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30]ahmoo
read 3412 vote 0 2014.03.25 (01:25:16)

근래 사이트에 불필요한 잡음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상호작용은 많을수록 좋지만 말도 안되는 시비나 트집은 상호작용에 전혀 기여하지 못합니다. 

아무리 의도를 숨겨도 결코 좁혀지지 않는 관점의 차이는 단번에 확인됩니다. 


구조론은 각자의 추구가 하나의 지점을 향하고 있는 자율 공동체입니다. 

우리는 그 지점이 당장 인류가 내리는 결론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해도 궁극적으로 인류의 지향점과 다르지 않다고 믿습니다. 

구조론 공동체는 강령이나 규율에 의하지 않으며 회원들 각자의 위치에서 느끼는 이러한 신념에 의해 연결됩니다. 

이합집산이 자유로운 이 신념의 공동체는 김동렬을 그 꼭지점으로 하지만 

수면 위로 드러난 빙산의 머리가 방향을 결정하지는 않듯이 이미 진행하고 있는 에너지의 관성을 따릅니다. 

김동렬은 그가 가진 탁월한 통찰과 그것을 언어로 풀어내는 비범한 능력 덕분에 

우리의 대변인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할 뿐입니다. 


여기는 연구소이며 많은 회원들이 자신의 영역에서 진지하게 구조론적 실험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구조론을 이용해 어떤 이는 실용적인 이득으로 연결시키며, 또 어떤 이는 자신의 학문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며, 

또 많은 이는 쉽게 내던져버릴 수도 있는 이 세계를 지탱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러니 글을 쓰는 회원이 적다고 이곳을 함부로 대하면 안됩니다. 


이에 앞으로 공연한 트집 감정적인 비방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발언 등에 대해 

한두 번의 권유 이후 바로 글쓰기를 제한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이러한 조치 자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시는 분은 제게 메일samgate@daum.net로 항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사이트 관리자 ahmoo 드림.



[레벨:11]큰바위

2014.03.25 (08:54:04)

저희 집에 놀러오는 아이들에게는 아무리 자기들의 부모가 있어도 

저희 집 룰을 존중하고 따르도록 요청합니다. 

아이들의 부모들 (제가 아는 친구들 혹은 윗사람들)도 저의 이런 방침을 존중해 줍니다. 

대신 저희 집의 자녀 양육과 교육 철학을 다른 사람들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한편 저희가 다른 집에 놀러갈 때는 그 집의 룰을 존중하고 따릅니다. 

그 집을 룰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그 룰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알아 차립니다. 

그리고 논의가 필요할 때는 저와 관계 정도에 따라서 부모들과 시간을 갖습니다. 


친한 정도에 따라 쉽게 제안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기회를 보기도 합니다. 

근본적인 가치관에 대한 것일 수록 관계의 정도를 따집니다. 


거기에는 보이지 않는 바운더리, 경계선, 가치관이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명확하게 볼 수만 있다면 보이지 않는 법의 정신이 강화되고 보이는 규율이 완화됩니다. 

그러나 이것을 보지 못하면 법의 정신이 해이해지고, 규율이 강화되지요. 


이 세상 어디에든지 규율이 없는 곳은 없습니다. 

그 경계선을 존중하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을 살리는 길이기도 합니다. 


삼 세번이 아니라 이제 단칼에 베어버리는 조처로군요. 


어쨌든 손잡이는 구조론이 쥐고 있으니... 못할 것도 없겠지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652 내가보는_문재인의미학 image 아란도 2017-05-21 2829
2651 인과는 하나다. 2 양을 쫓는 모험 2012-01-01 2829
2650 국정원사건 그리고 경찰청 발표 이후 골든크로스가 재역전 되었다는 군요... 택후 2013-06-15 2828
2649 이사진 보다가 그만 울컥... image 3 폴라리스 2012-03-12 2827
2648 진보와 분노의 에너지 1 토마스 2011-12-04 2827
2647 출석부에서 게시판으로 지여 2010-12-11 2827
2646 스마트폰의 서열 image 챠우 2017-09-13 2826
2645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분당) image ahmoo 2017-06-15 2826
2644 보라스 2편 2 냥모 2013-05-29 2826
2643 선험과 경험의 용어 정리를 알고 싶어요. image 8 암흑이 2018-02-12 2825
2642 영화 파리대왕, 초등학교 6학년과 사회 수업으로 함께 봐도 될까요? 3 이상우 2015-08-27 2825
2641 예감이 억수로 좋다 1 꼬치가리 2012-12-19 2825
2640 세월호 구조의 표류- 의사결정 난맥상인 대한민국 2 아란도 2014-04-20 2824
2639 한국은 이제 이겨 보여야 한다. 6 챠우 2015-02-01 2823
2638 이럴 때 야당은 어떻게 대응해야 좋을까요? 7 차우 2014-04-22 2823
2637 윗세대에 대한 편견 5 곱슬이 2010-11-23 2823
2636 걸어서 세계속으로 - 스웨덴 편 image 4 아란도 2014-12-22 2822
2635 오랜만에 기도한다. 29 오세 2010-06-02 2822
2634 희대의 물귀신 1 수원나그네 2016-02-27 2820
2633 분노한 국민은 투표를 한다 4 토마스 2012-11-18 2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