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746 vote 0 2014.05.08 (17:59:40)

 

    세상은 에너지다


    세상의 근본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진공의 진동이다. 진공의 진동이 외력과 상호작용하여 물질을 생성할 때 진동이 밖으로 퍼져나가면 파동이고 안으로 감추면 입자이고 결정되지 않으면 양자다.


    모든 존재는 궁극적으로 양자적이다. 양자는 물질이 형태를 결정하기 이전 단계의 모습이다. 모든 존재는 그냥 존재가 아니라 연출된 존재다. 양자는 영화가 스크린에 비춰지기 전의 필름과 같다.


    양자가 형태를 결정하는 원리는 대칭과 비대칭이다. 먼저 대칭을 만들고 다음 비대칭으로 바꾼다. 세상은 널리 대칭되어 있다. 전후, 좌우, 상하, 음양, 선악, 주종의 대칭성은 의사결정의 무대다.


    대칭을 만드는 것은 에너지의 일방향성이다. 에너지는 언제나 높은 단계에서 낮은 단계로 이행할 뿐 그 역의 방향은 없다. 자동차는 언제나 엔진이 바퀴를 돌릴 뿐 바퀴가 엔진을 돌리는 일은 없다.


    에너지는 비대칭적인 존재다. 에너지가 형태를 드러낼 때는 반드시 대칭을 거친다. 의사결정의 단계에서 대칭을 거쳐갈 뿐 대칭은 자연의 최종적인 모습이 아니다. 대칭적인 자연은 현재진행형이다.


    지진이 나면 어떻게 할까? 가까운 것을 붙잡는다. 버스가 흔들리면 손잡이를 잡는다. 진동이 일어나면 붙잡게 되고 붙잡으면 선이 된다. ●가 ○를 붙잡으면 ●○꼴이 된다. 이는 대칭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선이다. 모든 존재는 선형으로 이행한다. 시간은 과거에서 미래로 이행하고 물질은 중심에서 변방으로 이행한다. 대칭은 다음 단계의 의사결정이 가능한 형태를 찾기 때문이다.


    인간은 남자와 여자로 대칭된다. 이는 아기를 낳기 위한 장치다. 모든 대칭은 비대칭으로 이행하기 위한 장치다. 대칭을 이루어야만 의사결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두 남녀가 동굴 속에 있다.


    이때 호랑이가 나타나면? 서로 떨어져 있던 남자와 여자가 ●○꼴로 모인다. 이 모습은 대칭처럼 보이지만 잠정적인 상태다. 이 상태로는 호랑이에게 맞설 수가 없다. 남자 혼자서 호랑이와 싸운다.


    ●○꼴의 수평구조가 ←꼴의 수직구조로 바뀌며 에너지를 작동시킨다. 에너지를 작동시키는 모델은 이 모형 뿐이며 예외는 없다. 여당과 야당은 수평적이나 선거 후에는 여당이 권력을 독식이다.


    남편과 아내가 평등하게 의논하지만 실행은 남자의 몫이 되거나 여자의 몫이 된다. 원탁의 기사는 둥글게 대칭적으로 모여앉지만 회의할 때만 그렇다. 실행할 때는 왕이 앞서고 졸개가 따른다.


    대칭적으로 평등하지 않으면 의사결정에 실패하고, 평등상태에 계속 머무르기만 하면 집행에 실패한다. 살펴보면 세상의 모든 것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의사결정을 할수 있는 준비된 상태로 있다.


    빛과 어둠, 플러스와 마이너스, 부자와 빈자, 진보와 보수, N극과 S극 등 자연의 모든 대칭에 일방향의 자기력선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언제나 N에서 S로 갈 뿐 그 역방향의 진행은 없다.


    나무의 나이테는 둥글게 대칭되어 있다. 그러나 언제나 살이 붙는 곳은 바깥쪽이다. 게나 가재처럼 안으로 살이 찌는 나무는 없다. 눈의 결정은 육각형의 대칭을 이루지만 생장점은 바깥에만 있다.


    역사의 진보와 보수는 대칭을 이루지만 생장점은 진보에만 있다. 보수는 생장점이 없다. 역사는 진보라는 하나의 엔진으로 난다. 대칭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갖춤일 뿐 결정사항이 아니다.


   사진사2 105.jpg


    에너지는 결정되지 않은 잠재적인 상태, 대칭은 결정할 수 있는 준비된 상태, 비대칭은 에너지가 투입되어 결정된 사항을 집행하는 상태입니다. 에너지는 겉으로 무질서 해 보이지만 감추어진 힘이 있고, 대칭은 아름다움으로 그대를 유혹하나 거기서 멈추며, 비대칭은 그대를 받아들이지만 홀딱 벗겨먹고 냉혹한 청구서를 그대에게 내보입니다. 가서 아름다웠노라고 말할 수 있는지는 그 과정에서 각자의 챙긴 바에 달려 있습니다.  


[레벨:5]msc

2014.05.09 (08:57:43)

이제서야 조금 비대칭 이해가 들어옵니다,집행,결정,,,,,실행,,,의사결정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48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2988
2888 구조적으로 생각하기 image 8 김동렬 2011-12-14 11153
2887 불쌍한 조선일보 왕자병 노무현 김동렬 2006-03-02 11157
2886 로봇의 진화 image 6 김동렬 2012-01-18 11158
2885 구조론은 즐겁다 image 3 김동렬 2012-03-14 11160
2884 돈오와 점수의 대립 image 3 김동렬 2012-11-23 11166
2883 핵사태 - 전화위복의 가능성은 없는가? 김동렬 2006-10-18 11167
2882 욕망은 없다 길들여졌을 뿐 image 2 김동렬 2012-11-16 11167
2881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6-08-15 11168
2880 예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7-27 11170
2879 강금실의 매력 김동렬 2006-04-06 11171
2878 정치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6-11-19 11172
2877 마이너스로 컨트롤 하라. image 김동렬 2011-12-26 11176
2876 귀염둥이 임종인류 김동렬 2006-12-09 11177
2875 노자와 디오게네스 image 김동렬 2018-04-22 11179
2874 구조론은 답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1-12-27 11181
2873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08-02-27 11185
2872 쉬운문제 - 보기에서 남의 정답은? image 36 김동렬 2013-01-08 11185
2871 인간은 욕구가 없다 18 김동렬 2013-09-24 11187
2870 구타유발자들을 보고 김동렬 2007-06-05 11192
2869 사건은 절대평가다 image 2 김동렬 2018-03-27 11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