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렬님 이하 여러분들의 재미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아름다움은 객관적 실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의 기준이란 그 당대 사회의 주류 이데오르기 , 학습 ,경험
에 의해 좌우 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아름다움이 주관인 것이
아니라 미의식은 시공간,민족과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고차원적인 인간의 욕구 이겠지요. 미적 실체와 상관 없이
말이지요.
미는 객관으로 존재하며
미적 근거는 대상에 미적 판단은 주관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소 의아스럽긴 합니다만
미적 실체의 근거로 박사님은 최적화 개념을 사용하셨습니다.
최적화와 황금율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황금율을 엄격히 지키는 사물이 가장 아름다워 보이는지
아니면 약간의 오차가 깃들어야 더 아름다운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왜 동양 문명권에서는 인간의 신체, 특히 여성을
미적 대상으로 인식하지 않았을까요?
동렬님의 친절한 답변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잘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아름다움은 객관적 실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의 기준이란 그 당대 사회의 주류 이데오르기 , 학습 ,경험
에 의해 좌우 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아름다움이 주관인 것이
아니라 미의식은 시공간,민족과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고차원적인 인간의 욕구 이겠지요. 미적 실체와 상관 없이
말이지요.
미는 객관으로 존재하며
미적 근거는 대상에 미적 판단은 주관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소 의아스럽긴 합니다만
미적 실체의 근거로 박사님은 최적화 개념을 사용하셨습니다.
최적화와 황금율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황금율을 엄격히 지키는 사물이 가장 아름다워 보이는지
아니면 약간의 오차가 깃들어야 더 아름다운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왜 동양 문명권에서는 인간의 신체, 특히 여성을
미적 대상으로 인식하지 않았을까요?
동렬님의 친절한 답변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