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이 글의 사실 여부는 알 수가 없지만

분명한것은 세상이 점점 창의사회로 변하고 있음.

올빼미들은 대개 감성이 풍부함. 감성은 예민성과도 관계가 있음.

밤이라는 시간이 낮과는 다르게 사람을 사회적 시스템에서 다소 해방되는 느낌을 가지게 해줌.

지켜보는 시선이 적어짐.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예민하게 느껴 표현할 수 있다고 봄.

대개 예술가들은 올빼미들이 아닐까 짐작함.

반면 종달새형들은 노가다형임. 아주 착한 학생들임. 사회가 시키는데로 잘 따라함. 그곳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사람들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165838

http://news.donga.com/3/all/20130326/53969526/1


두 기사를 읽어보면 귀납적 사고 능력이 뛰어나서 창의성이 높다고 하는데 기자가 창의성이 떨어지는 듯. 

1921972_754103671335985_713773187_n.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4.03.24 (04:57:22)

올빼미모형과 종달이모형을

자유롭게 상황에 따라 바꿔쓸 수 있으면 더 좋을 것 같군요^^

그 훈련방식은 무엇일까요?

아니 '에너지'의 흐름만 유지하면 되지 싶네요.

내게 좋은 일 생기면 설레면서 밤시간 금방 보내지요...

나쁜일 생겨도 그와 비슷한 것 같고요.

문제는 좋은 일과 안좋은 일과의 낙차가 그 크기가

창의의 공간이 될 것 같구만요...^

근데 무엇보다 자연스런 생체 밸런스, 건강 밸런스 유지면 

만사휴의 같기도 하고... 이 균형유지는 각자몫.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차우

2014.03.24 (09:06:47)

그렇게 되면야 좋겠지만은 ^^

제 경험상으로는 기본적으로는 의사결정이 안되어 어려웠습니다.

즉 사람은 어느 한가지 방식만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짙었거든요. 

또한 그 생활방식에 전체의 삶이 연동되어 의사결정되기 때문에 

왔다갔다는 의사결정의 난맥을 가지고 와서 쉽지 않을 것 같네요. 

마치 인간이 오른손 한손만을 주로 사용하는 것 처럼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452 소수(minor)의 법칙 2 상동 2016-01-04 2476
1451 구조칼럼의 문단구조 7 지리산인 2016-01-05 2531
1450 소녀상 패러디......! 1 아란도 2016-01-06 2614
1449 백미러 속의 우주 16 챠우 2016-01-06 3661
1448 구조론 목요 향연 image ahmoo 2016-01-07 1887
144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1-08 1895
1446 애정(멜로) 영화에서의 질,입자,힘,운동,량 image 3 상무공단의아침 2016-01-08 2767
1445 잡스와 워즈니악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6-01-09 2782
1444 나를 잊지 말아요 8 홍가레 2016-01-11 2900
1443 멜로영화에서의 입자의 변화 image 1 상무공단의아침 2016-01-11 2655
1442 생각에 정석 팟 케스트 방청 가능한지요? 3 아나키 2016-01-11 2442
1441 영화 - 헤이트풀8 image 3 미니멀라이프 2016-01-12 3180
1440 주말모임 공지 20 뛰뛰빵빵 2016-01-13 3137
1439 청주 구조론 모임(1회차) 공지 image 2 아나키 2016-01-13 2364
1438 인간이 추구해야할 것이 완전성인가요? 56 골목대장 2016-01-14 5817
1437 애플 주식 사라는 얘기죠? ㅎㅎ Ra.D 2016-01-17 3057
1436 게임 "alive" image 챠우 2016-01-18 2213
1435 공자 이야기 image 1 風骨 2016-01-20 3320
1434 구조론 목요 향연 image 2 ahmoo 2016-01-21 2137
1433 커져버린 사소한 거짓말 챠우 2016-01-21 2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