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법명석한 어는 아우님과 톡주고받으며
드는생각..
그친구와의 현재 관계가 제가 모피어스?역이고 그친구는 또 하나의 네오역 인데 알약을 권하는중..과연 결과는..

![포인트:9985point (52%),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포인트:9985point (52%),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짧은 글들로 자꾸 자게를 어지럽히는군요.ㅎㅎ..
기다림이 있어야한다. 돈과 마음은 유혹하지 못한다. 그리고 뒤뚱거림.....
선생님의 1권부터 최신판까지 읽을 나날을 생각하니 가슴이 두근두근....제가 좀 빠르지만 느린건 엄청나게 느린편이라..
다 때가 있다는 말이 참................여러가지로 많이 깨닫는 요즘이네요.
![포인트:21184point (33%),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제법 명석하다'는 대목이 조금 걸리네요.
제 경험으로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명석함'과 구조론의 유전자는 쉽게 결합하지 않더군요.
귀납적 사고에 익숙한 명성한 두뇌를 연역적 사고로 바꾸는 것은 굉장한 저항에 부딪힙니다.
귀납과 연역의 사고 차이를 비롯해서,
친구분에게 미리 그 저항의 크기를 숙지시켜주시는 것이 조금이라도 수월할겁니다.
저도 비슷한 고민을 많이 해본지라...ㅎㅎ

![포인트:9985point (52%),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네..그래서 이것저것 따져보며( 제 주제파악도 해가며..) 시도?하는 중입니다.
좀 조심스럽고 천천히 일단 장기적 스탠스로요..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포인트:9985point (52%),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귀납과 연역...어찌 보면 시도하려는 마음 자체가 잘못되었을수도 있다는 생각이....
음식을 알면 알수록 어렵다는 말을 종종 듣거나 저도 그런 생각을 하긴하는데
구조론도 역시 어렵다가 쉽다가 어렵다가 쉽다가 그러네요.
![포인트:21184point (33%), 레벨:15/30 [레벨:15]](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5.gif)
시도 자체는 나쁘지 않은거같아요. 가장 흔한 장면이라면..
연역의 '일단 믿어?' 와 귀납의 '뭘로 믿어?' 가 평행선을 그리는 상황이 초래되었을때,
그 사람의 직관에 호소하는 외에는 마땅한 대안이 없더라구요.
직관이라는 말을 꺼내기라도 하면 선무당 보듯이 쳐다보더라구요 ㅋ
결국, 온 세상을 구조론의 5단계 모듈로 설명할 수 있음을 납득시키는 지난한 과정이 필요할 겁니다.
저도 누군가에게 구조론을 알려주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구조론적 모형으로 사고하는 훈련을 계속했거든요.
그러다보니 지금은 어떤 생각을 떠올릴때마다 구조 모형을 대입하는 습관이 생겼어요.

![포인트:9985point (52%),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