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read 14671 vote 0 2002.10.09 (23:03:28)

87년 대선에서 DJ가 낙선하자 평민당에서 꽤 많은 중진들이 우수수 탈당을 하고 평민당은 거의 박살나는 분위기였죠. 그 와중에서도 김영배의원은 흔들리지 않고 의리를 지켰습니다. 그것을 두고 맹목적 DJ 지지 행위 또는 고도의 정치적 계산이라고 폄하할 사람들도 있겠지만 적어도 그 당시 분위기로는 평민당은 노태우의 민정당은 물론 YS의 통일민주당에 비교해도 희망이 없었죠. 그러나 몇달후 총선에서 평민당은 제1야당으로 부상을 하여 정국의 주도권을 쥐게 되고 그 뒤 길고 긴 정치 여정을 통해 DJ는 집권까지 하게 됬죠. 물론 그동안 김영배의원은 한번도 딴데 눈길 한 번 주지 않고 의리를 지켰습니다.

이 의리가 DJ와의 의리라고 할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정통 민주세력에 대한 의리였습니다. 그런데 그 의리의 김영배가 배신을 하려 합니다. 그동안의 의리가 DJ와의 의리에 불과 했었는지, 아니면 집권을 하더니 절개를 잃어 버린 건지. 그것이 DJ와의 의리라고 쳐도 김영배 그러면 안되죠. 하여간 좀 씁쓸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680 에너지는 딱 걸린다 1 김동렬 2019-10-22 2974
5679 신의 입장 김동렬 2021-08-09 2976
5678 아킬레스와 거북이 1 김동렬 2019-12-25 2978
5677 엔트로피와 구조론 1 김동렬 2019-06-14 2979
5676 레깅스와 관료주의 1 김동렬 2020-07-05 2983
5675 뱅크시의 지갑 image 김동렬 2020-10-29 2984
5674 구조가 성질이다. 김동렬 2023-05-20 2987
5673 서민충의 서민행동 image 김동렬 2021-02-07 2990
5672 금태섭 심상정의 기생寄生정치 김동렬 2021-02-13 2991
5671 무신의 난 윤석열 김동렬 2021-11-27 2994
5670 사회진보론 김동렬 2021-10-17 2996
5669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 1 김동렬 2020-05-03 2997
5668 대칭과 비대칭 3 김동렬 2020-07-10 2997
5667 구조론은 쉽다 5 김동렬 2020-07-27 2998
5666 이론적 확신의 힘 김동렬 2024-01-13 2998
5665 사회게임론 1 김동렬 2020-08-07 3005
5664 동상이 많아지면 우상이 된다 1 김동렬 2020-06-10 3007
5663 차원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0-12-13 3007
5662 K철학의 출범 1 김동렬 2022-03-21 3007
5661 변화가 좋다. 1 김동렬 2019-01-15 3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