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에서도 이 회전법칙이 성립할 것인가.
공기가 있으니 지렛대의 받침점이 있고, 그러니까 회전이 일어남.
![포인트:10474point (7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구조론 게시판에 글쓰기가 안되어 여기에 올립니다.
![포인트:10474point (7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투수가 회전볼을 던진다 해도 그게 먹히는건 지구 표면에서 공기라는 받침점이 있기에 가능.
달나라에서 커브볼을 던진다면 그 공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렛대는(달에는 아무런 대기가 없다는 가정 하에) 달 표면의 중력 뿐임.
달나라에서 커브볼을 던진다면 그 공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렛대는(달에는 아무런 대기가 없다는 가정 하에) 달 표면의 중력 뿐임.
![포인트:10474point (7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저 그림은 하늘에서 내려다 볼 때 좌>우 방향으로 날아가는 공을 그린 것이며, 공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 물리교과서엔 공이 우측(그림에선 아래쪽)으로 꺾인다고 설명하고 있음.

![포인트:758061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회전의 성립이 아니라 커브가 꺾이느냐는 질문 아니오?
회전은 회전을 걸어주면 되는 거고 커브는 공기가 있어야 됩니다.
![포인트:10474point (77%), 레벨:10/30 [레벨:1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10.gif)
맞습니다. 제가 말하려 했던건 회전이 아니라 꺾임 즉 방향전환 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