 자세가 삐딱해진다. 이걸 구직사이트에 올려? 말어?


    누가 갑인가? 을도 뭉치면 갑으로 바뀐다. 지원자의 자질이 평가될 때 동시에 회사의 평판도 평가된다. 힘의 평형이 작동하면 에너지의 동적균형이 성립한다. 잠복해 있던 상부구조가 드러난다.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한다. 아니다. 보이는 손이다. 갑과을 사이에서 동적균형의 작동을 알면 그 숨은 손이 보인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보이지 않는 손’이 ‘보이는 손’으로 바뀐다.


    대개 상부구조는 은폐되고 하부구조는 보인다. 틀렸다. 상부구조는 의사결정할 때만 보이고, 하부구조는 같은 일을 계속 반복하므로 입증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사실은 둘 다 잘 보인다.


    소실점은 보인다. 잘 보이는데 설명하기 어려우니 얼버무리는 것이다. 하부구조는 반복되므로 데이터를 축적해놔서 입증할 수 있고 따라서 이를 남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점이 다를 뿐이다.


    자전거를 탈 때 균형을 잡고 페달을 밟는 것이 아니고 페달을 밟아야 균형이 잡힌다. 이런건 쉽게 이해한다. 왜? 자전거 타봤거든. 수영할 때도 마찬가지. 물에 뜬 다음 헤엄을 치는게 아니다.


    헤엄을 쳐야 물에 뜬다. 근데 이건 잘 모른다. 왜? 의외로 수영 못하는 사람 많음. 자전거 못 타는 사람은 없는데 수영 못 하는 사람은 제법 많다는 거. 결국 보이느냐 안 보이느냐는 경험이다.


    ◎ 상부구조는 새롭게 창의하므로 의사결정하는 순간에 보인다.
    ◎ 하부구조는 같은 일을 반복하므로 저장된 데이터를 볼 수 있다.


    구조론은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를 복제하므로 둘은 같다는 거다. 새로운 일이냐 반복되는 일이냐의 차이 뿐이다. 월드컵은 4년마다 반복된다. 신인에게는 새롭지만 고참에게는 반복되는 일이다.


    결론적으로 구조의 문제는 사실 문제 그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그 구조를 대하는 사람의 문제다. 승객에게는 처음 타는 버스라도 운전기사에게는 늘 타는 버스다. 결국 문제는 사람의 차이다.


    보통은 확률 속에 숨어 있다. 하부구조의 시스템은 절대적이고 상부구조의 동적균형은 상대적이지만 확률로 보면 상부구조 역시 절대적이다. 가격이 비싸면 물건이 안팔리는 것은 절대적이다.


    그러나 때로는 비싸도 팔리는 것은 상대적이다. 그러나 확률로 보면 결국 싸야 팔린다. 역시 절대적이다. 콩나물값은 가격이 싸야 팔리고 명품옷은 비싸야 팔린다. 이러한 기준 역시 상대적이다.


    소비자의 문제인 것이다. 하층민의 입장에서 그렇고 명품옷도 재벌의 입장에서 보면 싸야 팔린다. 비싸다고 사는 사람은 후진국사람, 싸면 사는 사람은 선진국 사람이다. 인류 전체로 보면 같다.


    한국에서 비싼 명품이 미국에서는 반의반값인 경우는 많다. 한국은 비싸야 팔리고 미국은 싸야 팔린다. 사람의 문제일 뿐, 인류 전체로는 같다. 상대성은 고립된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성립한다.


    법칙은 엄연한데 사람이 엉뚱하게 들이대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대성은 절대적인 원리가 아니라 고립된 것에서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현상이다. 확률로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확률로 보려면?


    사건을 키워야 한다. 더 넓은 공간에서 더 긴 시간으로 보면 답이 보인다. 30분으로 제한하고 편한 일과 힘든 일 중에서 선택하라면 편한일을 선택한다. 100년을 주면? 힘들어도 경험치 쌓는다.


   


[레벨:11]큰바위

2014.06.30 (21:59:30)

결국 가치는 사람이 정하는 것, 

가치를 제대로 매길 줄 알아야 한다는 말씀. 


상부구조, 하부구조 이는 늘 가역적이다. 

불가역적인 것, 영원한 건 읍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638 반야심경 1분요약 image 5 김동렬 2014-11-19 6570
3637 양자적 관점 image 1 김동렬 2014-10-20 6572
3636 이기는 자가 강한 자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1-26 6578
3635 미학은 일원론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7-06 6578
3634 생존경쟁개념의 오류 김동렬 2014-08-03 6582
3633 자전거 여행 image 2 김동렬 2014-09-25 6587
3632 작용과 반작용 image 김동렬 2015-11-19 6598
3631 구조주의자의 자격 image 김동렬 2015-04-08 6606
3630 의사결정의 최종근거 2 김동렬 2014-08-05 6607
3629 너 없이 나 없다. image 5 김동렬 2014-11-26 6607
3628 의사결정 방법 2 김동렬 2014-09-01 6610
3627 사건 안에서 두 번의 방향전환 image 6 김동렬 2015-02-17 6616
3626 척 보고 아는 구조론적 센스 image 6 김동렬 2015-05-13 6616
3625 대화가 끝나는 지점 image 3 김동렬 2016-06-23 6623
3624 이겨야 이긴다 김동렬 2018-07-30 6633
3623 믿음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4-09-24 6639
3622 새가 한쪽다리로 서는 이유는? image 1 김동렬 2015-11-26 6643
3621 예수는 좋은 사람이다 image 33 김동렬 2015-09-14 6647
3620 인간의 세 가지 문제 image 김동렬 2016-05-11 6660
3619 의도가 지배한다 12 김동렬 2015-04-16 6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