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read 3413 vote 0 2014.03.25 (01:25:16)

근래 사이트에 불필요한 잡음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상호작용은 많을수록 좋지만 말도 안되는 시비나 트집은 상호작용에 전혀 기여하지 못합니다. 

아무리 의도를 숨겨도 결코 좁혀지지 않는 관점의 차이는 단번에 확인됩니다. 


구조론은 각자의 추구가 하나의 지점을 향하고 있는 자율 공동체입니다. 

우리는 그 지점이 당장 인류가 내리는 결론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해도 궁극적으로 인류의 지향점과 다르지 않다고 믿습니다. 

구조론 공동체는 강령이나 규율에 의하지 않으며 회원들 각자의 위치에서 느끼는 이러한 신념에 의해 연결됩니다. 

이합집산이 자유로운 이 신념의 공동체는 김동렬을 그 꼭지점으로 하지만 

수면 위로 드러난 빙산의 머리가 방향을 결정하지는 않듯이 이미 진행하고 있는 에너지의 관성을 따릅니다. 

김동렬은 그가 가진 탁월한 통찰과 그것을 언어로 풀어내는 비범한 능력 덕분에 

우리의 대변인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할 뿐입니다. 


여기는 연구소이며 많은 회원들이 자신의 영역에서 진지하게 구조론적 실험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구조론을 이용해 어떤 이는 실용적인 이득으로 연결시키며, 또 어떤 이는 자신의 학문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며, 

또 많은 이는 쉽게 내던져버릴 수도 있는 이 세계를 지탱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러니 글을 쓰는 회원이 적다고 이곳을 함부로 대하면 안됩니다. 


이에 앞으로 공연한 트집 감정적인 비방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발언 등에 대해 

한두 번의 권유 이후 바로 글쓰기를 제한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이러한 조치 자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시는 분은 제게 메일samgate@daum.net로 항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사이트 관리자 ahmoo 드림.



[레벨:11]큰바위

2014.03.25 (08:54:04)

저희 집에 놀러오는 아이들에게는 아무리 자기들의 부모가 있어도 

저희 집 룰을 존중하고 따르도록 요청합니다. 

아이들의 부모들 (제가 아는 친구들 혹은 윗사람들)도 저의 이런 방침을 존중해 줍니다. 

대신 저희 집의 자녀 양육과 교육 철학을 다른 사람들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한편 저희가 다른 집에 놀러갈 때는 그 집의 룰을 존중하고 따릅니다. 

그 집을 룰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 룰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알아 차립니다. 

그리고 논의가 필요할 때는 저와 관계 정도에 따라서 부모들과 시간을 갖습니다. 


친한 정도에 따라 쉽게 제안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기회를 보기도 합니다. 

근본적인 가치관에 대한 것일 수록 관계의 정도를 따집니다. 


거기에는 보이지 않는 바운더리, 경계선, 가치관이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명확하게 볼 수만 있다면 보이지 않는 법의 정신이 강화되고 보이는 규율이 완화됩니다. 

그러나 이것을 보지 못하면 법의 정신이 해이해지고, 규율이 강화되지요. 


이 세상 어디에든지 규율이 없는 곳은 없습니다. 

그 경계선을 존중하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을 살리는 길이기도 합니다. 


삼 세번이 아니라 이제 단칼에 베어버리는 조처로군요. 


어쨌든 손잡이는 구조론이 쥐고 있으니... 못할 것도 없겠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552 월성1호기의 진실 3 수원나그네 2015-02-24 2285
1551 다들 힘내십시요. 락에이지 2012-12-20 2283
1550 그림의 리얼리즘 image 1 이금재. 2020-04-10 2282
1549 롱테일법칙 챠우 2015-12-29 2282
1548 종편내전 image 1 김동렬 2014-07-30 2282
1547 경제는 비평형 개방계 1 똘추 2015-08-05 2281
1546 서태지 vs 박근혜 3 홍가레 2014-10-19 2281
1545 앞으로 대화법 연구 방향은 1 이상우 2013-02-25 2281
1544 정세균이 기어코 수원나그네 2016-08-14 2280
1543 영화 와이키키 브라더스 image 1 락에이지 2016-05-02 2279
1542 image 3 곱슬이 2013-04-08 2279
1541 잘 지나갈 수 있을까요..? (힘들어서 다시 한번 글을 올립니다.) 9 바이칼 2018-05-22 2278
1540 베트남에 사죄의 선물을 보내자 5 쿨히스 2018-03-25 2278
1539 눈마님에게 12 수원나그네 2016-07-05 2278
1538 역사의 현장을 목격하고 행동하는 자가 역사를 되돌릴 수 있다. 1 이상우 2013-03-26 2278
1537 '랄랄라 콘서트'에 오세요. image 5 냥모 2015-08-09 2277
1536 체감물가 100% 올라 1 스마일 2012-04-25 2277
1535 미-중 정상회담의 파장 1 일반이론 2011-01-19 2277
1534 17일(금) 구조론 광주모임 안내 탈춤 2014-01-17 2274
1533 받고,돌고,주고. 아제 2013-07-13 2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