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노자 도덕경 2장에 이런 말이 있다.
(내가) 아름다운 것을 (남의) 아름다운 것으로 알면 그것은 잘못이다.
왜? 사람마다 아름다움의 판단기준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다양성을 인정하자는 소리다. 그렇다면 공통성을 무시하자는 말인가?
그게 아니라 인간은 '인간이기때문에' 가지는 인간만의 아름다움은 있는 것이다!
인간과 동물의 아름다움의 기준은 다르다. 그러나 생물로서의 아름다움의 기준은 같다.
그러나 아름다움은 어디까지나 그 근원이 생물의 이치에 기인한 것이지
사물의 이치와는 또 다른 것이다.
나 이외의 다른 사람들과의 기준이 같음만을 두고 객관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우리의 주관이 나의 객관이라고 그 본질 자체가 객관적인 것은 아니다.
순수 객관은 생명체와는 별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객관적인 사물은 나와 무관하게 스스로 존재할 수 있지만
아름다움의 가치는 그런게 아니다. 나(주관)를 중심으로 나올 수밖엔 없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은 주관적이다. 본성상 그렇다는 얘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75
1281 이론적 확신의 힘 김동렬 2024-01-13 3104
1280 먹히지 않는 거짓말 윤석열 2 김동렬 2022-09-27 3104
1279 숙명여고 쌍둥이의 경우 1 김동렬 2020-07-19 3104
1278 방향성 찾기 1 김동렬 2019-10-16 3103
1277 행복이냐 치열이냐 김동렬 2020-09-09 3101
1276 구조론의 정의 1 김동렬 2019-11-04 3099
1275 체와 용의 관계 김동렬 2021-09-13 3097
1274 질러야 한다. 1 김동렬 2020-08-05 3097
1273 연역은 복제한다 1 김동렬 2019-08-01 3097
1272 자유의지의 의미 김동렬 2021-10-25 3095
1271 구조론의 유래 2 김동렬 2019-12-13 3095
1270 동원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7-26 3094
1269 바보야! 답은 재용이다. 김동렬 2020-09-18 3092
1268 인공지능 회의론 1 김동렬 2020-01-27 3091
1267 이재명 윤석열 김동렬 2022-01-02 3089
1266 투로와 간합 김동렬 2022-01-24 3088
1265 아킬레스와 거북이 1 김동렬 2019-12-25 3088
1264 진화론과 창조설의 사기 image 2 김동렬 2019-11-18 3088
1263 하나는 곧 전체다 1 김동렬 2019-08-29 3088
1262 전략균형론 1 김동렬 2020-12-06 3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