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생각의 정석 v 2.0 두번째 방송 


오프닝 멘트. 

억만금을 벌어봤자 물질에는 의미도 없고 가치도 없다. 단 그것을 누구에게 넘겨줄 때 가치가 있고, 누가 그것을 기꺼이 받아줄 때 의미가 있다. 삶은 그러한 이어감의 연속이며, 그리하여 배달하고 또 배달받는 것이며, 완전성은 이미 그 안에 있다. 소통은 이미 그 안에 있다. 반면 흐름이 끊어지면 가치가 없다. 의미가 없다. 민주의 바통은 끝없이 이어지나 친일의 바통은 끊어진다. 그러므로 민주는 실패해도 의미가 있고, 친일은 성공해도 가치가 없다. 박근혜가 교학사 친일에 성공해 놓고도 도리질하며 부인한다. 베드로가 세 번 부인하매 흐름이 끊어지니 가치가 없으며, 참회하여 흐름을 다시 이으매 가치가 있다.


진정한 것은 완전성 뿐이다. 의미와 가치가 그 흐름 안에 있고, 그 흐름의 맥락 안에 있기 때문이다. 


70억 인류에게 진리의 가치를 배달하는 방송, 생각의 정석 시작합니다. 


1. 시사구조론(약 15분): 박근혜의 언어 통역이 필요하다. 

신년 기자회견 요약 (딴지일보)
-경제 개혁 3개년 계획을 발동하겠다. -통일은 대박이다.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대북지원을 강화하겠다. -개각은 없다. -귀찮은 소통은 하지 않겠다. -청와대에는 진돗개를 두 마리 기르고 있다.

  ‘증세는 아니다.’ -> ‘증세 맞지만 그래도 변명하는 성의 보였으니까 니가 참아. 안 참으면 울어버릴테야.’


   ‘공약파기 아니다.’ -> ‘공약파기 맞지만 그래도 변명하는 성의 보였으니까 니가 참아. 안 참으면 울어버릴테야.’


   ‘민영화는 아니다.’ -> ‘민영화 맞지만 그래도 변명하는 성의 보였으니까 니가 참아. 안 참으면 울어버릴테야.’


2, 아는사람(약 20분): 백범 김구

참고자료

제 3라운드 - 백범의 전략
- 우리가 백범을 오해하고 있는 15가지 이유 -

득수반지무족기 현애살수장부아(得樹攀枝無足奇 懸崖撒手丈夫兒) 가지를 잡고 나무를 오르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나, 벼랑에서 잡은 가지 마저 손에서 놓을 수 있는 사람이 진정한 장부이다. [백범일지]

이 한 줄만 읽어도 본전은 뽑는 셈이다. 일생의 좌우명으로 삼아도 좋겠다. 지금 우리가 벼랑 위에 서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 몇이나 될것인가?

왜 백범이어야 했는가?

백범이라면 도무지 타협을 모르는 고집 센 민족주의자 정도로만 알고 있는 것이 우리의 실정이다. 천만에! 우리는 백범을 몰라도 너무 모르고 있다.  

조선 왕족의 후예 이승만, 해주 양반의 후예 안창호를 비롯하여 해외의 명망가들이 즐비한 임정에서 배우지 못한 상놈의 신분으로, 요즘으로 치면 경찰청장 정도에 지나지 않는 임시정부 경무국장 백범이 마침내 주석의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던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혼란기였다. 사농공상의 신분제도는 철폐되었다지만 반상의 차별 구습은 여전히 남아있던 때였다. 좌우파의 극단주의에 선 명망가들이 거듭 조각에 실패하여 물러나게 되므로서 김구에게도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왜 그들은 조각에 실패하였나? 왜 그들이 실패한 조각을 김구는 성공시킬 수 있었나? 이유가 있다. 왕족 이승만이 실패하고 양반 안창호가 실패하는데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는 만큼 백범이 마침내 성공시키는데도 그만한 배경이 있다.  

김구는 강격한 원칙가가 아니다. 탁월한 중재능력을 가진 온건 합리주의자였다. 지금 이라크에서 시아파 지도자 ‘알 시스타니’ 만이 극단주의자 ‘알 사드르’를 중재할 수 있듯이 왕족과 양반출신 중심의 명망가들과, 상놈 출신의 젊은 좌파들 사이에서 양쪽 세계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 김구만이 중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낡은 신분질서는 일제에 의해 타율적으로 붕괴되었으나 새 질서는 자율적으로 도입되지 않은 과도기 상황에서 김구 만이 양쪽의 극단주의 세력을 중재할 수 있었고, 그토록 불신이 팽배한 상황에서 오직 김구 만이 조각을 성공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노무현과 백범은 닮았다. 백범일지에는 무수한 노무현들이 숨어있다. 백범이 생각한 것을 노무현도 생각하였고, 백범이 분노한 것을 노무현도 분노하였다. 백범이 결단하였을 때 노무현도 결단하였다. 백범을 읽으면 노무현이 보인다.  

 

1. 너희가 김구를 아느냐?

백범의 사상을 한마디로 말하면 자주사상이다. 두 가지로 말하면 자주사상과 교육사상이라 할 수 있다. 세 가지로 말하면 거기에다 자유주의를 추가할 수 있다.

백범사상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자주와 자유, 교육 이 세 가지는 상민계급 출신으로 양반계급에 대항하면서, 또 식민지 백성으로 일본제국주의의 압제에 대항하면서 추구해온 저항과 전복의 가치라 할 수 있다.  

의리는 학자에게 배우고 일체 문화와 제도는 세계 각국에서 채택하여 적용하면 국가에 복리가 되겠다고 생각한다. [백범일지]

더 이야기해도 좋다면 거기에 다원주의, 실용주의, 합리주의를 추가할 수 있다. 불교, 유교, 기독교, 동학 등 다양한 종교와 철학을 섭렵하면서 다원주의를 얻었고, 어려서 배운 유학의 정신에 서구의 신학문을 접목시키면서 실용주의를 얻었고, 현실의 삶에 뛰어들어 무수한 실패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합리주의를 얻었다.  

상해 임시정부에 참여하면서 미국식 민주주의를 배웠고 좌파와 합작하면서 사회주의까지 두루 섭렵했다. 백범은 이 중 어느 하나도 무조건 배척하지 않았고 장점은 있는 대로 취하였다. 선생의 그 넉넉한 그릇의 크기를 우리가 헤아리기는 어려운 일이다.   

비유하면 정치이념은 자동차의 운전과 같다. 자주정신이 없는 사람은 자기 소유의 승용차를 가지지 못한 사람이다. 자유정신이 없는 사람은 운전면허가 없는 사람이다. 민주주의가 없는 사람은 교통법규를 준수되지 않는 경우이다.  

합리주의가 없다면 그 자동차에 핸들이 없는 격이며, 실용주의가 없다면 그 자동차에 손님을 태울 좌석이 없는 격이며, 다원주의가 없다면 그 자동차에 기어가 없는 격이다.  

중요한건 우선순위다. 자주와 자유가 맨 앞에 와야 한다. 민주가 중간이고 최종적으로는 진보이다. 진보가 없는 사회는 엔진이 없으니 나아가지 못하는 자동차와 같다. 이 중에 어느 하나도 버릴 것이 없다.  

필요한 것은 판 전체를 조망하는 철학과 균형감각, 그리고 중재와 조정, 제어의 개념이다. 백범의 큰 그릇 안에는 그 모든 것이 갖추어 있었던 것이다.    

 

2. 선생이 백범일지를 쓰신 뜻은?

이 글을 쓴 동기는 내가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 되어,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험한 일을 시작하면서 당시 본국에 있던 어린 두 아들에게 나의 지난날을 알리자는 목적에서였다. [백범일지]

백범일지는 상, 하 2편으로 되어 있다. 상편은 윤봉길의사의 의거를 앞두고 아들들에게 보내는 유서 대신으로 쓰여졌다. 하편은 중일전쟁의 와중에 언제 목숨을 잃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미주와 하와이의 독립운동가들에게 남기는 유서 대신으로 쓰여졌다.  

백범일지는 노무현의 자서전 ‘여보 나좀 도와줘’와 마찬가지로 어린 시절의 소소한 일, 상놈의 출신으로 당하였던 부끄러운 일들까지 낱낱이 기록하고 있다. 왜 백범은 그런 시시콜콜한 일까지 구체적으로 기록하였을까?  

“우리 국민성에 맞는 주의, 제도를 연구하려고 머리를 쓰는 자 있는지, 만일 없으면 이보다 더 슬픈 일은 없으리라.” [백범일지]

백범이 평소에 우리 국민성에 부합하는 주의 제도를 연구하여 얻은 백범의 정치철학이 백범일지의 행간에 담아져 있는 것이다. 백범일지가 어린 시절의 시시콜콜한 일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백범철학의 탄생배경을 설명하여 보이기 위함이다.  

백범일지는 자서전의 형식을 빌린 철학서이며, 고국의 아들들에게 보이기 위한 유서가 아니라, 이 겨레에 보이기 위해 씌어진 유서인 것이다.  

백범은 철학자가 아니다. 백범일지는 철학가의 언어로 씌어지지 않았다. 백범은 타고난 문장가이다. 백범일지를 읽으면 뛰어난 소설가가 쓴 한편의 소설을 읽는 느낌이 들 정도이다. 그러나 백범은 누구보다도 깊은 자기만의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 철학가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당신의 철학을 펴 보이기 위해서 소설가의 문체를 활용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나의 소원’은 내가 우리 민족에게 하고 싶은 말의 핵심을 적은 것이다. 무릇 한 나라가 서서 한 민족이 국민생활을 하려면 반드시 기초가 되는 철학이 있어야 한다. [나의 소원]

비록 일생의 소원이던 조선의 완전한 독립은 보지 못하고 가셨으나 그 철학과 그 정신은 백범일지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백범일지야 말로 민족의 바이블이라 할 것이다. 모세가 십계명을 쓰는 심정으로 선생은 백범일지를 쓴 것이다.  

1949년 6월 26일 선생이 가시기 3년전 1946년 8월 6일(음력) 경남 진해에서 노무현이 출생하였다. 바톤은 물려졌다. 백범사상은 노무현에 의해 계승될 수 있게 되었다. 김구를 아는 것이 노무현을 아는 길이다. 김구가 거쳐간 길이 노무현이 지금 가고 있고 또 앞으로 가야 하는 길이다.  



4. 영어는 한국어다(약 15분): 기본동사 50어 완전정리!

참고자료 

영어는 힘의 방향입니다. 힘은 동사가 결정하고 방향은 전치사가 결정합니다. 50여개 기본동사와 22개 전치사가 만드는 1만개 관용구가 영어의 전부입니다.

문제는 영한사전들이 전치사가 나타내는 '방향'을 180도 거꾸로 번역하고 있고, 동사에 숨어있는 '힘'은 알려주지 않는 것입니다. 동사의 어원을 추적해 보면 반드시 '힘'을 나타내는 뜻이 숨어 있습니다. 어원을 알면 '힘'이 보입니다.


▣[기본동사 50어 완전정리]▣


1) 소유의 힘 ※ ※ ※ ※ ※

-가축-
have 했다 (가축을 가두어get 후리고hold 있다, 소유하다)
get 갖다 (가축을 우리에 가두다, 소유하다)
catch 꽉잡다 (짐승을 꽉잡다, 붙잡다)
hold 후리다 (가축을 우리에 잡아두다, 유지하다)

-손-
take 당겨 (자기 쪽으로 당겨 갖다, 소유하다)
obtain 옆채운 (옆에서 채우다, 입수하다)
grasp 그러쥐다 (손가락으로 그러쥐다, 붙잡다)



2) 정지된 힘 ※ ※ ※ ※ ※

-심다-
stay 섰다 (모종이 심어진 자리에 서 있다, 머무르다)
sit 심다(모종을 심다, 자리에 앉다)

-보존-
keep 지키다 (갖고 있다, 지키다)
cover 가려 (굴에 숨기다, 덮다)

-일-
work 일감 (일을 얽어 일구다, 일하다)
make 맹글다 (무에서 유를 맹글어내다, 만들다)
be 벌이다 (일이 벌여져 있다, 있다)
do 되다 (힘을 가하여 ~되다, 하다)


3) 힘의 작용 ※ ※ ※ ※ ※

-접촉-
touch 닿다 (닿게 손을 대다, 대다)
meet 맞닥드리다 (둘이 맞닥드려 만나다, 만나다)

-압박-
press 박다 (박아누르다, 누르다)
push 불쑥 (뒤에서 불쑥 떠밀다, 밀다)
put 붙이다 (앞으로 펼쳐 붙이다, 놓다)
fix 박다 (빡빡하게 박아넣다, 고정시키다)
fit 빡빡하다 (빡빡하게 박아넣다, 알맞다)

-공격-
beat 받다 (방망이로 받아치다, 치다)
strike 치다 (서다>치다, 직선으로 곧게 서다, 치다)


4) 힘의 이동 ※ ※ ※ ※ ※

-운반-
bring 배로 (배로 짐을 부쳐 운반하다, 다른 곳에서 가져오다)
carry 차로 (차로 직접 운반하다, 짐을 나르다)
send 쏜다 (화살을 쏜다, 부쳐보낸다)
fetch 발걸음 (발걸음하여 불러오다, 가서 가져오다)

-왕래-
go 가다 (밖으로 나가다, 가다)
come 한테옴 (한테 합치는 방향으로 모여옴, 오다)

-변동-
shift 치우다 (정돈하여 치우다, 자리를 옮기다)
turn 틀다 (원을 그려 돌며 방향을 틀다, 돌다)
break 빠개다 (조각조각으로 부수다, 깨뜨리다)

-상향-
grow 기르다 (점점 커지게 기르다, 자라다)
rise 일다 (위로 일어나다, 오르다)
raise 일으키다 (위로 일으키다, 올리다)

-낙하-
drop 떨구다 (물방울을 떨구다, 떨어지다)
fall 펄펄 (펄펄 날리며 떨어지다, 떨어지다)

-기타-
leave 버리다 (버리고 떠나다, 떠나다)
run 흐르다 (물이 흐르듯이 달리다, 달리다)




5) 힘에 의한 행동 ※ ※ ※ ※ ※

-저울-
see 보다 (저울 눈금을 쏘아본다, 본다)
seem 서로물리다 (저울눈금이 서로 물린 셈친다, 여긴다)

-말-
say 속삭이다 (속삭인다, 말한다)
call 고래 (고래고래 소리쳐 부른다, 부른다)

-기타-
let 이래라 (명령하여 이래라 저래라, 시키다)
give 집어주다 (잡다get에서 쥐다>쥐어주다>주다, 주다)




▣[특히 잘못알기 쉬운 동사들의 어원풀이]▣

be 벌이다 (일이 벌여져 있다, 있다)
♣벌였다be는 이다is, 있어was, 있을were과는 다른 뿌리로 어떤 물체가 있다는 뜻이 아니라 어떤 일이 벌어져 사건이 진행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do 되다 (힘을 가하여 ~되다, 하다)
♣ 되다do는 그냥 '하다'가 아니라 어떤 힘이 가해져 '~된다'는 뜻입니다.

put 붙이다 (앞으로 펼쳐 붙이다, 놓다)
♣ 붙이다put는 놓다lay(바닥에 눕혀lie 놓다)와 달리 펼쳐pose와 같은 계열로 어떤 펼쳐진 장소 앞으로 붙여놓는다는 뜻입니다.

press 박다 (박아누르다, 누르다)
♣우리말 '누르다'는 '눕히다'와 연결되는 말이므로 press는 '누르다' 보다는 '박다'가 더 정확한 뜻입니다.

come 한테옴 (한테 합치는 방향으로 모여옴, 오다)
♣'가다'의 반대 '오다'가 아니라 '흩어져 가다go'의 반대로 '한테모이는 쪽으로 다가온다'는 뜻입니다.

shift 치우다 (정돈하여 치우다, 자리를 옮기다)
♣원래는 자리를 정돈하여 '치운다'는 뜻인데 자리를 옮긴다, 자리를 바꾼다는 뜻으로 되었습니다.

leave 버리다 (버리고, 허락하고 풀어준다, 떠나다)
♣살다>사랑하다>허락하다>믿고 버린다(풀어준다)로 변해왔는데 '떠난다'는 뜻보다 '버린다'는 뜻이 더 강합니다. '버린다'는 말은 아내나 노예를 '믿고 풀어준다'는 뜻에서 왔습니다. 사랑하므로 이별이군요.

run 흐르다 (물이 흐르듯이 달리다, 달리다)
♣원래는 물이 흐르다>물 흐르듯 우르르 몰려간다>달린다로 되었습니다.

seem 서로물리다(저울눈금이 서로 물린 셈친다, 여긴다)
♣same>seem 서로물림same은 저울 눈금이 어슷비슷하게 서로 물리어 셈셈이 친다는 뜻입니다. 저울눈금이 대충 비슷하게 물리면 맞는 셈치고 값을 쳐주는 거죠.

call 고래 (고래고래 소리쳐 부른다, 부른다)
♣고래고래 고함친다>고함쳐 부른다>전화교환수를 부른다(전화한다)로 변했습니다.

let 이래라 (이래라 저래라 명령하다', 시키다)
♣이래라, 저래라, 가라, 와라, 해라 하고 명령할 때의 '~래라'로 연결되는 말입니다.




▣[동사에 숨어 있는 힘을 파악하라]▣

동사의 어원을 추적해 보면 '힘의 강약'이 낱낱이 판별됩니다. 영어도 그렇고, 우리말도 그렇고, 힘의 강약과, 힘이 작용하는 방향이 같으면 다른 뜻이라도 같은 말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면 '버린다leave'는 노예나 여자를 믿고 '풀어준다'는 뜻이 있습니다. 고로 'leave'는 '버린다'도 되고, '떠난다'도 되고, '맡긴다'도 되고, '허락한다'도 되고 '남긴다'도 됩니다.

우리말로 보면 '버린다', '떠난다', '맡긴다', '허락한다', '남긴다'는 전혀 다른 말입니다. 언뜻 봐서는 닮은 데가 하나도 없어요. 그러나 '힘의 방향'으로 보면 '풀어준다'는 하나로 다 연결되는 것입니다.

우리말도 그렇습니다. '꽃이 진다', '해가 진다', '그림자 진다', '싸움에 진다' 다 다른 말이지만 '진다' 하나로 해결합니다. 힘의 방향이 같으니까요.


[레벨:30]솔숲길

2014.01.15 (20:22:38)

오호.. 기다렸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 |/_담 |/_

2014.01.16 (11:05:23)

아래 링크는 발음킹이 되는 법이라는 데,
 
한글은 원래 발음기호, 왜 영어 공부에는 안쓰나 모르겠음.
 
 
 

한글에 위대함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144467&s_no=144467&kind=search&page=1&keyfield=subject&keyword

 

 

한글에 위대함.bmp

 

 

 

첨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19
1446 생각의 정석 19회 오세 2013-12-12 3280
1445 고백을 받으면 싫어지는 이유 1 김동렬 2013-12-15 10510
1444 선이 굵으면 좋은 디자인 image 1 김동렬 2013-12-15 4042
1443 글을 잘 쓰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3-12-15 5433
1442 에디슨과 잡스의 천재성 image 1 김동렬 2013-12-18 6305
1441 생각의 정석 20회 오세 2013-12-19 3499
1440 새로운 학문의 체계를 건설해야 1 김동렬 2013-12-26 3909
1439 성범죄의 원인 image 17 김동렬 2013-12-26 10093
1438 진화의 목적은 없는가? 9 김동렬 2013-12-29 4987
1437 인간에게 자유의지는 있는가? image 7 김동렬 2013-12-30 7979
1436 운명과 자유의지 3 김동렬 2014-01-07 4664
» 생각의 정석 v 2.0 두번째 방송 대본 2 오세 2014-01-15 3667
1434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image 33 김동렬 2014-01-15 7452
1433 르네 마그리트 image 1 김동렬 2014-01-16 13033
1432 실감하는만큼 자란다 2 ahmoo 2014-01-20 3415
1431 응답하라 대한민국 ahmoo 2014-01-20 3190
1430 구조론적으로 사고하는 사람 2 김동렬 2014-01-22 4209
1429 스웨덴 모델의 환상 김동렬 2014-01-22 4271
1428 생각의정석 23회 (스크립트 추가) 5 오세 2014-01-23 3345
1427 구글의 대승전략, 네이버의 소승전략 3 김동렬 2014-01-28 4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