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449 vote 0 2014.02.27 (10:43:46)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2027&no=418&weekday=wed


 


    광해군을 찬양하는 정신병자들은 이 대목을 공부해야 한다. 의사결정 회피의 전형적인 예. 사마의가 고평릉의 변을 일으켰을 때 그 군사의 수효는 얼마 되지 않았다. 집안 하인들 몇 명 데리고 거사를 한 경우다. 


    이방원이 일으킨 왕자의 난이나, 수양대군의 쿠데타도 소수의 왈패를 끌어모아 변을 일으킨 것이다. 충분히 진압할 수 있다. 박정희 쿠데타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왜 조상 일파는 과감한 의사결정을 못하였을까? 


    권력을 내놓고 좋게 물러가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게 다 역사공부를 안 해서 그렇다. 정치가 장난인가? 잔인한 보복이 뒤따른다. 악당이 악행을 저지르는 것은 아니다. 정변 직후의 무질서가 악을 부른다.


    누군가 정통성 없는 쿠데타를 하면 또다른 쿠데타가 일어나는 법이다. 이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 최대한 잔인하게 보복을 한다. 적의 자비에 운명을 맡기는 것은 아주 어리석은 것이며 최대한 저행해야 한다. 


    항복하면 짓밟고 저항하면 회유한다. 이것이 역사의 법칙이다. 일본이 미국에 항복하면 짓밟힌다는 사실을 알기에 먼저 침략한 것이다. 꾀주머니 환범이 조상의 편에 붙을 때 빈 손으로 간 것이 실책이었다. 


    소수라도 군대를 끌고가서 황제를 잡았어야 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45
1426 진격의 강물. 4 아제 2013-07-24 4329
1425 지성인이 되고 싶습니다. 1 빨간풍차 2008-12-28 4329
1424 시대전환: 개발에서 관리의 시대로 (미시적 관점) image dksnow 2022-07-22 4323
1423 Ⅰ. 왜 구조론인가? (논문 발췌) 오세 2010-11-12 4323
1422 한국은 유목민의 나라다 image 3 김동렬 2016-07-25 4322
1421 역사 영화는 왜 만드는가? image 1 냥모 2015-04-04 4321
1420 달 세계 여행 김동렬 2015-03-17 4319
1419 장하준 교수를 만났소.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12-22 4316
1418 정몽주의 실패 김동렬 2014-05-19 4311
1417 지진 무개념 일본 image 4 김동렬 2016-10-18 4308
1416 조선의 3권분립 1 김동렬 2015-03-03 4302
1415 Sheer 바람21 2022-07-31 4301
1414 손주은이나 대치동 똥강사들보다 100배 낳은 최겸 image 3 dksnow 2022-12-07 4298
1413 순간 계산 궁금하오 17 지여 2011-01-10 4283
1412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281
1411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281
1410 중국의 역사 김동렬 2015-11-14 4280
1409 문제 - 제갈량의 승산은? image 4 김동렬 2013-02-13 4280
1408 쫄지 말아야 진보다. 1 김동렬 2012-01-05 4279
1407 리더 의 의사결정 1 지여 2010-12-26 4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