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read 4324 vote 0 2009.07.20 (12:40:10)




요즘은 통 가보질 못했지만, 아니 못가본지 1년은 족히 되는거 같지만...
양모가 속한 여의도공원에서 주로 활동하는 슬라럼 동호회의 2004년 동영상이오.
슬라럼은 인라인 스케이트 중에서도 FSK(프리스타일 스케이트) 부츠를 신고, 여러가지 묘기를 부리는 건데,
스케이트로 말하자면, 스피드 스케이팅 보다는 피겨 스케이팅에 가깝다고 보면 될 것이오.

FSK를 신는 것은 프레임이 짧고, 바퀴가 작기 때문에 회전과 무게중심이동이 쉽기 때문이오.

구조론으로 말하자면, 어떤 동작을 구현 할 때,

머리(상-하) > 팔(좌-우)> 발목(제어)> 스케이트(중심이동)> 동작완료 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오.
인체의 발목이 변화무쌍한 무게중심을 제어하고, 스케이트의 바퀴 끝이 지면과 닿는 면적이 적다는 것,
그로인해 보통 인간이 발로 지면을 걷고 다니는 것과 완전히 다른방식의 언어가 필요하다는 것,
또 그것을 배워가는 것이 참 즐거운 일인것 같소.

난 젊은이들이 새로 만들어가는 문화와 질서와 스타일을 참 좋아하는 편이오.
물론 난 왕초보지만... 여유가 생기는 대로 재도전 해볼라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aprilsnow

2009.07.27 (21:24:00)

부러워죽겠소. 젊은이들의 저런 모습을 보면~ 저절로 흥이 나오.
그리고 나도 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마구마구~
30대에 엄청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서 별다른 운동없이 언제나 변화없던 몸무게가 25Kg이나 불어나고 말았소.
그런데 또 강력히 이것을 구조조정할 강한 의지나 동기가 생기지 않소.
그런데로 살지 뭐 그러면서도 저런 모습 보면 무뎌진 내 무릎관절이 불쌍해지오.

지금 관심 많은 일들 어느 정도 정리해 놓고 나면~
저런 운동이나 춤에 도전해 보고 싶소.

70대에 힙합하는 할아버지처럼~
스타킹같은 프로에 나올 수 있으려나~ㅋㅋ  

몸으로 구조를 느낄 수 있는 감각...
이거 참 소중한데... 앞으로 영영 잃어버리게 되고 싶지 않은 숙제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양을 쫓는 모험

2009.07.28 (10:34:17)

막상 슬라럼 동호회에 가보면, 10대, 20대 보다 30대가 훨 많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312 마이클 쉘렌버거들의 도발에 대해 2 수원나그네 2017-07-06 3124
4311 알파독 이론 논란과 사건중심의 세계관 챠우 2017-07-05 5556
4310 신은미의 권력행동 김동렬 2017-06-29 4098
4309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분당) image ahmoo 2017-06-29 2450
4308 문재인 쉴드 언론 뉴비시 image 2 굳건 2017-06-28 4182
4307 차보다사람이먼저입니다 - 구조론이당~~ image 3 아란도 2017-06-28 2939
4306 프랑스와 영국의 디자인 image 챠우 2017-06-24 3226
4305 부암동 소소한파티 image 3 이산 2017-06-23 3133
4304 구조론 현실적용에 대한 단상. 10 systema 2017-06-22 3314
4303 <차를 마시고 배우고 알려주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image 아란도 2017-06-22 2911
4302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부암동) image 1 ahmoo 2017-06-22 2940
4301 진실 눈마 2017-06-22 2702
4300 비밀에 숲(누가? 진범!) image 6 아나키 2017-06-18 3505
4299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아란도 2017-06-16 3115
4298 해인(海印)이란? image 5 박활인 2017-06-15 4757
4297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분당) image ahmoo 2017-06-15 2828
4296 내년 지자제 투표지 인쇄하는 김에 스마일 2017-06-14 2920
4295 방랑자 임재범 1 락에이지 2017-06-14 4062
4294 <큰슬픔 - 야만의 시간들을 관통하며 생긴 생채기가 말해주다> image 아란도 2017-06-13 2965
4293 문통의 시정연설을 생각하며 1 다원이 2017-06-12 2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