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냥모
read 10247 vote 0 2013.12.01 (20:48:26)

연애능력고사.jpg


출제자의 의도가 뭐죠?


[레벨:11]비랑가

2013.12.01 (21:14:26)

3번 혹은 5번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3.12.01 (21:15:38)

1.순진한 남자

2..더 순진한 남자

3.당황한 남자

4.을인 남자

5.화를 더 돋구는 남자


의도는 남자와 헤어지려는 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사발

2013.12.01 (21:21:41)

정답: (주관식) "Nobody's prettier than my baby!!"

 

출제자 의도: 모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2.01 (21:22:31)

정답은 2번입니다.

여자는 가식이든 거짓이든 농담이든 

예쁘다는 말을 듣고 싶은 것이며

예쁘다는 정해진 답을 유도할 의도로 

지나간 여자를 이용하는 거죠.


2번으로 대답하면 여자에게 30분간 진짜냐고 추궁당하게 되는데 

이는 본인의 극복할 몫입니다. 의연하게 콩깍지의 두께를 증명해야 합니다.

중요한건 지나간 여자가 아니죠. 여자와 남자의 관계. 특히 콩깍지의 두터움.

불쌍한 안생겨요들을 위해 특별히 정답을 보시해줌.


3번이나 5번은 대화회피인데

여자는 대화를 원하고, 대화를 통해 남자를 궁지로 모는 것을 즐기므로

어쨌든 대화가 계속 이어지는 답을 말해야 합니다.

대화강요에 시달리더라도.

 

남자는 여자가 반박할 수 없는 똑떨어지는 정답을 말하여

여자를 침묵시켜 놓고 자기가 이겼다며 의기양양해 하는 수가 있는데 최악이죠.

[레벨:10]하나로

2013.12.01 (21:33:21)

힘들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2.01 (21:52:54)

힘들어 드리는 것이 예의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까뮈

2013.12.01 (22:28:04)

출제자가 꽃뱀이면서 남자에게 뭄는 경우^^


1.우와 진짜 예쁘다=>이건 호구로 걸렸슴.작업 시작

2.아니야 자기가 훨씬 예쁘지=>이 놈은 선수네.제외

3.아...어...=>뭐야 이 놈은.그래도 가능성 있슴

4.에이~성형했네 성형했어~=>의심 많은 놈.해야하나?

5.응?누구 말하는 거야?=>본심을 모르니 지켜보고 결정

프로필 이미지 [레벨:8]부둘

2013.12.02 (00:13:56)

저는 틀려도 <5번>으로 갈랍니다.

저 또한 실생활에서 저 시험에 많이 들어봤드랬습니다. 그때 지문의 "지금 방금 지나간"

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 저 앞에 저 여자 이쁘지?가 아닙니다.

한번 생각하고 2번,4번으로 지른결과 이어지는 반응은 "눈달렸다고 그새 다 보고 다니는구나! 흥~ " 

였습니다. 이젠 두번 생각해서 못봤다고 합니다.

여자들이 대화를 이어나가길 원하는 것은 틀린말은 아니나 이어진 대화의 말로가 좋지 않았습니다.


[레벨:10]하나로

2013.12.02 (10:26:33)

힘들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미니멀라이프

2013.12.02 (10:31:36)

1번이 답이 아닌 건 확실합니다

1번만 고집하다가 백만번 싸웠던 친구가 떠오르네요.

[레벨:2]하나에하날더하면

2013.12.02 (13:48:46)

정답을 고른다면  그것은  1혹은 2.........어떻게 소통할 것인가의 문제로 보이는데....여자의 의도에 정확히  반응하여 주는 것이 여친에  대한 예의...^^    3과 5는 그야말로 최악.....ㅎㅎ

4번은 아주 오래된 그런 사이이거나 연예감정이 전혀없는 사이....이 또한 하나의 악...^^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13.12.02 (15:33:08)

오빠 이 책 읽어 봤어? 멋지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952 유투브동영상 올리는 방법.(수정) image 68 배태현 2016-01-04 8790
4951 이것이 76미리 포탄이다 image 김동렬 2010-12-01 8776
4950 청주맛나게 마시기 13 곱슬이 2010-03-09 8758
4949 화두(話頭)란 무엇인가? 10 아란도 2010-08-10 8716
4948 유명인사가 된 소매치기 image 3 김동렬 2009-02-11 8700
4947 역사의 반복, 비극과 희극.. 약수동목장갑 2013-06-19 8693
4946 강병규 그리고 선수협의 진실 1 김동렬 2011-09-22 8668
4945 백발종군 - 만평의 신, 장도리 image 1 이상우 2012-12-05 8659
4944 뜬금없지만 PUA 이론도 구조론으로 설명이 되는거 같네요. 4 귤알갱이 2012-02-08 8635
4943 유혹 8 鄭敬和 2010-08-20 8634
4942 구조강론 사진 & 영상_20130509 image 3 냥모 2013-05-14 8630
4941 낙차, 대한민국 무한도전 3 ░담 2010-08-18 8585
4940 대선 포스터 image 9 지명 2012-11-26 8562
4939 네안데르탈인의 조각상? image 김동렬 2009-05-14 8518
4938 서프 글쓰기에 대하여 1 열수 2005-10-03 8516
4937 연주자의 꿈 김동렬 2006-06-27 8509
4936 컴퓨터의 죽음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9-19 8505
4935 화학에서 가역적인 반응과 비가역적인 반응 2 이은지 2014-11-08 8479
4934 운명의 바닥 또는 低點(저점)에 관하여 (2) _ 2010.9.28 (펌글) 7 곱슬이 2010-09-29 8479
4933 시스템을 여는자들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5-08 8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