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여당은 주동하고 야당은 추동한다. 그래줘야 국가가 역동한다. 움직인다. 뭔가 한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시절이 좋았던 이유다. 이명박근혜 때는 이게 없다. 여당도 없고 야당도 없다. 여당은 끌지 않고, 야당은 밀지 않는다. 여당도 야당도 국권 사유화에 골몰할 뿐이다. 갑질에 빠진 거다. 자빠지는 일만 남은 거다.

 

인류가 가는 대세를 알려 하는 까닭은 알아야 추동이던 주동이던 동하는 짓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권세를 쥐면 주동하고, 잃으면 추동하면 된다. 새술이 없어도 새부대는 만들어 두어야 하고, 새부대가 없어도 새술은 만들어야 한다. 술도 부대도 없을 때는 만드는 법이라도 적어 두고 떠들고 다녀야 한다. 떠들 수 없으면 벽보고 씨부리기라도 해야 한다. 주동은 권세가 있어야 하지만, 추동은 숨만 쉴 수 있으면 할 수 있다. 조문도석사가의는 그래서 남겨둔 말이다. 도를 알면 권세가 없어도 할 일은 많다.

 

대한민국은 성공 중이다. 서구와 비교하여 주눅들 이유가 없다. 세상이 후진 건 51% 오바마 몫이다. 한국이 후진 건 51% 이명박근혜 몫이다. 새정치가 후진 건 51% 김한길철수 몫이다. 권세 있는 이들에게는 "주동"이 맡겨져 있다. 권세 없을 때는 기꺼이 "추동"을 맡으면 된다.

 

야권 추동은 간단하다. 간단하면 된다. 간단하지 아니한가? 간단한 거 하나만 있어 주게 하면 된다. 복잡한 건 "권"을 맡은 자의 몫이다. 선거는 항상있다. 지금 져도 다음이 있다. 지면 추동하면 된다. 추동할 하나를 찾아 내야 된다.

 

국가,  50% + 1표가 되면 무엇을 할 것인가? 87년에 한 것이 "직선제"다. 직선제 다음은? 직선확대다. 지자체 직선제 했고, 교육감 직선제 했다. 뭐 다음 직선제 할 꺼 내 놓으면 된다. 국민선거판에 내놓을 꺼 하나 결정해서 내 놓아야 한다, 이건 예시.

 

정당, 의사결정 구조는 국가 의사결정 구조에 동기화 되어 있어야 한다. 야당이 힘을 못쓰는 것은 의사결정구조가 한국 보다는 일본에 가까운 거, 당연 한국에는 반응하지 않고 일본에 반응하게 된거다. 당을 한국 의사결정 구조에 동기화할 준비는 안하고 나라를 일본처럼 만들려고 하니 지지를 하고 싶어도 정도 이상 할 수가 없다. 당내 선거를 당원 100%로 하던 국민참여 100%로 하던 당대표에게 대통령과 같은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부작용? 감수하는 게 맞다, 이것도 예시.

 

신생당, 스마트폰 기반 의사결정 기술을 바탕에 깔아 줘야 한다. 정보기술 기반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 야당은 국가 구조는 바꿀 수 없어도, 야당 구조는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이건 신생 전당의 몫이다. OS부터 최신 버젼으로 깔아 두고 시작할 수 있어야 한다. 생산년도에 맞는 버전이 나와 줘야 신생이다, 물론 이도 예시.

 

갑질에 빠진 넘들은 반드시 자빠지고, 결판의 날은 어김없이 온다.

 

을국을세에 처해도 일을 내며 즐거워야 클 세력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4]곱슬이

2014.06.10 (11:04:12)

와우 진짜 멋지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10]id: 배태현배태현

2014.06.11 (01:57:18)

박수치고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591
837 생각의 정석 12회 -미쿡특집- 4 오세 2013-09-12 4121
836 구조론과 인공지능 image 39 오리 2021-07-19 4121
835 조선일보의 비밀 image 2 김동렬 2016-12-15 4122
834 구조론에 대한 질문 4 자유 2008-11-26 4124
833 인간은 폭력적인가? 6 김동렬 2014-03-24 4124
832 대충해도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1-02-10 4128
831 그네파 일당이 봐야할 영화 6 김동렬 2014-05-20 4130
830 폭력에 대한 구조론적 접근: 폭력의 자궁은 바운더리의 침해. 1 오세 2012-03-22 4133
829 제품의 가치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1-02-15 4140
828 이외수 죽이거나 지우거나 담^ 2013-01-30 4140
827 결혼의 구조 5 ░담 2011-01-05 4142
826 구조를 알아야 관계는 도약된다. 5 조율 2011-05-29 4148
825 다윈, 라마르크 둘 다 틀렸소. image 2 김동렬 2015-02-08 4152
824 이말년은 알고 있었다. image 김동렬 2016-11-18 4152
823 장자의 관점에 대해 논하시오. image 5 김동렬 2014-07-30 4155
822 2500년, 미분의 역사 chow 2022-08-15 4159
821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61
820 한국사람은 국어공부를 해야 함다. 1 김동렬 2015-01-26 4161
819 구조론과 정신분석 (논문에서 발췌) 오세 2010-11-12 4167
818 권구조담- 부바키키 효과 발견, 어학 수학 한 줄에 꿰기. 2 ░담 2010-12-21 4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