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침략할 만한 국가는 없다. 조선이나, 고려는 침략할 만한 국가가 아니다. 월래 침략할 만한 국가는 없다.

 

책임져야할 공간이 있었을 뿐이다.

 

농경> 산업> 정보

 

농경시대에 기술로 책임져야할 공간이 있었다. 젖줄기 같은 강이 흐르는 들이다.

농경기술의 발달은 곧 큰 강과 큰 들을 책임질 인류의 등장을 가능케하였다.

돌에서 철을 뽑아내고, 철기로 도구를 만들고, 산과 들을 떡주무르듯 할 수 있는 인류가 등장하였다.

 

동북아에서는 수나라와 고구려가 경합하던 시절에 결정이 났다. 이 경합은 황하를 책임질 세력이 나와 주느냐는 것이었다. 백전백패를 하더라도 황하에서 버티던 세력에게 다음이 있었다. 능력자들은 황하로 몰렸고, 책임졌다.

 

황하를 책임질 수 있는 세력이 동북아를 주도하게 된 것이다. 또한 세계를 주름잡게 된 것이다. 물론 그때 그시절 농경시대 수준에서 말이다.

 

왜, 황하는 그때나 지금이나 지구상에서 가장 다루기 힘든 큰강이기 때문이다.

 

 

인류의 기술이 아직 황하를 책임질 수 없을 때의 역사는 완전히 다르게 읽어야 한다. 동북아는 당 이전의 역사와 당 이후의 역사가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살펴야 한다. 이건 세계사를 산업혁명 전후를 나눠 읽어야 하는 것과 같다.

 

 

청의 누르하치가 팔기군으로 황하를 접수할 때, 그는 그시절의 천하를 접수한 것이다. 그 청나라가 변방 해적 무리에게 접수당하게 된다. 산업기술 완성되어 새 시대를 연 것이다. 산업시대.

 

 

강> 바다> 우주

 

유럽이 선두에서 개쳑한 시대다. 산업시대. 이 시대에 부여된 공간은 바다다. 큰 바다. 지구 전체 바다. 알고 했던 모르고 했던 산업시대가 책임진 공간이다. 지금은 그 선두에 미국이 있다.

 

 

바다가 끝일까? 인류는 계속 진보 중이다. 정보시대다. 정보기술의 발달이 향하게 하는 공간은 "공간 그 자체"다. 공간을 책임질 인류가 나와 줘야 한다.

 

 

오늘 김동렬의 구조론으로 공간을 규명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우주가 생명을 낳고, 생명이 인류를 낳았다. 그 결대로 인류는 다음 인류를 낳고 있다. 이 도전은 "공간 그 자체"를 책임질 생명이 나와 줄 때까지 계속된다. 이것은 생명이 우주의 유산을 상속하는 절차다. 인류가 우주와 생명의 성공을 향유할 권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농경> 산업> 정보기술 문명의 진보에 걸맞는 정신문화가 나와 줘야 한다. 사회제도를 만들어 줘야 한다.

 

침략할 만한 국가는 없다. 국가를 침략하여 이룰만한 새로운 것이 없다.  바퀴나 쥐나 닭도 하는 수준의 짓을 반복할 뿐이다.

 

공간을 책임져야 한다. 정보기술의 진보에 짝을 맞출 제도를 창의해야 한다. 다음시대 임박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10
1486 한국이 노벨상을 못 타는 이유 2 김동렬 2013-10-29 11273
1485 화내는 습관 고쳐질까? 24 김동렬 2013-10-30 9373
1484 애니메이션 흥행순위 image 7 김동렬 2013-10-31 4691
1483 유대인이 창의적인 이유 1 김동렬 2013-11-01 6459
1482 또 법륜 .. 화가 나는 이유 15 김동렬 2013-11-05 7959
1481 팔로워 낚시용 유치한 글 7 김동렬 2013-11-07 4633
1480 자연주의 대 반자연주의 김동렬 2013-11-08 4830
1479 자연주의 대 완전성 김동렬 2013-11-11 3397
1478 초파리의 위장술 image 4 김동렬 2013-11-11 4884
1477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166
1476 생각의 정석 17회: 문제적 인간, 김동렬 10 오세 2013-11-12 3804
» 침략할 만한 국가, 책임져야 할 공간 담 |/_ 2013-11-13 3300
1474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12
1473 프랑스 vs 한국, 갑을&가피 매트릭스 담 |/_ 2013-11-15 4654
1472 붉은가족 image 1 차우 2013-11-17 3357
1471 의식이란 무엇인가? image 8 김동렬 2013-11-18 7728
1470 고은이 시인일까? image 26 김동렬 2013-11-19 10980
1469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249
1468 생각의 정석 17회 2 오세 2013-11-21 3640
1467 이상의 시가 어렵다? image 8 김동렬 2013-11-22 8077