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 |/_담 |/_
read 2814 vote 0 2014.03.28 (01:44:44)

노동도 자본도 다 도구다. 휴지 정도의 도구다. 두루마리 휴지냐, 물티슈냐 정도의 차이일 뿐이다.


노동가치설은 당시 지식인의 좁은 시야의 한계에서 주장했을 때만 인정해줄 수 있는 것이다. 막스가 오늘을 산다면 이런 철지난 주장에 휩쓸려 다니는 것은 중딩전에 끝낼 것이다.


자본이 뭔가를 착취한다면 노동도 똑 같다. 산업시대를 열면서 투닥거린 것을 계속 주절거리는 것은 어제까지만 해야한다.


인간은 대풍요에 반응한 존재다. 채집하고 수렵하고 농경하고 산업했다. 채집은 자연을 그대로 착취한 것이다. 자연이 쏟아내는 것을 거저 먹고 누리면 되었다. 수렵은 채집을 착취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하자면 "자동화"다.


평생 산과 들에서 채집하여 쌓아둔 것을 빼앗아 버린다. 사냥이다. 수렵이다. 큰 맘모스, 큰 고래를 잡는 것이다. 이게 되는 집단는 채집에만 의존하는 집단을 쓸어 버린다. 같이 진보하거나 사라지거나 해야 했다.


농경은 수렵을 자동화 해버린 것이다. 양질의 고기와 곡물을 가장 알맞게 사냥할 수 있는 상태로 착취하는 것이다.


산업은 농경을 자동화 해버린 것이다. 정보는? 당연히 산업을 자동화 해버리는 것이다. 인류 일의 큰단위 진보는 여기가 끝이다. 산업을 자동화해 버릴 수 있는 수준을 갖춘 집단이 나서면 지구로 농장을 삼고, 태양 에너지를 마중물삼아 항성계를 넘어, 은하를 넘나들고, 마침내 우주 전체를 주유하며 살게 될 것이다.


"정보> 우주> 생명> 인류> 개인" 이다. 일하는 집단 다섯이다. 정보에서 개인에 이르는 결이 제대로 바루어 지면 일은 끝난다. 노는 일만 남는다.


일을 잘한다는 것은 더 큰것을 더 쉽게 착취하는 것이다. 자동화하는 것이다. 산업시대는 우주착취시대의 시작이다. 지구 중에서도 극히 일부, 지구껍데기의 일부를 착취하는 것에 성공했을 뿐이다. 채집시대에 비교하면 눈부시겠지만, 별거 아닌거다. 나가던 진도 나가야 한다.


지금의 과학기술만으로도 70억명 중 14억 정도만 일주에 하루쯤 쉬엄쉬엄 일해도 모두가 넉넉히 살수 있는 생산물 만들어 내는 것이 불능 아니다. 불위일 뿐이다.


노동도 자본도 도구다. 자동화에 쓰는 도구다. 자동화가 되면 버려도 되는 휴지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4.03.28 (18:52:01)

"산업을 자동화해 버릴 수 있는 수준을 갖춘 집단이 나서면 지구로 농장을 삼고,

태양 에너지를 마중물삼아 항성계를 넘어, 은하를 넘나들고, 

마침내 우주 전체를 주유하며 살게 될 것이다."

실감이 나는 군요. 진화의 기간이 짧은 것이 일/이백만년인가 본데 그거 몇십분의 일이면 그러고도 남겠지요. 달과 화성은 문밖 채전밭으로하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73
735 [경향] 비리 사학 비호하는 사법부 image 수원나그네 2018-03-31 1409
734 문대통령이 외교와 개헌은 잘 해가고 있지만 수원나그네 2018-04-02 1697
733 행정구역개편 1 - 유역을 기초로 한 행정구역의 필요성 image 수원나그네 2018-04-03 2506
732 이승만 ==> 박정희: 신분제사회와 향촌공동체의 대립 ==> 신군부 (전두환) 2 눈마 2018-04-07 2005
731 인공지능이 펼칠 세계 image 수원나그네 2018-04-10 1935
730 하버드 특강 image 김동렬 2018-04-16 2366
729 김기식 낙마 유감 수원나그네 2018-04-18 2254
728 인류의 언어감각 김동렬 2018-04-18 1999
727 제국주의 -> 1-2차 세계대전 -> 냉전 -> 신자유주의 눈마 2018-04-18 1484
726 사람은 왜 눈썹이 있는가? image 2 김동렬 2018-04-19 15788
725 구조론 벙개 4월 21일 토요일 image 6 수원나그네 2018-04-19 1860
724 생명탈핵실크로드 24 - 이원영교수 인터뷰 image 6 수원나그네 2018-04-22 1657
723 삼봉을 기리며 image 5 수원나그네 2018-04-22 1950
722 [제민] 소유의 비극을 넘어 1 ahmoo 2018-04-24 2303
721 생명탈핵실크로드 25 - 태양광 시대, 우리 삶은 어떻게 바뀔까 image 수원나그네 2018-04-25 1442
720 일본의 지인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 5 수원나그네 2018-04-29 1730
719 유라시아 라데팡스 구상 image 수원나그네 2018-04-29 2039
718 탄허스님의 예언 image 3 김동렬 2018-04-29 4507
717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수원나그네 2018-04-30 1366
716 만날 약자 코스프레 회비기동하는 교육현장에 구조론적 관점으로 일갈 한 번 합니다. 이상우 2018-04-30 1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