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저도 미는 객관적인 실체라고 믿고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사람들이 왜 자신이 느낀 아름다음을
설명하기 위해 그토록 발버둥을 치겠습니까
내가 느낀 아름다움을 옆에 있는 내 마누라도 느낄 수있다는 믿음
객관적 실체가 존재한다고 믿으니까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아름다움이 객관적이라는걸 우리가 본능적으로 느끼고 있으니까
남들에게 아름다움을 이해시킬라고 그렇게 노력하는거 아니겠습니까

그럼 여기서 동렬님에게 질문 하나 드립니다
예전에 신문에서 봤는데
인간이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원시시대의 습관(본능?)때문이라고 하던데
그러니까 초원을 보고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인간이 초원의 탁트인 경치에서
맹수로 부터 급작스럽게 습격을 당하지 않는다는 안심을 하게 되고
거기서 펴안함을 느끼는 거라고요
숲속에선 불안함을 느끼기 때문에 아름답지 못하고 추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답니다
그 기사에선 이외에도 인간이 느끼는 대부분의 아름다움은 원시시대의 본능과 연관지어서
설명할수 있다고 했습니다
동렬님의 미학론이 이 기사도 끌어안을 수 있는건지요
아니면 이 학자가 뭔가에 착각을 한것인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566
1806 진보의 전략과 보수의 전술 김동렬 2020-12-02 3308
1805 박근혜와 문재인 5 김동렬 2020-12-03 3962
1804 변하지 않는 것은 관계다 2 김동렬 2020-12-03 3289
1803 하남 위례성의 비극 image 1 김동렬 2020-12-04 4098
1802 전략의 기본 1 김동렬 2020-12-04 3637
1801 전략론 1 김동렬 2020-12-05 2934
1800 향원을 토벌하라 김동렬 2020-12-06 2953
1799 전략균형론 1 김동렬 2020-12-06 3091
1798 국힘당이 사과할 이유는 없다 김동렬 2020-12-07 3319
1797 의리 없는 홍정욱 image 5 김동렬 2020-12-08 3542
1796 사색문제의 접근 image 4 김동렬 2020-12-08 3157
1795 대화와 타협은 원래 안 된다 김동렬 2020-12-08 3490
1794 사색문제의 이해 image 김동렬 2020-12-09 3631
1793 사색정리 결산 김동렬 2020-12-09 2543
1792 사색문제와 차원 김동렬 2020-12-09 2593
1791 김종인의 사과놀이 실패 김동렬 2020-12-10 2948
1790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500
1789 공수처가 부메랑이 된다 김동렬 2020-12-11 3689
1788 누가 신을 결박하는가? 1 김동렬 2020-12-11 3491
1787 김기덕, 어떤 천재의 최후 김동렬 2020-12-12 4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