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479 vote 0 2014.01.18 (00:02:29)

 

    인간의 맹점


    우리는 빨강과 파랑이 어떻게 다른지는 잘 설명하지만, 빨강과 파랑이 어떻게 같은지는 설명하지 못한다. 빨강과 파랑이 같다는 점을 납득시키려면 컬러와 흑백이라는 상부구조의 대칭을 보여줘야 한다.


    인간은 추상적 사고에 약하다. 추상은 개별적인 사실에서 공통요소를 뽑아낸다. 추상은 ‘다르다’가 아니라 ‘같다’이다. 인간은 사물의 다름을 쉽게 인식하지만 같음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이에 모형적 사고가 필요하다.


    다름과 같음 곧 대칭과 비대칭을 베틀의 씨줄날줄처럼 조직하여 돌아가는 판도 전체를 조망하는 것이 모형적 사고다. 정상에서 전모를 보는 관점이다. 문제는 추상적 사고에 약한 인간이 정상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데 있다.


    다름은 비교하고 분별하여 대칭시키는 짝짓기 방법으로 파악된다. 흑과 백, 남과 여, 좌파와 우파로 짝지어 비교함으로써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정상은 외로워서 짝이 없다. 정상을 코앞에 두고도 알아채지 못한다.


    노무현을 알아보지 못하고, 김기덕을 알아보지 못하고, 고흐를 알아보지 못하고, 소로를 알아보지 못한다. 정상을 납득하려면 정상과 짝지어 비교할 또다른 정상이 필요하다. 그것이 완전성이다.


    모형적 사고는 완전성에 대한 감각을 필요로 한다. 완전성이라 하면 신神의 전지전능함을 떠올리기 쉽다. 더 많은 것, 더 큰 것, 더 센 것에서 완전성을 찾기 쉽다. 이는 플러스적 사고다. 틀렸다. 그곳에 정상이 없다.


    플러스로 가면 무한의 수렁에 빠진다. 아무리 큰 숫자를 말해도 더 큰 숫자가 있다. 완전성은 마이너스에 의해 달성된다. 더하기가 아니라 빼기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더 이상 제거할 수 없는 0에 이르러 완전하다.


    완전한 것은 방해자가 제거된 것이다. 이야기는 만남에서 시작된다. 방해자가 제거되어 둘의 만남이 완전해질 때 씨앗은 열매를 맺는다. 아기는 태어난다. 에너지의 입력에서 출력까지 완결된다. 사건은 종료된다.


    정상은 뾰족하다. 바늘끝처럼 가늘다. 마침내 0에 이른다. 방해자가 사라져서 0이 된 지점에서 손뼉은 마주쳐 소리를 내고, 견우와 직녀는 만나 하나가 된다. 몽룡과 춘향의 방해자인 변학도는 제거된다.


    금이든 은이든 다이아몬드든 어떤 고립된 개체에는 완전성이 없다. 완전성은 둘의 만남에 있다. 씨줄날줄로 조직된 것에 있다. 방해자가 제거되어 둘의 거리가 0일때 완전하다. 바이얼린의 활과 현이 만나 멋진 소리를 토해낸다.


   


[레벨:10]다원이

2014.01.18 (19:01:26)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73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657
2835 중용 2, 정곡을 찌르다 image 3 김동렬 2016-02-23 5243
2834 노자와 중국인 image 4 김동렬 2016-02-18 5241
2833 깨달음 5분 요약 image 김동렬 2016-03-25 5240
2832 사랑 76, 스티브 잡스의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3-17 5240
2831 명절증후군의 이유 image 김동렬 2015-11-10 5236
2830 사랑 119, 사랑의 통제권 1 김동렬 2016-06-27 5234
2829 사랑 94, 좌판 벌이지 말라. image 1 김동렬 2016-04-11 5231
2828 공자와 제자 image 2 김동렬 2016-01-20 5230
2827 평론하는 비겁자는 되지 마라 김동렬 2016-07-09 5228
2826 사랑 65, 한국인은 대접받아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3-02 5227
2825 꼰대의 정석 윤석열 image 4 김동렬 2021-08-02 5220
2824 이재명 까는 사람의 심리 김동렬 2021-08-20 5217
2823 연역의 재현과 귀납의 관측 1 김동렬 2020-03-10 5217
2822 503 김건희 맞교환 3 김동렬 2021-12-25 5213
2821 사랑 86, 역사자랑은 수치다 image 3 김동렬 2016-03-30 5213
2820 사랑 100, 팀은 복제한다. image 1 김동렬 2016-04-25 5211
2819 노자 2, 성인은 하지 않는다 image 김동렬 2016-02-05 5211
2818 사랑 123, 화수분 인생 1 김동렬 2016-07-18 5210
2817 사랑 77, 인류의 프로젝트 image 2 김동렬 2016-03-18 5209
2816 세상의 단위는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5-09-19 5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