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노자 도덕경 2장에 이런 말이 있다.
(내가) 아름다운 것을 (남의) 아름다운 것으로 알면 그것은 잘못이다.
왜? 사람마다 아름다움의 판단기준이 다 다르기 때문이다.
다양성을 인정하자는 소리다. 그렇다면 공통성을 무시하자는 말인가?
그게 아니라 인간은 '인간이기때문에' 가지는 인간만의 아름다움은 있는 것이다!
인간과 동물의 아름다움의 기준은 다르다. 그러나 생물로서의 아름다움의 기준은 같다.
그러나 아름다움은 어디까지나 그 근원이 생물의 이치에 기인한 것이지
사물의 이치와는 또 다른 것이다.
나 이외의 다른 사람들과의 기준이 같음만을 두고 객관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우리의 주관이 나의 객관이라고 그 본질 자체가 객관적인 것은 아니다.
순수 객관은 생명체와는 별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객관적인 사물은 나와 무관하게 스스로 존재할 수 있지만
아름다움의 가치는 그런게 아니다. 나(주관)를 중심으로 나올 수밖엔 없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은 주관적이다. 본성상 그렇다는 얘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3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7
2380 로봇의 진화 image 6 김동렬 2012-01-18 11104
2379 로봇을 만드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17 14754
2378 왜 인간은 로봇을 만들지 못할까? image 3 김동렬 2012-01-15 15292
2377 깨달음의 의미 image 11 김동렬 2012-01-14 11219
2376 싸움에서 이기는 방법 image 9 김동렬 2012-01-13 16649
2375 구조는 자이로스코프다. image 11 김동렬 2012-01-11 19496
2374 성공하는 작품의 공식 image 5 김동렬 2012-01-11 12519
2373 시간의 전개에서 공간의 충돌로 image 6 김동렬 2012-01-09 12181
2372 왜 사실주의인가? image 김동렬 2012-01-08 10738
2371 창작 하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06 11841
2370 추상적인 사고 image 3 김동렬 2012-01-04 13641
2369 이야기 꾸미는 방법 image 10 김동렬 2012-01-03 11939
2368 시소에서 내려와 파워볼을 돌려라. image 1 김동렬 2012-01-03 14864
2367 구조적 사고란 어떤 것인가? image 13 김동렬 2012-01-02 21403
2366 스물네가지 문답 image 44 김동렬 2012-01-02 9060
2365 고등학생에게 들려주는 십계명 image 17 김동렬 2012-01-01 14160
2364 탑 포지션을 잡는 방법 image 4 김동렬 2011-12-29 11783
2363 구조론은 답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1-12-27 11127
2362 완전성으로 소통하라 image 6 김동렬 2011-12-26 10269
2361 마이너스로 컨트롤 하라. image 김동렬 2011-12-26 1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