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50 vote 0 2014.03.18 (21:20:37)

http://blog.naver.com/joonghyuckk/


우리말과 범어를 비교했다고 하는데 

문법이 그렇다는건지, 단어가 그렇다는건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인도유럽어가 원래 다 한 뿌리에 속하므로 몇몇 단어는 영어보다 더 가깝게 여겨집니다. 

다만 외견상 우리말과 유사한 것이 가물에 콩나듯 너무 드물게 발견됩니다.


적어도 반은 맞아야 의미가 있겠는데 대략 봐서는 열에 하나 둘 정도로 보이네요.

문법은 잘 모르겠지만 얼핏봐도 상당히 유사하게 여겨집니다. 


이 분 해석이 맞다면 단어만 봐서는 범어가 영어보다는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간 나면 범어나 타밀어를 연구해 봐도 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불경에 등장하는 고도의 추상적인 단어는 

두 번 이상 의미가 꼬여 있으므로 직접 비교하면 안 됩니다.


예컨대 good은 좋다가 아니라 '가득'이며 

nice는 좋다가 아니라 '안 센'다는 뜻입니다. 


flower은 꽃이 아니고 '피어나'의 뜻이며 꽃은 꼭지라는 뜻입니다. 

음을 직접 비교해서 판단하는건 매우 위험합니다.


구조론의 방법은 패턴분석과 계통분석입니다. 



56789.JPG



    억지도 있지만 이 대목은 재미가 있네요.


    영어 pre-는 앞인데, 우리말 앞은 붙은 앞이고 영어 앞은 떨어진 앞입니다.

    저만치 앞으로 떨어져 앞서가 있는 것이 pre-

    반야를 pre-know로 풀었다면 상당히 신빙성이 있습니다.

    know는 꺼낸다는 뜻입니다. 

    반야는 앞으로 끌어내서 아는 지식이라고 옮긴다면 상당히 그럴듯 하네요.

    know는 can과도 같은데 밖으로 끌어내면 할 수 있다는 뜻이 되거든요.

    할 수 있는 것-할줄 아는 것이죠.


    이 해석이 맞다면 반야를 어떤 지식에 앞선 지식 

    곧 구조론으로는 상부구조에 대한 지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 생각의 어원은 think와 같은데 속을 관통한다는 뜻입니다.

    생각이 뇌를 찔러서(쏘다) 관통하기 때문입니다.

    sam을 same으로 본다면 저울의 눈금이 서로 물려 쌍을 이룬 것입니다. 

    samjna는 서로 얽혀있는 구조적인 인식, 곧 개념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이건 틀릴 수도 있는 저의 해석입니다. 


    재미가 있네요. 


[레벨:10]다원이

2014.03.18 (22:00:10)

오류가 많았었죠. 확증편향의 오류.
프로필 이미지 [레벨:9]텡그리

2014.03.19 (01:18:47)

예전에 북마크 해둔 것을 찾아들어가서 참조하시라고 동영상 링크를 걸어놓습니다. 

노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게 흥미롭기는 한데, 범어라는게 별나라 언어급이라...


남인도 드라비다족의 타밀어가 우리말과 같다.(동이문화원)

http://www.youtube.com/watch?v=KMW-3BqrCtA


훈민정음은 실담어와 정확히 구조가 같다.

http://www.youtube.com/watch?v=CAlxOff3NyU


훈민정음은 음소조합(音素組合)문자 이다.

http://www.youtube.com/watch?v=aM9Oybeww0M


산스크리트어 속에서 우리의 토속 사투리를 발견한 동기

http://www.youtube.com/watch?v=yXWm3213hwQ


고대 영어는 문법 체계가 전혀 없었다.

http://www.youtube.com/watch?v=_FvCwdP6vXU


윌리엄존스의 실담어에 대한 정확한 해석

http://www.youtube.com/watch?v=KuW685qHbx8

프로필 이미지 [레벨:6]id: id: 우야산인

2014.03.24 (11:15:31)

유라시아어의 기원과 한국어 사이트 http://blog.naver.com/joonghyuckk/ 를 여기서 보게 되니 반갑습니다.

글쓴이인 권중혁님에게도 며칠전에 구조론 사이트를 소개하고 김동렬님의 언어 관련글을 보기를 권했는데 우연이지만 서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있기를 바랍니다.


시간 내서 범어를 더 공부하셔서 언어에 대한 깊이를 완성하시기를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554
637 [미디어오늘] 한강하구, 국제기구도시를 상상한다 2 수원나그네 2018-11-24 1592
636 [미디어오늘] KS 오리엔트 특급으로 아시아를 누비자 수원나그네 2018-11-29 1567
635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국제소송 준비토론회 image 수원나그네 2018-12-03 1472
634 눈을 돌리면 다른세상이 보인다. 4 systema 2018-12-05 1701
633 생명로드 31 - 한반도는 이미 탈원전시대 수원나그네 2018-12-06 1467
632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77
631 생명로드 32 - 다시 길을 떠나다 image 6 수원나그네 2018-12-15 1657
630 생명로드 33 - 지구생명헌장2018서울안(국문 영문) image 수원나그네 2018-12-15 1748
629 생명로드 34 - 후반기 일정 및 코스 image 수원나그네 2018-12-16 1504
628 AI 에 정통하거나 관심이 깊은 구조론 동지님께 수원나그네 2018-12-25 1593
627 일상의 구조론(1) - 일반인들에게 쓰는 글 2 이상우 2018-12-26 1876
626 생명로드 35 - 인도 순례 소식 image 수원나그네 2019-01-03 1696
625 일 잘하는 관료의 특징 1 수원나그네 2019-01-04 2154
624 같음이 먼저고 다름이 나중이다. 1 아제 2019-01-08 1998
623 답이 있다. 아제 2019-01-10 1961
622 [제민] 중심을 노려보는 아웃사이더의 눈빛을 가져라 3 ahmoo 2019-01-16 2860
621 전체와 부분 사이 systema 2019-02-03 2304
620 생명로드 36 - 또다른 UN이 필요하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2-17 1627
619 생명로드 37 - 달라이라마를 뵙다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3-07 1864
618 수학의 기원 -1 눈마 2019-04-04 1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