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107 vote 0 2013.11.20 (11:56:04)

 


    다섯가지 의사결정


    ◎ 질 – 왼발/오른발 대칭에서 에너지를 조달한다.
    ◎ 입자 – 허벅지/종아리 대칭에서 내딛는 위치를 결정한다.
    ◎ 힘 – 발바닥/지면 대칭에서 전진≫상하운동으로 방향을 튼다.
    ◎ 운동 – 딛기/떼기 시간의 왕복대칭으로 보폭을 결정한다.
    ◎ 량 – 박힘/빠짐 발자국 대칭에서 에너지를 회수한다.


    한 번의 발걸음은 하나의 사건이며 하나의 사건은 5회의 의사결정으로 완결된다. 이 구조는 자동차든, 컴퓨터든, 소립자든, 바람이 불든, 강물이 흐르든, 인생을 살아가든, 작품을 쓰든, 그림을 그리든, 시를 쓰든 모두 공통된다. 에너지 조달≫위치결정≫방향전환≫시간조절≫에너지 회수의 절차를 밟는다.


    다섯 번의 의사결정은 모두 대칭≫비대칭의 구조로 되어 있다. 왼발과 오른발이 대칭되지만 실제로는 한 발은 걷고 한 발은 받쳐준다. 2에서 1로 바뀌며 에너지의 효율성을 얻는 것이다.


    량의 대칭에 실패하면 수렁에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한다. 그러므로 걸을 수 없다. 운동의 대칭에 실패하면 거북이처럼 느려터져서 걸음이 진행되지 않는다. 힘의 대칭에 실패하면 미끄러져서 엉뚱한 데로 간다. 입자의 대칭에 실패하면 발을 딛지 못하고 그대로 바닥에 쓰러진다. 질의 대칭에 실패하면 힘이 없어서 걷지 못한다. 다섯 중에 하나라도 모자라면 걷기에 실패하며 하나가 남아도 안 된다. 딱 맞아떨어져야 한다.


    ◎ 질 – 자원조달 : 걸을 힘은 있는가?
    ◎ 입자 – 형태유지 : 쓰러지지는 않는가?
    ◎ 힘 – 방향지정 : 미끄러지지 않는가?
    ◎ 운동 – 속도지정 : 느려지지는 않는가?
    ◎ 량 – 자원회수 : 힘은 돌아오는가?

 

    이 다섯 번의 대칭이 연쇄적으로 얽혀서 우주를 건축한다. 그러므로 우주는 살아있다. 무언가 존재한다는 것은 지속적으로 결정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구과학의 입자개념은 죽어있는 세계다. 아무 것도 결정하지 않는 세계다. 결정하지 않으면 시간이라는 무대 안에서 자기 존재를 연출해내지 못한다. 그것이 존재하여 있다는 증거를 나타내지 못한다. 유와 무로 보는 구과학에서 생과 사로 보는 신과학으로 갈아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3.11.20 (15:28:12)

마라톤이 생각나고, 의사결정구조의 자궁인 대칭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고...,

잘 뛰기(살기) 위해서는 '긴장' 과 '긴장완화'의 대칭이 필수임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정신, 근육, 관절, 뼈대, 혈액?의 긴장대 그의 완화가 지구전(력)을 위한 필수가 되겠지요.

매일 긴장 및 완화도 가능하겠고, 이틀에 한번, 며칠에 한번, 주 1회, 달 1회, 년 1회도 가능하겠지요.

선택은 각자의 몫일뿐... 1년 룸펜하면 1년 세계여행, 3년 하면 3년여행...^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658
3646 역학으로 본 진보와 보수 image 김동렬 2018-05-29 9223
3645 세상은 빵에서 나와 빵으로 돌아간다. image 김동렬 2016-10-12 9223
3644 기본원리 image 김동렬 2013-11-07 9213
3643 구조론으로 본 진화원리 김동렬 2007-02-04 9209
3642 대칭은 특이점의 공유다 image 김동렬 2013-11-05 9203
3641 날아가는 총알을 다른 총알로 맞춰서 밀어주기 김동렬 2018-05-30 9197
3640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90
3639 인간은 왜 잘생겼을까? image 2 김동렬 2016-08-08 9189
3638 응답하라 대한민국 1 김동렬 2013-12-17 9189
3637 약자의 딜레마 5 김동렬 2018-06-11 9187
3636 독자의 반론에 대하여 김동렬 2003-05-15 9172
3635 사과 안에는 사과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8-05-28 9171
3634 깨달음의 문제 3 김동렬 2013-12-03 9149
3633 진리를 추적하는 방법 3 김동렬 2013-10-17 9149
363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40
3631 SM, YG, JYP image 김동렬* 2012-10-21 9140
3630 구조로 본 관성의 법칙 image 김동렬* 2012-10-21 9132
3629 닥치고 모형을 내놔봐. 2 김동렬 2013-11-18 9126
3628 구조론 최종보고 image 김동렬 2016-10-17 9125
3627 개는 불성이 없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