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6]Nomad
read 2660 vote 0 2013.11.23 (08:47:42)

안녕하세요.

 

기존에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던 부속을 세라믹으로 교체하려는 연구가 있다고 합니다.

 

세라믹은 내열성, 내부식성, 가벼운 중량 등이 스테인리스 스틸에 비해 큰 강점이나, 결정적으로 쉽게 깨진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1. 스테인리스 스틸을 세라믹으로 대체가 가능한지요.

2. 만약 대체가 가능하다면 스테인리스 스틸의 특성을 가진 세라믹을 연구해야 하는지(즉 소재 자체를 바꾸어야 하는지)

    단지 형태에 변화를 주는 것만으로도 쉽게 깨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라서 구조론적인 힌트를 얻을 수 있을까 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3.11.23 (11:32:55)

소재 자체가 9라면

형태의 변화로 줄 수 있는 영향은 1 정도이겠지요.

[레벨:6]Nomad

2013.11.24 (01:08:34)

네 역시 소재에 집중해야겠군요.

[레벨:10]다원이

2013.11.23 (11:36:09)

기능은 형태에서 나온다(바퀴의 둥근 형태에서 구른다는 기능이 나온다).

이건 제가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걸 짬뽕해서 만든 말입니다. 기능(특성이라 해도 좋겠죠)은 결국 원자나 분자의 결합과 배열에서 나온다고 봅니다. 결합/배열은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환원이 되겠지요.
따라서 세라믹도 각 성분이 어떤 형태로 결합하냐에 따라서 원하는 기능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스틸에 대하여도 같은 논리를 적용할수 있겠죠.
저도 세라믹 등엔 까막눈이고... 그냥 생각을 올려 봅니다...
[레벨:6]Nomad

2013.11.24 (01:09:16)

저는 더 까막눈이니 어떤 아이디어라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레벨:10]다원이

2013.11.23 (11:38:23)

그새 동렬님이 댓글을....~~^
일단은 소재 자체가 뭐냐 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군요...
[레벨:6]Nomad

2013.11.24 (01:11:11)

네 그런 것 같습니다 ^.^;

[레벨:5]표준

2013.11.24 (00:15:19)

세라믹의 다른 말, 알루미나(Al2O3)는 모스경도가 9정도 나오고 지구상에서 가장 강하다는 다이아몬드는 경도가 10이죠. 신축성이 없는 관계로 충격에 약한게 흠인데 이런 특성을 요구하지 않는 부품은 대체해서 쓸 수 있겠으나 STS의 특성을 가진 세라믹은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압니다. 기술이 발전하면 나올지도 모르죠..

[레벨:6]Nomad

2013.11.24 (01:10:58)

역시 신축성이 가장 필요한 특성인데, 세라믹은 다른 것은 완벽한데 결정적으로 신축성이 부족하더군요.


어떻게 형태를 잘 잡아서 이를 극복하려는 시도는 무리일 듯 합니다.


역시 소재 자체에 집중해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452 이참에, 세계 민주주의 수준이 어디까지인지 함 테스트 해보자 아란도 2013-11-28 2862
2451 저격 능력의 평등화 2 AcDc 2013-11-28 2632
2450 응답하라 1994에 부쳐 5 까뮈 2013-11-27 3350
2449 영화 관상으로 인해 까뮈 2013-11-26 2950
2448 박창신 신부는 왜 NLL이라는 뇌관을 건드렸을까? 2 비랑가 2013-11-26 3863
2447 보편성과 일반성 아란도 2013-11-26 3434
2446 (오늘 서울광장)진재어린이 걷는미술관에 초대합니다 image 3 정나 2013-11-26 2667
2445 디자인을 아는 새 image 1 김동렬 2013-11-26 5412
2444 이번주 모임 취소되었습니다. ahmoo 2013-11-25 2433
2443 아마추어를 위한 구조론 놀이 >> 항해하기 image 7 홍신 2013-11-25 7922
2442 핑크 플로이드와 벽 11 아란도 2013-11-23 3723
» 소재의 대체? 8 Nomad 2013-11-23 2660
2440 새누리의 습격 image 2 김동렬 2013-11-22 8034
2439 스크랩 image 홍신 2013-11-21 3102
2438 이번주 문래 구조론 모임 image ahmoo 2013-11-20 3139
2437 재밌는 다큐가 나왔네요 2 락에이지 2013-11-19 4299
2436 ★ 암(癌) 연구를 왜실험쥐의 사육온도 - 실온(room temperature)은 쥐에게는 너무 추워 ㅎㄷㄷ 3 오세 2013-11-19 3754
2435 누구 정태춘과 송창식을 비교할 수 있는 분 있나요? 1 까뮈 2013-11-16 3079
2434 질문합니다. 3 낙오자 2013-11-15 2922
2433 Carpe diem 비랑가 2013-11-12 12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