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318 vote 1 2014.04.08 (00:13:58)

    소승과 대승


    소승은 실패한다. 실패하는 이유는 소승 안에 대승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소승이라고 믿는 것이 실제로는 대승이기 때문이다. 진실로 말하면 소승은 존재하지 않는다. 허상을 추구하는 셈이다.


    소승은 개인에게 문제가 있고, 먼저 개인의 문제부터 해결되어야 한다고 여긴다. 그런데 개인에게는 문제가 없다. 실상 개인의 문제는 집단의 문제가 투영된 것이다. 개인 안에 집단이 숨어있다.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라고 하면 초능력자가 되려고 한다. 명상을 한다며 앉아있는 사람들은 턱도 없이 초능력자가 되고 싶은 것이다. 왜 그들은 생뚱맞게도 초능력자가 되려고 하는 것일까?


    내 문제만 해결하면 된다고 믿지만 그 내문제 안에는 우주의 문제가 들어 있다. 우주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당연히 초능력자가 되어야 한다. 개인으로서 개인을 넘어서는 것이 소승의 태도다.


    그게 초능력이다. 곧 텔레파시를 보내는가 하면 외계인과 채널링을 하며 방언을 하고 귀신들린 행동을 한다. 그들은 뭔가 남보다 우월하다는 증거를 만들어내고자 한다. 왜 그런 생각을 하지?


    대승은 팀플레이다. 한 사람이 깨달으면 모두가 깨달은 것이다. 깨달음이 존재하느냐가 중요할 뿐, 그것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누가 골을 넣든 골만 넣으면 팀이 이기는 거다.


    이기는 팀에 들면 된다. 진리의 팀에 들면 된다. 진리가 있느냐가 중요하다. 진리와 내가 연결되어 있느냐가 중요하다. 세상 모두가 연결되어 있느냐가 중요하다. 연결되어 있다면 해결되었다.


    부모라고 치자. 자식이 김연아라면? 자식이 금메달을 땄다면? 아버지가 어떻게 생각할까? ‘메달은 연아가 땄지 내가 땄냐?’ 이럴 것인가? 월드컵 우승을 해도 ‘한국팀이 이겼지 내가 이겼나?’


    이러지는 않는다. 실제로 그렇다.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의 승리는 곧 당신의 승리다. 나와 타의 경계는 원래 없으며 그것은 의사결정의 지점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진정한 답은 의사결정에 있다.


    나와 타자가 구분되는 이유는 나와 타자의 경계지점에서 내가 결정해야 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들이 우승을 했는데 아버지는 결정할 일이 없다. 입장은 이미 결정되어 있는 것이다.


    석가는 소승이지만 소승이 아니다. 소승은 의사결정의 범위를 좁힌다. ‘요것만 하면 돼’ 하고 영역을 좁히는 자가 집단에서 짱을 먹는다. 유교를 하라고 하면 증자가 나타나서 ‘다 필요없고 효도만 하면 돼’ 하고 범위를 좁힌다.


    소승은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다. 즉 집단 안에서 의사결정을 하려고 하기 때문에 소승이 생겨나는 것이다. 석가가 그어놓은 바운더리 안에서 당신의 의사결정영역을 정하려 하므로 소승이 된다.


    그러므로 소승은 원래 없는 것이며, 집단 안에서 자기의 역할을 정하려는 의지가 만들어낸 허상이다. 모든 종교든 사상이든 과학이든 전체범위 안에서 ‘우리는 요것만 하면 돼’ 하고 범위를 좁히는게 있다.


    ‘지식인은 비판만 하면 돼.’ 하거나 ‘신자는 기도만 하면 돼’ 하는 식이다. 왜인가? 그런 식의 대칭행동을 통해 집단에 긴장을 조성하고 그리하여 팽배해진 스트레스에 의해 집단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국가에, 부족에, 가족에, 팀에 소속되어 있지만 그러한 소속을 알아채기는 쉽지 않다. 사건이 터져서 코피가 나고 울고불고 해야 엄마가 쫓아오고 아 나도 가족의 일원이구나 하고 깨닫는다.


    자신의 소속을 확인하기 위한 행동이 소승이다. 그러한 소속찾기 행동은 대승적인 팀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모든 소승적 행동은 무의식적으로 대승적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것이다.


    내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고 여기지만 실제로는 내가 소속된 팀이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나의 문제가 아니고 팀의 문제다. 세상의 문제이고 사회의 문제다. 대승이 발견되어야 한다.


    인간이 원하는 것은 하나 뿐이다. 첫째 절대적 진리가 있을 것, 둘째 진리와 내가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결론을 내리자. 대승이 말하는 절대적 진리, 그리고 그 진리와 내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무의식의 요구 때문에, 의사결정을 통해서 그것을 육체적으로 체험하려는 소승적 퇴행이 있다.


    소승적 수행을 하는 사람은 자기 몸을 건드려 수행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우주의 기운을 느끼려고 한다. 대승을 느끼려고 한다. 그 기운은 자기 몸을 어떻게 한다고 느껴지는게 아니고 대승의 팀플레이를 통해 느낄 수 있다.


    텔레파시를 느끼고 싶다고? 자녀를 낳으면 저절로 그렇게 된다. 채널링을 하고 싶다고? 팀플레이를 하면 저절로 그렇게 된다. 소승은 자기 안에서 우주를 찾으려 하지만 외계인은 외계에 있고 우주는 우주에 있다. 


    외계인이 외계에 있으면 되었지 무엇이 문제인가? 구태여 지구 안에서 외계인을 찾으려 하는 심리가 우주에서 우주를 찾지 않고 자기 안에서 우주를 찾으려는 소승적 태도와 유사하다. 

   


[레벨:5]msc

2014.04.08 (10:42:00)

개인보다는 집단,팀,,,,,요즈음 회사는 개인을 평가해요,,,,소속되있는 팀을 평가 안하니,,,개인들이 개인을 밣고 오르려고 하나봅니다,,,,,감사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차우

2014.04.09 (01:06:07)

구조론과 연결하려하거나 김동렬과 연결하려하지말고 

오로지 진리와 연결하라. 그러면 알아서 그들과 친구가 된다.


대부분의 실패와 상처는 메시아와 만나려 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메시아는 진리가 아니다. 

메시아 조차 상대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늘 흔들린다. 그리고 너도 흔들린다. 상처 받는다.

모든 종교의 실패가 같은 이유때문에 발생한다. 메시아는 힌트일 뿐이다.


절대적인 진리만을 향해 달려가다 보면 

어느새 옆에서 같이 뛰는 친구를 발견할 것이며,

그러함은 흔들리지 않는 나침반을 보고 항해하는 것이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

프로필 이미지 [레벨:11]탈춤

2014.04.09 (09:29:18)

옳은 말씀 입니다.

바로 그렇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4.04.09 (11:01:37)

제가 기대하는 것은

진리의 현장에서의 기쁨, 쾌감, 전율, 오만, 호연지기, 태연자약 이런 것입니다.


알고 모르고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진리의 급소에 반응하는게 중요한 것입니다.


아이폰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몰라도 

일단 아이폰을 손에 넣으면 의기양양 이런거 있잖아요.


모나리자를 보고 아 저런 그림이 지구에 있다는 자체로 다이아몬드 주운 거잖아요.

모나리자를 처음 보았을 때 갑자기 부자가 된듯한 기분이 들었잖아요.


서부에 금이 난다는 소문을 듣고 

100만명이 금을 주우러 몰려왔는데 비록 나는 금을 찾지 못했을망정 


누가 금을 발견했다면 자신의 서부행은 충분히 의미있는 행동이 됩니다.

왜냐하면 확률에 기여했으니까.


금은 땅 밑에 있고 

그렇다면 지구가 통째로 금덩어리에 금고인데


그 금이 누구 호주머니에 있든 무슨 상관이란 말입니까?

금은 돌고 돌아 누구 호주머니든 지나갈 것인데.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차우

2014.04.09 (17:39:19)

이제야 완전 정리합니다. 아픈 곳이 싹 사라지는 효험이 있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1]탈춤

2014.04.09 (18:02:05)

노숙은 반드시 통과해야 할 삶의 절차

여행은 세계와 나를 일대일로 만나게 하는 통로

짜릿함과 전율,

자연의 완전성을 발견할 수 있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31 미련한 곰도 깨달을 수 있다. image 3 김동렬 2015-01-20 7436
3030 소크라테스의 해명 image 3 김동렬 2015-01-19 6748
3029 천지불인 image 3 김동렬 2015-01-18 7371
3028 구조론적 사유 훈련하기 image 50 김동렬 2015-01-16 8166
3027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 image 8 김동렬 2015-01-14 8170
3026 인식론의 문제 image 9 김동렬 2015-01-14 7117
3025 노력지상주의를 극복하라 image 3 김동렬 2015-01-14 7132
3024 유체를 통제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1-13 6623
3023 에너지가 사건을 일으킨다 image 5 김동렬 2015-01-12 6488
3022 구조론으로 본 의학 image 20 김동렬 2015-01-12 7077
3021 돈을 찍어야 경제가 산다 image 6 김동렬 2015-01-11 7234
3020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이 없었다면? image 3 김동렬 2015-01-10 15276
3019 엑소더스의 의미 image 34 김동렬 2015-01-07 9025
3018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5-01-07 7055
3017 사건을 일으키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5-01-06 6704
3016 동의 동을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1-04 6726
3015 방향성으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5-01-02 6755
3014 상호작용으로 보라 image 4 김동렬 2014-12-31 10371
3013 이것이 전략이다. image 16 김동렬 2014-12-30 9462
3012 익숙한 것과 결별하라 image 2 김동렬 2014-12-29 1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