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2314 vote 0 2002.10.09 (16:58:31)

만약 이번 선거에서 이회창이 당선된다면
우리 국민의 보편적인 수준과 정서가 그를 원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사실 김대중정권이 창출된 것도
국민적인 지지에서라기 보다는 IMF라는 국가적 위기와
김영삼이라는 역사에 길이 남을 정권의 정치부재에서
어부지리로 얻은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작금의 다소 답답한 현실은 다시금 제자리로 돌아온 결과라고
보여지며, 이 또한 어쩔 수 없는 한국의 현실이라 생각합니다.

지식인이 지식인의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고,
진보와 개혁의 편에 서서 국민들을 이끌어가는
예술 및 문화인사도 거의 없습니다.
그저 금권을 쥔 사람들이 기득권 확보 및 보호를 위해서
이회창 정권을 강력하고 원하고 있고
대다수의 국민들은 그들의 언론플레이에 그저
따라가고 있습니다. 깨끗하고 바른 정치를 원하는 사람들은
소수이고, 다수의 사람들이 시니컬한 무관심 속에
있는 가운데, 어쩌면 몇몇 보수언론의 뜻대로 이뤄지는
정권탄생이 되지 않을까 하는 깊은 우려가 생기는군요.

2달이내에 커다란 이변이 일어나기를 바랄 뿐입니다.
동렬님과 같은 분이 열씸이 뛰어주시고,
아다리님과 같은 분이 입소문이라도 내서
우리의 작은 힘을 보탠다면...
혹시 우리의 꿈이 이뤄질지도 모르겠죠?
저역시 넘 시니컬해졌나여? ㅈ ㅈ ㅈ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838 왜 인문학이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7-10-27 15193
1837 구조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25 14267
1836 학문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22 19101
1835 구조론 나머지 부분 김동렬 2007-10-20 12402
1834 여행 하지마라 김동렬 2007-10-18 14767
1833 원자론과 구조론 김동렬 2007-10-18 12385
1832 너와 나의 구분이 없는 경지 김동렬 2007-10-16 14049
1831 영어와 한자의 학습원리 김동렬 2007-10-11 17320
1830 민주화세력의 성공과 실패 김동렬 2007-10-09 14333
1829 일치와 연동 김동렬 2007-10-07 14336
1828 분청사기의 충격 김동렬 2007-10-07 17155
1827 이오덕과 권정생에 대한 추측 김동렬 2007-10-06 17277
1826 정동영 딜레마 김동렬 2007-10-06 15564
1825 학문의 역사 보충설명 김동렬 2007-09-30 14301
1824 구조론은 건조한 이론이오. 김동렬 2007-09-29 12329
1823 개혁+호남은 옳은가? 김동렬 2007-09-29 14397
1822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07-09-28 11588
1821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9-27 11506
1820 기독교는 무엇인가? 1 김동렬 2007-09-21 14765
1819 서프 논객들이 증발한 이유 김동렬 2007-09-20 15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